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셈부르크어

덤프버전 :

게르만어파

[ 펼치기 · 접기 ]
북게르만어군
동스칸디나비아어군
노르웨이어(보크몰) · 덴마크어 · 스웨덴어
서스칸디나비아어군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 아이슬란드어페로어 · 노른어
서게르만어군
북해 게르만어군
Ingvaeonic
앵글어군
영어(고대 영어) · 스코트어 · 욜라어 · 핑갈어
프리지아어군
프리지아어
저지 독일어
저지 프랑크어군
Istvaeonic
네덜란드어 · 플람스어 · 림뷔르흐어 · 아프리칸스어
고지 독일어
Irminonic
중부 독일어
룩셈부르크어 · 표준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상부 독일어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이디시어 · 랑고바르드어
동게르만어군
고트어 · 크림 고트어 · 반달어 · 부르군트어
* 취소선: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namuwiki, de Bam vum Wëssen, deen Dir ernäert.[1]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룩셈부르크어
Lëtzebuergesch[2]
Luxembourgish (Language)
파일:룩셈부르크어권.png
유형
굴절어
어순
주어-서술어-목적어 (SVO)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로마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display: none; display: 룩셈부르크"
행정구
]]
[3]
원어민
약 39만 명
계통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엘베게르만어군
고지 독일어
중서부 독일어
중부 프랑코 독일어
모젤프랑켄 독일어
언어
코드

ISO 639-1
lb
ISO 639-2
ltz
ISO 639-3
ltz
글로톨로그
luxe1241

1. 개요
2. 타 언어와의 비교
3. 현황
4. 역사
5. 글자
6. 숫자
6.1. 타 언어와 비교
7. 발음
8. 언어별 명칭
9.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파일:룩셈부르크어(공공기관 사이트 점검중).png

룩셈부르크 정부기관 점검 페이지[4]


룩셈부르크 RTL 뉴스(룩셈부르크어 방송/프랑스어 자막)
룩셈부르크에서 룩셈부르크인들이 쓰는 게르만어파 언어의 일종. 독일어, 프랑스어와 함께 룩셈부르크의 세 공용어 중 하나이다.

2. 타 언어와의 비교[편집]


룩셈부르크어는 독일어와 유사성이 매우 높으며, 독일어 방언의 일종으로 간주되었던 적도 있다. 그나마 눈에 띄는 차이점이라면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어휘가 조금 많다는 것이다.[5] 예를 들면 룩셈부르크어에서도 오전 인삿말 중 하나가 "Bonjour !"이다.[6]

독일어와 유사성이 높다고는 하나 표준 독일어 구사자가 룩셈부르크어의 학습 없이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방언연속체가 그러하듯 거주지에 따른 이해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 룩셈부르크와 가까운 지역일수록 룩셈부르크어를 더 잘 이해할 가능성이 높다.

벨기에 뤽상부르 주와 프랑스 모젤 주 등 룩셈부르크 주변 지역에서도 일부 쓰인다.

문법의 상당부분도 독일어와 유사하다.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문법적 성이 세개다. 대신에 독일어에는 4개의 격이 있지만 룩셈부르크어에는 3개의 격[7]만 존재한다.

3. 현황[편집]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룩셈부르크어'라는 개념이 성립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이 언어가 사실상 독일어와 큰 차이가 없는 언어이고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표준적이지 않은 독일어라고 생각했으며, 문어(文語)로는 오랫동안 프랑스어를 써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직 어휘량이 부족하기에 비전문적이고 짧은 일상 대화 위주의 사용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룩셈부르크어가 룩셈부르크공용어로 지정된 것도 1984년으로 얼마 되지 않았으며(그 전에는 프랑스어독일어만이 공용어) 정작 룩셈부르크에는 룩셈부르크어로만 구성된 종이 신문이 없다. 아울러 유럽연합 공용어도 아니다.

관광객들이 접할 수 있는 룩셈부르크어 낱말로는 Judd mat Gaardebounen[8]이란 요리 이름 정도이다.

이민자의 증가 등의 요인으로 화자의 수가 감소중이다. 2004년부터 2010년까지의 룩셈부르크어의 아동화자 조사[9] 결과 2004년도에 57.8%였던 룩셈부르크어 화자가 2010년도에는 43.8%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아동 사용인구는 감소세지만 전체적인 룩셈부르크어 사용 인구는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증가세라는 반박 기사도 있다.

2018년에는 룩셈부르크어 표준화와 사용 장려를 목적으로 룩셈부르크어 센터라는 공공기관을 설립했다. 정부의 룩셈부르크어 표준화와 사용 장려 노력의 결과로 독일어 사용 비중이 감소했고, 프랑스어가 주로 사용되는 공문서나 법안을 제외하면 의회나 방송, 정부 홈페이지 등 일상생활에서 룩셈부르크어가 사용되고 있다.


4. 역사[편집]


현재 발견된 것 중에서 가장 오래된 룩셈부르크어 기록은 13세기의 것이다. 그러나 룩셈부르크어라는 이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붙인 것으로 이전에는 독일어의 룩셈부르크 방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래서 1911년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룩셈부르크 항목에는 룩셈부르크어(Luxembourgish)라는 단어를 찾아볼 수 없다.

독일어 안에서도 상호 소통이 힘든 방언이 많아서, 이들과 비교할 때 특별히 언어학적으로 룩셈부르크어를 독일어와는 '다른' 언어라고 정의해야 할 근거는 그리 크지 않다. 그런 식이었다면 '독일어' 역시 여러 언어들의 모음에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룩셈부르크어가 독일어와 구별되는 이유는 언어학적 이유보다는 그들의 역사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1815년 독립했을 시기 독일어권과 프랑스어권의 경계였던 룩셈부르크 지방에는 각각의 언어 사용자를 구분하는 개념이 있었는데 독일어계는 도이치룩셈부르거(Deutschluxemburger),[10] 왈롱계로, 프랑스어 위주 화자는 벨슈룩셈부르거(Welschluxemburger)로 지칭했으며 각각 동쪽과 서쪽의 비등한 수의 언어그룹이었다.

1839년 네덜란드 왕국에서 벨기에 독립 후 질서를 논의한 런던회의에 의하여 아르덴 숲 지역과 아를롱(Arlon)을 위시로 한 서쪽의 절반이 벨기에에 넘어갔고[11] 남은 건 도이치룩셈부르거들의 동쪽 룩셈부르크뿐이었다. 그런 인식은 그런 구분이 있었다 수준에서 유지되다가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개전 이후로 희미해졌는데, 독일 제국의 팽창을 보며 도이치룩셈부르거란 개념이 그러한 정책에 맞물린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룩셈부르크어는 그때까진 별개의 언어적 특성이 관찰됐건 말건 모젤프랑켄 독일어 방언 중 하나로만 취급되었는데, 나치 독일이 40년대에 기어코 중립국을 표방하던 룩셈부르크를 도이치룩셈부르거란 개념을 내세워 하루만에 점령했고 점령되고 국민들이 징집당한 경험까지 생겨 점차 독일인과 구별된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알자스-로렌과 같이 문화/인종/언어적으론 독일과 유사할지 몰라도 정체성만은 그렇지 않았다고[12] 주장하지만 룩셈부르크인이 독일인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갖게 된 것은 나치가 패망하고 난 후로 보인다. 룩셈부르크는 1815년 독립했을 시기부터 독일 연방에 참여하기도 했고, 1842년에는 독일 관세 동맹[13]에 참여하였다. 1848년 유럽 전역의 독일 민족 민중이 모두 모여 혁명 한 번 일으켜보려던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에 룩셈부르크 출신 의원이 참여하기도 하였다. 알자스-로렌 지방과 스위스에서도 독일 민족 통합에 동조했던 세력이 있던 만큼 그 당시 전유럽적으로 불었던 민족주의적 움직임을 고려하면 달리 볼 여지도 있기는 하나, 룩셈부르크는 저 관세 동맹에 1842년[14]에 참여하였고 독일 제국의 영토가 아니었는데도 불구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제국이 패망한 1919년까지 관세동맹 안에 있을 정도로 독일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에 비해서 독일 민족주의가 느슨했던 알자스-로렌(특히 로렌)은 보불 전쟁의 결과로 독일 제국에 병합되면서 1872년 독일 관세 동맹에 강제로 가입당하고, 스위스는 당연히 참여 자체를 안했다.

룩셈부르크 지역은 제1차 세계 대전 때 독일 제국에게 합병당했는데, 광범위한 자치권을 보장받는 것만으로 별다른 독립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이탈리아, 독일의 파시스트들의 영향을 받아 독일 민족주의에 열광하여 자원 입대하는 룩셈부르크 젊은이들도 있었으나, 나치는 패망했을 뿐만 아니라 전범이란 점 때문에, 전후에는 룩셈부르크인들이 나치 독일을 상대로 저항을 했던 점만 부각했다. 룩셈부르크의 국어가 독일어에서 룩셈부르크어로 인식이 바뀐 것도 그 이후로, 1976년에 룩셈부르크어의 정서법이 확립되고 행정 분야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1984년에는 룩셈부르크어는 독일어, 프랑스어와 함께 사법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의식은 2004년 독일어 표준어를 제정하는 국제기구인 독일어 맞춤법 위원회(Rat für deutsche Rechtschreibung)에도 자국 언어인 룩셈부르크어는 독일어가 아니므로 참여하지 않겠다는 선언으로 이어지고 있다. 2012년부터는 의원 자격이 아닌 협력 파견자로서 룩셈부르크인 1명이 위원회 의원 명단에서 소개되고 있다. 한편 룩셈부르크는 프랑스어 사용국의 모임인 프랑코포니와 프랑스어 표준어 국제기구인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국이다.

독일어의 일부로 간주되었다가 독립해 나온 역사로 인해, 현지에서는 룩셈부르크어를 독일어 방언으로 간주하는 것을 싫어하기도 한다.

5. 글자[편집]


당연히 로마자를 쓰며, 흔히 알려진 26자 로마자 이외에 diacritics가 붙은 É, Ä, Ë가 쓰인다. 프랑스어, 독일어에 붙는 diacritics 역시 프랑스어/독일어 유래 어휘에 대해 쓰인다.


6. 숫자[편집]




룩셈부르크어 숫자(1~99)

6.1. 타 언어와 비교[편집]


숫자
룩셈부르크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영어
0
Null
Null
nul
zero
1
Eent
Eins
een
one
2
Zwee
Zwei
twee
two
3
Dräi
Drei
drie
three
4
Véier
Vier
vier
four
5
Fënnef
Fünf
vijf
five
6
Sechs
Sechs
zes
six
7
Siwen
Sieben
zeven
seven
8
Aacht
Acht
acht
eight
9
Néng
Neun
negen
nine
10
Zéng
Zehn
tien
ten
독일어네덜란드어의 것과 유사하다.


7. 발음[편집]




룩셈부르크어 발음
g가 끝에 붙으면 [ʃ] 발음이 난다든지 프랑스어 외래어는 프랑스어의 g 발음을 따르는 등 독일어와 다른 부분이 있다. 그 외 Agence(아장스)에도 비모음을 그대로 쓰는 경우도 있다.

파열음은 유성-무성보다는 유기-무기 대립에 가까운 경향을 보인다.


8. 언어별 명칭[편집]


언어별 명칭
룩셈부르크어
Lëtzebuergesch Sprooch
한국어
룩셈부르크어(Luxembourg語)
독일어
Luxemburgische Sprache
영어
Luxembourgish (Language)
프랑스어
Luxembourgeois[15]


9. 외부 링크[편집]


  • 룩셈부르크어 사전[16]
  • Luxogramm(룩셈부르크 대학의 룩셈부르크어 문법 페이지) - 룩셈부르크어, 프랑스어, 독일어
  • RTL 룩셈부르크어 학습(영어)[17]
  • 벨기에 뤽상부르 주민을 위한 기초 룩셈부르크어
  • 프랑스어 화자를 위한 룩셈부르크어 강좌 1~5과
  • 룩셈부르크어 강좌
  • 독일어 위키피디아의 룩셈부르크어 문서
  • 룩셈부르크시의 룩셈부르크어 강좌(개편중)[18]
  • 룩셈부르크어 강좌(듀오링고 포럼)[19]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5:23:23에 나무위키 룩셈부르크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번역이 잘못되었거나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수정하기 전에 이곳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 주시기 바랍니다.[2] [ˈlətsəbuə̯jəʃ\]\(러처부어여시).[3] 벨기에 뤽상부르주아를롱과 그 주변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로망스어권이다.[4] 룩셈부르크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 순.[5] Agence(아장스)와 같이 프랑스어를 그대로 빌려온 단어가 있고, Bréifboîte(우편함)와 같이 독일어-프랑스어가 섞인 단어도 있으며 Vëloscourse와 같이 프랑스어 단어인 vélo(자전거)와 course(경주)를 독일어식으로 조합한 단어도 있다.[6] 다른 게르만어군에 비해 많다는 의미지 프랑스어 화자가 학습없이 이해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다.[7] 그러나 이 중 인칭대명사를 제외하면 주격과 대격은 같은 형태를 지니고 있으므로 2개의 격으로 봐도 무방하다.[8] 돼지고기와 콩을 함께 삶은 것.[9] 기사에는 아동 중 다른 언어 화자가 2005년에 약 42%, 이후 56%로 증가라고 적혀있다. 마치 기사의 작성 시기인 2012년에 56%를 기록한 것으로 적혀있지만 기사 아래에 있는 원 출처의 통계를 보면 2004년에 42.2%, 2010년도에 56.2%라고 돼있으므로, 옮기는 과정에서 기자가 잘못 적었음을 알 수 있다.[10] 도르트문트에는 이 이름의 행정 구역이 있다. Deutsch-luxemburger-Strasse.[11] 오늘날의 벨기에 왈롱의 뤽상부르 주다. 네덜란드의 왕은 그 당시 룩셈부르크의 대공이기도 하였다. 빠져나간 부분을 채우기 위해 마스트리흐트가 포함된 마스강 유역의 림부르크 공국이 독일 연방에 참여하게 된다. 네덜란드 왕이 림부르크 공국의 공작이기 때문이기도 해서.[12] 문화/인종/언어적으로 옆동네 라인란트, 자를란트 지방과 유사하다. 그러나 종교적으로는 개신교의 비중이 라인란트팔츠가 44.6%, 자를란트가 19.6%인 것과 달리 룩셈부르크에서 개신교는 공기 취급이다(1.8%). 종교적인 문제도 있었던 것.[13] 오늘날 독일 영토와 얼추 맞아 떨어진다. 반토막난 프로이센은 빼고.[14] 현재 독일의 주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보다 가입이 빨랐다.[15] 혹은 langue luxembourgeoise.[16] 페이지에 룩셈부르크어는 있는데 룩셈부르크어-룩셈부르크어 사전은 아니다. 룩셈부르크어-외국어 사전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예문과 동의어 등은 룩셈부르크어로 이뤄져 있다.[17] 정렬이 잘 안돼있어서 페이지가 있는데 누락된 것들이 많다. 그래서 검색을 통해 따로 찾아야 한다.[18] 플래시 지원이 끊긴 뒤 서비스가 종료되었으나 현재는 리뉴얼 중이다.[19] 듀오링고 스타일로 잘 쓰여진 강좌였으나 듀오링고가 2022년 3월 22일부로 듀오링고 포럼을 삭제하고 다른 것으로 대체해서 현재는 볼 수 없다. 웨이백 머신에 스냅샷이 남아 있지만 진입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