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 네모

덤프버전 :


1. 만화
2. 애니메이션
2.1. 1911년작
2.2. 1989년작
2.2.1. 제작 비화
3. 게임
4. 기타


1. 만화[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Little_Nemo_1906-02-11_last_panel.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Little_Nemo_1906-07-22_last_two_panels.jpg

Little Nemo

미국 만화가 윈저 맥케이(1867~1934)가 1905년부터 1926년까지 매주 토요일에 연재한 신문 만화.

주인공 꼬마 네모가 꿈에서 침대를 타고 다른 세계(슬럼버랜드)로 놀러가며 벌이는 온갖 여행을 줄거리로 하고 있다. 매편 침대에서 떨어지면서 꿈에서 깬다는 결말로 끝나며 만화 자체는 연속되는 스토리가 없는 해프닝 위주의 단편이다. 훗날 장편영화로 만들 때 기승전결이 없고 플롯이 없는 이 만화를 어떻게 한 편의 스토리 영화로 줄거리를 연결할까로 시나리오를 만드는데 고생을 해야 했다.


2. 애니메이션[편집]



2.1. 1911년작[편집]


리틀 네모(2011)


2.2. 1989년작[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ttle_Nemo_Japanese_poster.jpg
파일:external/images3.static-bluray.com/48885_front.jpg
NEMO / ニモ[1]


작가가 죽고 60여년이 지난 1989년에 일본과 미국의 합작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으로 개봉했다. 스태프가 여러 번 바뀌었으며 최종적인 감독은 하타 마사미(波多正美)와 윌리엄 T. 하츠가 되었다. 콘티는 오오츠카 야스오가 전부 그렸고 작화에는 토모나가 카즈히데토미자와 노부오가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참가했다.

일본 도쿄 무비 신사(현 TMS)가 제작(製作) 프로덕션으로 크리스 콜럼버스가 각본에 참여해서 화제가 되었지만 정작 개봉해서 평은 그냥 그런 애니메이션이라는 평을 듣고 3,500만 달러 제작비 절반도 못 거두며 전세계 흥행 1,140만 달러에 그치며 망했다. 노스탤지어 크리틱도 이 영화를 리뷰했는데 영화 자체의 영상미는 볼 만하다고 했지만 전개가 매우 뜬금 없고 이상하다고 혹평하였다. 주인공의 이야기가 진전될라 치면 자꾸 주인공이 꿈에서 깨고 그 이야기는 꿈에서 일어난 것이 되는데 이게 한두 번도 아니고 계속 이러니까 보는 사람은 짜증이 날 수도 있다.

상영시간은 94분이지만 미국판으로는 84분이며 이 버전이 한국에 비디오로 나왔다. 1993년 국내 출시판 성우는 네모 역을 이선호, 플립 역을 이인성이 맡았다.


2.2.1. 제작 비화[편집]


도쿄 무비 신사의 사장이었던 후지오카 유타카가 세계 시장 진출을 목표로 만든 야심작. 이걸 만들겠다고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이란 회사를 차려 오랜 시간 거액을 투자해 숙련 인력을 키우기도 했다. 그러나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대로 결과는 흥행 대참패로 도쿄 무비 신사가 한 번 망할 뻔한 비운의 작품이 되었다.

일본 측에서는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미야자키 하야오, 타카하타 이사오, 오오츠카 야스오, 토모나가 카즈히데, 콘도 요시후미, 야마모토 니조, 츠키오카 사다오, 스기이 기사부로, 데자키 오사무 등 당대 내로라하는 애니메이터가 관여했고, 연출보좌 역할로 카타부치 스나오도 참여했다. 시나리오 초안은 미국의 유명 SF 작가 레이 브래드버리가 썼고, 유명 프랑스 만화가 장 지로도 각본에 참여한 적이 있다고 한다. 작화팀에는 디즈니의 전설적인 애니메이터 팀인 '나인 올드맨'의 두 멤버가 자문역을 맡았다.

이렇듯 당시 일본측 제작팀에는 미국 LA로 건너가 장기간 체류하면서, 일본과 미국에서 최고급 인력을 끌어모으고, 미국에서의 극장 개봉을 위해 프로듀서도 미국 프로덕션과 손을 잡고, 흥행을 위해 얼굴마담격으로 저명한 인사를 고용했는데, 이 미국 측 영화 프로듀서 게리 커츠[2]가 일을 주도적으로 진행하면서 독불장군식으로, 일본측 인력이 제시하는 아이디어나 건의는 번번히 거부하거나 거절해버렸다. 결정적으로 작품을 만드는 사이에 편집권을 둘러싸고 문제가 발생했다. 미국에서 편집권을 가진 사람은 프로듀서뿐이다. 다카하타와 미야자키는 그것에 불만을 품고 일본으로 돌아왔다.

  • 훗날 토미자와 노부오의 인터뷰에 의하면, 원작은 스토리라고 할 만한 것이 없어서 스토리를 만들어야 했는데 미국식으로 미국에서 제작하면 스토리 담당은 프로듀서 담담이라고 한다. 그래서 토모나가 카즈히데가 말하기는, 게리 커츠가 1주일에 1번 정도 현장에 오면, 일본 직원들이 그에게 설명을 해야 했다고 한다. 그러고는 "이 아이디어는 좋다. 이 아이디어는 필요없다" 이런 식으로 말을 하고, 그가 돌아가면 타카하타 이사오는 분해서 왜 이 아이디어는 필요가 없냐고 이것을 빼면 이야기가 연결이 안되지 않느냐며 화를 냈다고 한다. 이 밖에도 문화적인 차이로 마찰이 있고, 일본인 스태프가 미국인하고 일을 하는 것이 싫다고 거부반응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러다 보니, 일본측 인력이 반발하고 줄줄이 그만둬버리는 사태가 일어났다. 당시 일본 최고의 작화, 연출 인력을 자랑하던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은 이 사건으로 미야자키 하야오 파벌이 회사를 집단 퇴사함으로서 반토막이 나버리고 만다. 본격적인 작화 작업에 들어가기도 전에 시간만 질질 끌다가 45억엔의 자금이 바닥이 나버렸다. 결국, 2가지 버전의 파일럿 필름(이후 1987년에 3번째 파일럿 필름이 만들어졌다.)과 수 많은 각본과 방대한 스케치와 이미지 보드, 그림 콘티 등만을 남긴 채, 1978년부터 시작한 야심찬 계획은 1984년 8월에 제작은 일단 중단됐다.

3가지 버전의 파일럿
1987년에 다시 자금 10억엔의 투자를 받고, 말썽 많았던 미국 측 프로듀서와는 계약을 해지하고 이번에는 스텝을 전면 쇄신해서 다시 제작을 시도했지만, 지금까지 준비했던 것들을 정리해서 울며 겨자 먹기로 어떤 식이라도 영상 하나는 건져보자는 정도에 불과했고 그동안 제출된 휼륭한 아이디어와 디자인, 이미지 보드, 콘티는 활용되지 못하고, 디즈니의 열화된 버전의 작품이 나오고 말았다.

콘도 요시후미토모나가 카즈히데가 만든 파일럿 필름(1984년)만 보아도, 굳이 미국 측과 제휴하지 않고 일본의 인력만으로 제작했더라도 후대에 길이 남을 걸작이 만들어졌을 터라 아쉬움이 남는 작품이다.

  • 이 파일럿 필름을 본 미국측 스태프 사이에서도 엄청나게 평판이 좋았다고 한다. 여기서 니모의 얼굴은 미국인 애니메이터가 그린 원화를 콘도나 토모나가가 수정을 했다고 한다. 오오츠카 말로는 미국에서는 원화가가 그린 그림을 타인이 수정하는 일이 없다고 한다. 프로듀서가 납득할 때까지 그 원화 담당자가 다시 그린다고 한다. 그리고 이 두 사람이 일을 잘하는 것을 보고, 오오츠카 야스오는 텔레콤 회사도 그만두고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은퇴할 결심을 했다고 한다. 이 두 사람에게 맡겨두면 괜찮겠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토모나가와 토미자와에 의하면, 이후 텔레콤은 차기작으로 워너 브라더스와 합작 작업을 하면서 미국의 하청 애니메이션을 만들게 되고 그런 미국식 작화 스타일에 대해 오오츠카 야스오가 마음에 들어하지 않아 했으며 그보다 나이가 어린 스태프한테 원화를 수정당한 적도 있어서 그런 것에 자존심을 상했을 지도 모른다는 말을 했다. 그리고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도 있어서 점점 현장에 출근을 하지 않게 되고 결국 그만두었다고 한다. 이후 '기술고문직'이라는 직함으로 2010년까지 텔레콤 소속으로 남았지만 출근을 매일 하지 않는 비상근직이었다.

그래도 완성본도 작화는 꽤 괜찮은 편이다. 스태프가 줄줄이 그만뒀지만 그래도 텔레콤 프로덕션을 떠나지 않은 오오츠카 야스오토모나가 카즈히데는 남아서 제작에 관여했기 때문이다. 다만 원래 계획대로의 멤버가 모여서 만들었다면 이보다 훨씬 나았을 것이다.

여담으로 이때 미야자키 하야오가 레이 브레드버리의 초안을 읽고 이래도 되냐며 "오락영화는 무엇인가?"라는 글과 함께 경영진에게 따지면서 제안했다가 거절당한 시놉시스 원안은,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의 성공으로 지브리 스튜디오를 설립한 이후 천공의 성 라퓨타로 만들어졌다. 이후 NHK 측에서는 가이낙스를 기용해 이 원안을 바탕으로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를 만든다.
비둘기 집의 비둘기들과 함께 서서 지붕 위에서 트럼펫을 부는 미국 소년 니모
그 지붕 위에 비행선이 착륙, 타고 있던 사람은 해적 프릿프 프랏프
비행선이 찾아 간 곳은 공중에 떠 있는 왕국 슬램버랜드.
그 곳은 황폐해졌고, 오래된 수많은 로봇들이 버려져 있었다.
왕국의 군주는 프린세스 나우시카.
레이 브레드버리가 쓴 초안은 꿈꾸는 것보다 현실에 충실하자는 나름 진지한 테마를 추구한 스토리였지만, 전혀 상업적이지 않고 테마 자체가 깊이가 없고 유치했다. 아직 아메리칸 뉴 시네마 물결의 영향이 남아있어서 영화에 진지한 테마를 집어넣는 경향이 있던 시절이었다. 일본 측, 특히 미야자키는 이런 것으로 장편 오락 만화영화를 만들어도 되는가 라고 심각하게 반발했다고 한다. 그런데 막상 만들어진 영화에는 레이 브레드버리의 초안은 반영되지 못했다.


3. 게임[편집]




아케이드판
패밀리 컴퓨터
1990년 11월에 캡콤에서 CPS1 기판으로 아케이드 버전과 패밀리 컴퓨터 버전으로 만들어졌으나 그리 알려지지 못했다.(패밀리 컴퓨터판 플레이 영상/공략: #1, #2, #3, #4, #5, #6, #7, #8, #9)


4. 기타[편집]


꼬마펭귄 핑구Pingu's Dream 에피소드에서 오마주된 적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11:39:04에 나무위키 리틀 네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에서는 해저 2만리의 네모 선장도 '네모'라고 읽지만, 영어 발음은 '니모'라고 발음한다. 《니모를 찾아서》의 그 니모이다.[2] Gary Kurtz, 청춘낙서, 스타워즈: 새로운 희망,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 등의 제작에 참여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