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력영웅

덤프버전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영웅칭호
공화국영웅
로력영웅
훈장
김일성훈장
김일성상
김일성
청년영예상
김일성
소년영예상
김정일훈장
김정일상
김정일
청년영예상
김정일
소년영예상
국기훈장
로력훈장
전사의
영예훈장
군사복무
영예훈장
군수공복무
영예훈장
조국해방전쟁
승리 60돐
기념훈장
철도복무
영예훈장
석탄광업복무
영예훈장
수산복무
영예훈장
3대혁명
붉은기훈장
친선훈장
조국통일상
폐지된 훈장
리순신장군훈장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로력영웅
勞力英雄
Hero of Labour

파일:로력영웅.svg

파일:노력영웅 약장.png
제정일
1951년 7월 17일
국가
[[북한|

북한
display: none; display: 북한"
행정구
]]

종류
영웅 칭호
수훈자

수훈 대상

상위 칭호
공화국영웅
하위 칭호
없음[1]

1. 개요
2. 수훈자/단체 목록
2.1. 1957년
2.2. 1958년
2.3. 2021년
2.4. 2022년



1. 개요[편집]


공식 명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력영웅' 으로, 북한에서 공화국영웅에 버금가는 칭호이자 훈장이다. 사회주의노력영웅을 모방한 것으로, 공화국영웅 칭호와 마찬가지로 한국전쟁 중인 1951년 7월 17일에 제정되었다. 훈장의 모양새는 공화국영웅과 비슷하지만, 사회주의노력영웅처럼 중앙의 오각별 위에 낫과 망치의 부조가 추가되어 있고, 금속핀의 가장자리가 하얀색이 아닌 노란색으로 처리되어 있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훈장의 명칭에 있는 ‘로력’은 勞力으로, 우리가 흔히 아는 의미인, 목적을 이루기 위해 몸과 마음을 다하여 애를 쓴다는 뜻의 노력(努力)과는 다른 의미의 단어이다. 후자의 경우 북한에서도 ‘노력’으로 적는다.

주로 비군사/민간 분야에서 큰 공을 세운 인물이나 단체에게 주로 수여되고, 수훈자에게는 공화국영웅과 마찬가지로 제1급 국기훈장이 자동적으로 수여된다. 사회주의노력영웅과 달리 외국인에게도 수여가 가능하며, 정장은 공화국영웅과 마찬가지로 상의 오른편(착용자 기준 왼쪽)에 패용한다.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북한에서는 상당한 권위가 있는 훈장으로, 2021년 8월 1일자 로동신문은 로력영웅을 "공화국공민의 최고영예"라고 일컬으면서 사실상 일반인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영예로 보고 있다.

2012년 11월에 북한 정권이 어머니날을 제정해 기혼 여성들의 지위를 높여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그 일환으로 다산하거나 고아, 소년소녀가장 등을 많이 데려다 기른 여성들에게도 수훈하는 걸로 봐서는 모성영웅의 의미도 같이 담는 것으로 보인다.

평양 지하철에도 한국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볼 수 있는 우대석이 존재하는데, 교통약자 배려석이 아니라 로력영웅 등을 위한 배려석이다.

2. 수훈자/단체 목록[편집]


로력2중영웅
  • 리춘구 (1982, 1989. 시나리오 작가)
  • 정영만 (1991, 1997. 화가. 만수대창작사 소속)
  • 리춘히 (1999, 2022,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국장)
  • 정춘실 (1964, 1986, 자강도 전천군 상업관리소장)
  • 변창복 (1971, 1975, 남포시 청산협동농장 관리위원장)[2][3]
  • 김수복 (1961, 1998. 교원)

로력영웅
  • 계순희 (2001. 유도 선수)
  • 고금순 (1962. 전 평안북도 구성방직공장 천리마작업반 반장)
  • 권정웅 (1992. 소설가)
  • 김경철 (2013)
  • 김경희 (1995. 조선로동당 비서. 김정은의 고모)
  • 김계관 (1998. 외교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겸 외무성 제1부상)
  • 김관일 (1988. 청년동맹 평양시 락랑구역 제1비서)
  • 김득성 (2012. 만수대창작사 단장)
  • 김락희 (1958. 개천시 봉화협동농장 관리위원장)[4]
  • 김순옥 (2013. 유원지총국 중앙동물원 사양관리1직장 수류2작업반 반장)
  • 김시권 (1992. 시인)
  • 김양춘 (1992)
  • 김영남 (1998.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김영복 (1989. 조선인민군 소장)
  • 김옥순 (1992. 전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 중앙위원장. 최광의 아내)
  • 김원균 (1986. 작곡가. 김일성장군의 노래와 애국가 등을 작곡한 작곡가)
  • 김은국 (2012. 역도 선수)
  • 김의균 (2012. 만수대창작사 지사장)
  • 김진봉 (2012. 만수대창작사 형상원)
  • 김학수 (2013. 황해남도 은천군 량담농장 농산11자업반 농장원)
  • 김학형 (1988. 평안남도 청년건설여단 대대장)
  • 김호성 (2012. 만수대창작사 단장)
  • 김홍순 (1989. 제6수력발전소건설사업소 과장)
  • 김휘률 (2013)
  • 김히택 (1986. 량강도 당위원장 겸 책임비서)
  • 량덕규 (1989. 개성시 인민위원회 건설총국 총국장)
  • 량승백 (1993. 조선인민군 중장)
  • 류주성 (2012. 유도 감독)
  • 리강죽 (2012. 평양 경상유치원 원장)
  • 리경화 (2013. 량강도 풍서림산사업소 설림령작업소 생산2작업반 벌목공)
  • 리광선(연도 불명. 대홍단군 농사동농장 관리위원장)
  • 리광수 (2012. 만수대창작사 작업반장)
  • 리광옥 (2013)
  • 리광우 (1992. 곡산군협동농장 경영위원장)
  • 리광철 (2013. 보안원. 노동자 구출 중 사고사)
  • 리금순 (2012. 다산 공로)
  • 리동호 (2013. 성진제강련합기업소 용해공)
  • 리병희 (2012. 다산 공로)
  • 리성호 (2013)
  • 리세광 (기계체조 선수)
  • 리승기 (1961. 화학자. 전 국가과학원 함흥분원 원장)
  • 리영림 (1992. 조선인민군 소장. 함경북도 청년건설여단 여단장)
  • 리영철 (1993. 조선인민군 소장)
  • 리옥희 (1982, 소위 신천 학살 생존자라는 여성. 1961년부터 반미 강사를 하여 표창.)
  • 리용무 (1998. 조선인민군 차수. 前 조선로동당 정치국 위원)
  • 리운옥 (2012. 다산 공로)
  • 리을설 (1997. 조선인민군 원수)
  • 리응식 (1988. 작곡가 겸 지휘자. 조선인민군군악단 단장)
  • 리종산 (1992. 조선인민군 차수)
  • 리종순 (1981. 극작가 겸 시나리오 작가)
  • 리종오 (1992. 작곡가. 전 보천보전자악단 소속, 현 조선인민군 공군사령부 전자악단장. 휘파람과 김정은 찬양곡인 발걸음 등 작곡)
  • 리지영 (2011. 배우. 국립연극단 단장)
  • 리진규 (1982. 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중앙상임위원회 제1부의장)
  • 리창환 (2013)
  • 리충건 (2013. 보안원. 노동자 구출 중 사고사)
  • 리형섭 (1988. 속도전청년돌격대 여단 지도국장)
  • 리화순 (1998. 평양종합방직공장 초급당비서)
  • 림동규 (1952. 전 성흥광산 착암공)
  • 림정심 (2012. 역도 선수)
  • 림철 (1992. 조선인민군 중장)
  • 로익화 (1972. 조각가)
  • 문정순 (2012. 다산 공로)
  • 민경남 (1990. 남포시 강서구역 청산협동농장 작업반장)
  • 박금룡 (2001. 조선인민군 군관)
  • 박금옥 (2012. 다산 공로)
  • 박두기 (1989. 58호건설 당원돌격대 중기계 대대장)
  • 박옥단 (2012. 다산 공로)
  • 박윤일 (1990. 락원기계련합기업소 당 비서)
  • 백설희 (1979. 농학자. 농업과학원 공예작물연구소 소장)
  • 백인준 (1972. 소설가 겸 정치인. 전 최고인민회의 부의장)
  • 백학림 (1997. 전 인민보안상)
  • 배길수 (2000. 체조선수)
  • 서광옥 (연도 불명. 금강군 현리협동농장 관리위원장)
  • 서만술 (연도 불명. 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의장)
  • 석윤기 (1982. 소설가)
  • 석철우 (1998. 고참탄광 채탄중대장)
  • 설명순 (연도 불명. 작곡가. 김정일장군의 노래를 작곡함. 전 조선인민군협주단 단장)
  • 송금숙 (2012. 다산 공로)
  • 송순찬 (2013)
  • 신성우 (1968. 의사)
  • 신운호 (연도 불명. 소설가/시인. 조선인민군협주단 소속. 김정일장군의 노래 작사가)
  • 신창균 (1995. 서평양기관차대 초급당비서)
  • 심창수 (2003. 평양시 만경대구역 인민위원회 부장)
  • 안금애 (2012. 유도 선수)
  • 안달수 (1958. 벽성군 상룡협동조합 관리위원장)
  • 안정호 (2014. 모란봉악단 창작실 부실장)
  • 안태일 (2013)
  • 안호춘 (2013. 조선중앙통신사 5국2부 기자)
  • 엄윤철 (2012. 역도 선수)
  • 엄창용 (1988. 평양시 사회급양관리국 부국장)
  • 연형묵 (1998. 전 정무원 총리 겸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 오사성 (2003. 라선-청진 대흥무역회사 사장)
  • 오영재 (1995. 시인)
  • 오재환 (2013. 황해남도 부포바다가양식사업소 생산4직장 3작업반 양식공)
  • 우응호 (2012. 만수대창작사 조각창작단 단장)
  • 우정희 (2014. 모란봉악단 창작실 실장)
  • 유경애 (1993. 영화배우)
  • 유영화 (1952. 전 원산기관구 기관사)
  • 유원준 (1997. 영화배우)
  • 윤룡석 (연도 불명. 재령군 북지협동농장 작업반장)
  • 장룡식 (2020.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 장성택 (1989.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김정은의 고모부)
  • 장혁 (2013)
  • 전구강 (1995. 인민군 46호 종합병원 원장)
  • 전병호 (연도 불명, 조선인민군 무장장비관 명예관장)
  • 전형규 (1995. 조선중앙텔레비죤 소속 아나운서)
  • 조돈춘 (1992. 조선인민군 소장)
  • 조태복 (1992. 조선인민군 소장)
  • 주복순 (2012. 자강도 만포방사공장 지배인)
  • 최성원 (1993. 조선중앙텔레비죤 아나운서)
  • 최복남 (2001. 청년동맹돌격대 개성시여단 판문군대대 제1중대장)
  • 최용건 (1960. 군인 겸 정치인. 조선인민군 차수. 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 평양방직기계공장 26호 선반 (2012)
  • 한덕수 (1972. 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의장)
  • 한순희 (1975. 숙천군 성남협동농장 관리위원장)
  • 한종범 (2013)
  • 함옥숙 (2012. 평양제산소학교 교사)
  • 홍순재 (2013. 평양 강동군 봉화협동농장 농산1작업반 농장원)
  • 홍창의 (2012. 만수대창작사 초급당비서)
  • 황순재 (1987. 조선인민군 소장)
  • 황진영 (2014. 모란봉악단 부단장)
  • 리병철 (연도 불명, 조선인민군 인민군원수. 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군수공업부장. 2020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착용한 제복의 사진에서 확인)
  • 피델 카스트로 (2006)

2.1. 1957년[편집]


  • 1957년 3월 18일: 박용태(청진제강소 제선직장 립철회전로공), 안병선(황해제철소 조강 직장장).
  • 1957년 3월 23일: 박길종*본궁 화학공장 카바이드 직장 전기로공), 박봉조(흥남비료공장 류산직장 기계수리공).
  • 1957년 4월 3일: 강학성(청진 철도공장 기관차직장 직공장).
  • 1957년 4월 3일: 최원준(신포수산사업소 선장).
  • 1957년 4월 25일: 강종근(수풍건설 트레스트 건설조립사업소 기계조립공), 김하철(장진강 발전부 기계직장 직장장).

2.2. 1958년[편집]


  • 1958년 1월 21일: 김직현(이중 로력영웅, 아오지탄광 굴진공).
  • 1958년 1월 21일: 송광은(본궁화학공장 공무부 제관직장 기계조립공).
  • 1958년 1월 29일: 주병선(평양방직공장 직포공).
  • 1958년 2월 10일: 강룡하(강선제강소 제강직장 부직장장), 림윤식(강선제강소 제1조강직장 부직장장), 박영수(만년광산 굴진갱 굴진공), 박정근(황해제철소 제강직장 직공장), 박진환(성흥광산 혁신갱 착암공), 추상수(황해제철소 제장직장 평로 용해공).
  • 1958년 3월 17일: 김룡곤(철산수산사업소 선장), 신영실(서호수산사업소 기관장).
  • 1958년 4월 16일: 안달수.
  • 1958년 4월 16일: 강중연(평남 덕천군 평화농업협동농장 관리위원장), 김락희.
  • 1958년 4월 16일: 김시준(국영 북청과수농장 덕성분장 작업반장), 최홍렬(국영 5호 농합농장 사동분장 작업반장).
  • 1958년 4월 24일: 김기모(설비사업소 완성공), 리문해(기사장), 승신범(설비사업소 소장), 원도중(철골사업소 제관공), 임창호(철골사업소 현장지도원), 홍도관(해탄로사업소 축로공) - 전원 황해제철소 소속. 황해제철소 용광로 복구건설공사 기념 수훈.
  • 1958년 6월 24일: 최석도(송변전건설 트레스트 제3 공구장).
  • 1958년 8월 4일: 리종원(청진철도관리국 백암기관구 기관사).
  • 1958년 8월 28일: 강도준, 김홍렵, 주우선(수풍건설 노동자, 기술자들).
  • 1958년 9월 2일: 리정삼(송남 청년탄광 건설사업소 굴진공), 홍경찬(신창 청년탄광 채탄공).
  • 1958년 9월 7일: 김일성.
  • 1958년 9월 7일: 문만욱(경공업상).
  • 1958년 9월 7일: 김흥일(김책제철소 용광로직장 고로 용해공).
  • 1958년 9월 7일: 김욱찬(새날농업협동농장 관리위원장).

2.3. 2021년[편집]


  • 2021년 3월 24일: 강성일, 장동길, 계철남, 신성철, 신명선, 김희옥, 림영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제558호)

2.4. 2022년[편집]


  • 2022년 1월 29일: 김득성, 한철, 최춘실, 김용주, 김형삼, 한수식, 표인남.
  • 2022년 2월 3일: 오병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제848호)
  • 2022년 3월 10일: 홍성식, 리광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제882호)
  • 2022년 9월 6일: 김기룡, 리춘히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9:52:54에 나무위키 로력영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화국영웅과 로력영웅은 다른 훈장과는 체계가 다른 영웅칭호이다.[2] 이후에 조선농업근로자동맹 중앙위원장, 중앙인민위원회 경제위원회 부위원장까지 올랐다.[3] 첫 여성 2중영웅이다[4] 내각 부총리까지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