레벨 컴까기

덤프버전 :

스타크래프트의 컴까기의 한 종류. 제작자는 Lich-Dragon. 외국인으로 추정된다.
1. 플레이 방식
1.1. 미네랄
1.2. 가스
2. 웨이브
2.1. 1웨이브
2.2. 2웨이브
2.3. 3웨이브
2.4. 4웨이브
2.5. 5웨이브
3. 공략
3.1. 싱글 플레이
3.1.1. 저그
3.1.2. 테란
3.1.3. 프로토스



1. 플레이 방식[편집]



말 그대로 자원(미네랄)을 레벨로 활용하는 독특한 형식이다.


1.1. 미네랄[편집]



시작하면 50의 미네랄을 주는데 컴 유닛을 잡을 때마다 점수가 오르며 이 점수를 토대로 미네랄 수치의 최대 한도가 올라간다. 레벨 컴까기의 레벨이 바로 이 미네랄을 뜻한다. 미네랄은 고정수치이며 쓸 때마다 계속 이 수치만큼 돌려받는 형식이다. 초반에 몰려오는 케리건이나 토라스크등을 잡으면 이 레벨이 상당히 빠른 속도로 올라간다. 그러나 초반에 이런짓을 하면서 유닛을 소모하다가 자칫 잘못하면 컴퓨터 병력이 대규모로 난입하면서 밀릴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싱글 플레이라면 더더욱.

최대 미네랄 수치 단계 : 50 → 60 → 70 → 90 → 110 → 130 → 150 → 170 → 190 → 210 → 230 → 250 → 270 → 290 → 310 → 350 → 500 → 2000

특히 미네랄 300부터 전 종족이 최종 테크 건물을 지을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프로토스는 공중 병력 한정으로 150에서 가능.)


1.2. 가스[편집]



미네랄과는 달리 쓴다고 자동으로 올라가거나 하지 않기때문에 별도로 채취해야 한다. 버전마다 다르지만 보통 10덩이 이상이 있으며 어찌보면 미네랄보다도 더 중요한 자원이다. 초반에 저글링, 마린같은거 뽑는데 집중한다고 가스 채취를 소홀히 했다가는 업그레이드나 테크를 못 올려서 난감해지는 상황에 처할 수 있으니 가스 채취도 중요하게 생각해야 된다. 버전에 따라서 아예 가스가 무한인 버전이 있다. 이 경우는 무진장 쉽다.


2. 웨이브[편집]



플레이어가 일정한 킬 수치를 올렸을 경우 경고 메시지와 함께 각종 웨이브가 날라온다. 초반에는 그럭저럭 막기 쉽지만 나중으로 갈 수록 잘못하면 기지가 다 털릴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사실 꼼수가 하나 있는데 플레이어의 스타팅 포인트에 있는 건물(커맨드센터/넥서스/해처리)들을 파괴하면 웨이브가 생성되지 않는다.

생성 트리거의 조건이 플레이어가 스타팅 포인트에 건물 1기 이상을 소유하고 있을경우 웨이브 생성이기 때문. 이는 싱글 플레이에서 쉽게 확인가능하다.[1][2]


2.1. 1웨이브[편집]



1부대 가량의 쿠쿨자(뮤탈리스크)가 본진으로 난입한다. 스펙은 그리 높지 않아서 기지가 심하게 털리고 있는 경우가 아니면 웬만해선 쉽게 막는다.


2.2. 2웨이브[편집]



1부대 가량의 태서더/제라툴 이 본진으로 난입한다. 쿠쿨자보다야 쎄긴 하지만 이 역시 방비를 제대로 하면 어렵지 않게 막는다.


2.3. 3웨이브[편집]



1부대 가량의 노라드Ⅱ가 본진으로 난입한다. 맷집과 공격력이 강한편, 하지만 이 공격이 올때 쯤은 방비를 제대로 하고 있을 것으로 어렵지 않게 막는다.


2.4. 4웨이브[편집]



엄청난 수의 쿠쿨자(가디언)과 듀크(시즈탱크), 그리고 1기의 히페리온이 생성된다.[3]
지상 병력 위주라면 정말 죽도 밥도 안 되고 털리지만 공중 병력 위주라면 그냥 방어 건물 몇개 털리고 끝난다.


2.5. 5웨이브[편집]



엄청난 수의 다니모스(아비터), 듀란, 토라스크가 생성된다. 하나같이 스펙이 괴랄해서 이 놈들이 뜬 순간 기지가 쑥대밭이 되는 경우가 잦다.
경고메시지가 뜨고 시간이 조금 지난 후에 공격이 들어오는 다른 웨이브와 달리 4번째 웨이브는 경고메시지가 기습적으로 뜨고 바로 달려오기 때문에 기지가 상대적으로 빨리 털린다.
특히 아비터의 실드/체력이 엄청난 데다가 공격력까지 은근히 쎄고 듀란의 공격력도 무시 못 할 수준은 아니다. 거기에 더해 토라스크 역시 초반에 저글링 같은걸로 때려잡던 그 잡종이 아니기 때문에[4] 지상 병력은 삽시간에 쓸려나가기 일쑤. 하지만 이쯤되면 플레이어의 업그레이드는 못해도 15업 이상이거나 이미 풀업 찍은지 오래인 상황이라 각종 마법을 동원하면 (특히 다크스웜, 락다운, 스테이시스 필드) 무리없이 막는 게 가능하다. 아니면 그 전에 컴퓨터의 건물들을 다 날려버리든가 (싱글 플레이에서는 살짝 힘들지만)
사실상 이 맵의 난이도에 한 몫한다.


3. 공략[편집]


※ 한국서버에서 플레이되는 레벨 컴까기는 대부분 수정판이므로 아래의 공략이 통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 한국어로 계속 비속어 메시지가 출력되는 맵('허접은 이쯤에서 뒤져라', '곤조 그만 부리고 이렇게 깨라' 등)은 무조건 수정판이라고 보면 된다.

시작하자마자 인터셉터없는 캐리어, 토라스크, 케리건, 아칸 영웅, 각 종족 일꾼러시가 들어오는데 이것을 토대로 초반에 빠른 레벨업을 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테란이 가장 써먹기 쉬우며 제일 어려운 종족은 저그. 왜냐하면 라바의 생산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저글링의 생산 속도도 상대적으로 느릴 수밖에 없기 때문. 그러나 저글링이나 마린이나 기본 스펙은 좋아서 일정 수만 모이면 똑같이 레벨업을 할 수는 있다. 다만 저그는 라바를 가지고 드론도 뽑아야 돼서 생산이 좀 빡세다.
캐리어의 경우 처음엔 놔두어도 무방하나 한 마리라도 잡으면 레벨이 상당히 오르기 때문에 빠르게 공략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캐리어의 체력이 상당히 높기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게 흠. 게다가 적의 공중 병력이 중심지(가스채취지역)로 들어올때 플레이어의 대공 병력이 적들을 막으려고 일일이 일점사해주지 않고 어택땅을 찍으면 어그로까지 분산시키기 때문에 놔두면 상당히 귀찮아진다. 이래저래 눈에 거슬리니 화력이 된다면 그냥 재빨리 부셔버리자.

그리고 전 종족 공통으로 방어 건물의 건설 속도가 상당히 느리다... 값도 비싸고..[5][6][7] 하지만 몸값이 비싼만큼 그 능력치는 상당히 우월하다.
업그레이드 수치는 최대 20이다. 6~7정도만 찍어도 웬만한 컴퓨터의 공격은 전부 박살낼 수 있기 때문에 여기까지 왔다면 70%정도는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적의 기지에 플레이어의 병력이 공격을 가하면 적 기지에서 유닛이 생성된다.[8] 게다가 이 맵은 적, 아군 할 것 없이 생산 속도가 무진장 빠르기 때문에 적의 방어를 뚫으려면 컴퓨터의 생산 능력을 상회하는 엄청난 물량으로 한꺼번에 몰아붙여야 한다. 공략 난이도는 테란, 프로토스, 저그 순으로 쉬운편이다. 저그의 경우 엄청난 수의 성큰 콜로니와 더불어 영웅 탱크까지 껴있어서 공략이 상당히 길어진다.

그리고 적 본진 구석진 곳에 미네랄에 갇혀있는 영웅 유닛들이 있는데 기본 데미지가 999에 아머도 99이므로 섣불리 다가가다간 전멸당할 수 있으니 적을 공략하는 도중에는 아예 건드리지 말자. 이후 건물을 다 쓸어버리면 입맛에 맞게 요리하던가 아예 마인드컨트롤로 뺏어버려서 자신이 쓸 수 있다.


3.1. 싱글 플레이[편집]


레벨 컴까기의 자체 난이도는 잘해봐야 중간 정도이기 때문에 실력 여하에 따라서 싱글 플레이로도 충분히 클리어 할 수 있다.
일단 여러명이서 하는 멀티 플레이와는 달리 3종족의 병력이 한 곳으로 쏠리기 때문에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위에 상기한 토라스크, 케리건 떼거지의 공격 때문에 입구에서의 적절한 어그로 분산등이 필요하다.
싱글 플레이에서 가장 중요한 2가지가 있는데 초중반 캐리어 요격, 핵공격 저지 이 두 가지만 잘 해내면 거진 80% 이상은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캐리어 요격이 정말 어려운데 지상군 막느라 유닛을 상당히 소모한 상황에서 캐리어가 뜨면 정말 어지간한 물량이 없는 이상 순식간에 썰린다. 싱글 플레이에서는 대부분 여기서 재시작을 누르게 된다. 4단계 웨이브와 더불어 난이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악의 근원.


3.1.1. 저그[편집]


주요 병력구성은 저글링, 성큰 → 히드라위주 → 히드라 or 뮤탈(+디파일러), 뮤탈의 경우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초중반 방어전에는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처음에 시작하면 애벌레를 전부 드론으로 만들고 드론 한 기를 입구 근처에 보내 해처리로 변이시킨다. 이 해처리가 토라스크와 케리건 때거지의 어그로를 끌어주기 때문에 본진으로 난입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아칸영웅의 경우 특이하게도 오버로드를 집중적으로 노리기 때문에 처음에 주어진 오버로드 1기를 기지 구석으로 보내면 자연스레 아칸도 구석으로 가게 된다. 버전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은 공격력이 10정도이기 때문에 기본 체력이 2000인 오버로드에 흠집만 낸다. 그 후 최소 2가스 정도를 돌리고 나머지는 저글링을 뽑는다. 챔버에서 공방업을 전부 돌리고 발업도 해주면 웬만한 컴퓨터의 초반 러시는 어렵지 않게 막는다. 초반 러시를 막아냈다면 잽싸게 4, 5가스 이상으로 늘리고 방어건물을 짓는다. 건설 속도가 상당히 느리긴 하지만 아예 없는것보단 낫기 때문에 한시라도 빨리 지어주는 편이 좋다. 특히 중반쯤에 날라오는 뮤탈을 위시한 각종 공중 병력들은 기껏해야 공방업 2업정도인 히드라만으로는 막아내기가 벅차기 때문에 가스지대 양옆이나 앞 부분에 스포어 2기정도는 기본적으로 지어줘야 한다. 여기서부터는 기본적으로 히드라 생산에 총력을 가하면서 운에 걸 수밖에 없다. 운이 좋아야 이 구간을 넘기고 무난히 4업을 넘길 수 있지만 그렇지 못 하고 미네랄 300도 못 찍은채 하이브마저 못 올리면 뒤이어 날라오는 캐리어, 가디언 떼거지에 기지가 쓸려나가고 눈물을 머금으며 재시작을 누를 수 밖에 없다. 참 얄밉게도 디파일러 마운드의 건설 비용이 미네랄 600이기 때문에 중반까지는 사실상 못 쓰는 유닛이다. 게다가 디파일러의 생산 시간도 괴랄하게 길다. 하지만 일단 뽑기만 하면 다크스웜의 마나가 10이고 이후 몰려오는 웨이브들을 막으려면 다크스웜이 사실상 필수이기 때문에 뽑긴 뽑아야 한다.
업그레이드가 10업이 넘어가면 사실상 깡패 수준이라 컴유닛들을 만나는 족족 다 쓸어버린다. 게다가 해처리를 무한정 지을 수 있기 때문에 생산 능력에 있어서도 발군이라 소모전에서도 밀리지 않고 적 기지 공략이 가장 쉬운 종족. 하지만 앞서 열거한 초반대의 상대적으로 열세인 방어능력 때문에 (+ 드론 관리도 잘 해줘야한다. 가스에 돌릴 드론, 방어 건물/테크 건물 지을 드론 등등) 초반에는 상당히 손이 간다. 초반 한정으로 3종족중 가장 바쁘지만 후반에 업그레이드를 마친 후의 물량 공세는 상당히 무시무시하다.


3.1.2. 테란[편집]


주요 병력 구성은 마린, 레이스. 레이스의 경우 뮤탈과는 달리 가격이 75/75이기 때문에 가성비가 상당히 좋다.[9]
일단은 커맨드센터로 입구를 틀어막는 게 가능하지만 그것보다는 가성비가 상대적으로 우월한 마린으로 들어오는 적들을 상대하는 게 휠씬 편하다. 물론 초반에 들어오는 영웅 유닛 떼거지들을 한꺼번에 상대하다간 쓸려나가기 일쑤니 저그로 하던 것처럼 입구에 커맨드센터를 하나 지어서 어그로를 어느정도 분산시켜 주자. 그 후 마린을 어느정도 뽑아서 입구쪽에 있는 영웅 유닛들을 살살 꼬셔서 한 마리씩 잡으면 상대적으로 레벨업이 빠르기 때문에 빠른 물량확보가 가능하다. 다행히 마린이 초반 유닛임에도 가성비가 우월하기 때문에 물량만 어느정도 확보되면 적의 공격은 어느정도 맞받아치는 게 가능하다. 물론 리버같은 경우에는 따로 일점사해줘야겠지만.
이렇게 버티면서 미네랄이 150을 찍었다면 재빨리 스타포트를 지어주자. 이왕이면 애드온 달고 하나, 레이스 생산할 거 하나 이렇게 지어주는 게 편하다. 애드온의 건설 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건물 하나 짓고 애드온 달다가 유닛을 못 뽑아서 기지가 털리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이렇게 레이스를 어느정도 확보해주면 클로킹까지 개발해주고 캐리어 요격에 주력해주자. 마린만으로는 캐리어를 막기가 상당히 버겁기 때문에 레이스로 막는 것이 수월하다. 가격도 75/75이기 때문에 대량 생산도 가능하다. 그래도 어중간한 물량으로는 캐리어를 막다가 오히려 전멸당할 수 있기 때문에 물량을 최대한 많이 확보해두자.
이렇게 캐리어 요격까지 끝내주고 업그레이드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면 한 고비 넘긴거다. 이후로는 그냥 레이스만 주구장창뽑아서 끝내버릴 수도 있다.
하지만 4번째 웨이브를 막는 게 가장 어려운축에 속하기 때문에 이래저래 대비를 많이해야 한다.
인구수는 되도록이면 커맨드센터로 충당해주자. 서플은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생산 건물 지을 공간이 부족해질 수 있다.
시즈탱크의 경우 가격이 300/300에 생산 속도가 거지같이 느린데다가 레이스가 상당히 좋아서 안 뽑아도 무방하다. 간혹 시원한 포격으로 적들이 우수수 터지는 걸 구경하고 싶을 때나 뽑아볼만하다.
그리고 멀티 플레이에서는 마린이 깡패 수준의 물량과 화력을 갖춘지라 웬만하면 거의 마린으로 끝내는 경우가 많다. 5테란 올마린도 심심찮게 나온다.


3.1.3. 프로토스[편집]


주요 병력 구성은 드라군 → 스카웃 or 캐리어. 일단 두 종족과는 달리 질럿이 동급 유닛인 저글링, 마린에 무참히 털리는 데다가 토라스크 잡는데도 영 좋지 않은 편이라 처음부터 대량 생산하는 건 좋지 않다. 넥서스로 입구를 완전히 틀어막고 드라군을 빨리 뽑아서 방어라인을 구축해주자. 드라군은 가스도 요구하기 때문에 빠른 가스 채취가 필요하다. 사실 여기서 운빨이 많이 따르는데 간혹 컴퓨터 마린이 드라군 무시하고 넥서스를 강제 공격해서 부순다든가 저글링이 난입해 들어오거나[10] 빠른 리버드랍 등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할 때가 한둘이 아니다. 때문에 어찌보면 저그보다도 더 순발력을 요구하는 종족이기도 하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공중 병력의 최종테크 건물인 플릿비콘이 150원이기 때문에 공중 병력의 업그레이드가 상당히 빠르다. 150원이 모였다면 일단 프로토스가 할 일은 많아진다. 포톤 캐논 지어야 되지, 스타게이트랑 플릿비콘 지어야 되지... 이러니 저러니 해도 공중 병력의 업그레이드를 이른시간에 돌릴 수 있으므로 입구쪽은 드라군을 계속 충당해주면서 스타게이트에서는 계속해서 스카웃을 뽑아준다. 이렇게 하면서 스카웃의 업그레이드가 4, 5업 정도가 되었다면 업글 혜택을 빵빵하게 받아서 상당히 편해진다. 더불어서 특유의 건설 방식 덕분에 방어선 (캐논밭) 구성이 매우 편하다. 이후는 스카웃을 대량 생산하면서 테란이 레이스 운용하듯이 해주면 된다. 특히 마컨으로 상대 기지안에 있는 영웅 유닛들을 뺏을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소수 정예로 적들을 날려버리는 독특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4번째 웨이브를 막는 난이도는 비교적 쉽다. 포톤 캐논을 2, 3줄 지어주고 스카웃으로 방어하면 캐논 몇개만 부서지고 무난히 막는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0:47:38에 나무위키 레벨 컴까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싱글 플레이의 경우는 다른 플레이어의 스타팅 포인트 위치에 건물을 짓는 순간 생성되지 않은 웨이브가 한꺼번에 생성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2] 컴퓨터의 스타팅 포인트는 해당사항이 없기 때문에 지어도 웨이브 생성이 안 된다.[3] 유닛 생성 트리거의 고질병인 자리 부족 때문.[4] 기본적으로 컴퓨터 저그 소속이라 업그레이드를 전부 적용받는데 공1업당 데미지 증가가 무시무시하다.[5] 보통 미네랄 150이상일 때부터 건설 가능하다.[6] 저그의 경우는 미네랄 50이라 처음부터 짓는 건 가능하다. 하지만 덩달아 가스도 50이 필요하고 저그의 건설 방식(드론 소모, 크립 위 건설)때문에 좋은 위치에 짓기에는 무리가 따른다.[7] 버전에 따라 값이 싸거나 건설 속도가 빠른 경우도 있다.[8] 프로토스는 스카웃과 리버, 저그는 디바우러와 울트라리스크, 테란은 레이스와 시즈탱크. 각각 1부대씩 생성된다.[9] 사실 뮤탈이 상대적으로 상당히 비싼 편이다. 스카웃의 가격도 레이스와 똑같은 75/75이다. 어차피 후반가면 거기서 거기지만...[10] 넥서스를 가로로 짓든 세로로 짓든 빈틈이 있어서 무조건 들어온다. 게다가 여기서도 드라군은 저글링한테 속수무책으로 털린다. 빈틈을 질럿이나 프로브로 막아주는 센스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