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록 사건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 펼치기 · 접기 ]
1776년
1777년
1779년
1781년
조지 워싱턴
소장 호레이쇼 게이츠
소장 앤서니 웨인
사령관 헨리 리 3세
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
1787년
1800년
1805년
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
존 폴 존스
대령 토머스 트럭스턴
준장 에드워드 프레블
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컵 존스
1813년
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
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
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
1814년, 1848년
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
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
소장 제이컵 브라운
소장 윈필드 스콧
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
1815년
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
소장 알렉산더 마콤
소장 앤드루 잭슨
대령 찰스 스튜어트
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
1835년
1846년, 1847년, 1848년
1847년
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
소장 재커리 테일러
소머스 호의 장교 및 승무원 구출
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
1863년
1864년
1866년
1867년
프레더릭 로즈
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
1871년
1873년
1874년, 1904년
1883년
조지 피보디
조지 F. 로빈슨
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
존 혼 주니어
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
1890년
1900년
1902년
1909년
조지프 프랜시스
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
중위 프랭크 H. 뉴컴
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
1914년
1915년
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
폴 H. 크라이봄 그 외
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
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
1928년
1929년
1930년
1936년
토머스 에디슨
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들
소령 월터 리드
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
링컨 엘즈워스
1936년
1938년
1939년
1940년
조지 코한
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
목사 프랜시스 퀸
윌리엄 시넛
1942년
1945년
1946년
롤런드 바우처
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멤버들
미합중국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미합중국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미합중국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
준장 빌리 미첼
1949년
1954년
1955년
1956년
1958년
앨번 W. 바클리
어빙 벌린
조너스 소크 박사
남북 전쟁의 참전 용사들
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로버트 고다드
로버트 프로스트
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
밥 호프
샘 레이번
1962년
1968년
1969년
1973년
1977년
미합중국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
월트 디즈니
윈스턴 처칠
로베르토 클레멘테
매리언 앤더슨
1978년
1979년
중장 아이라 C. 이커
로버트 F. 케네디
존 웨인
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
1980년
1982년
미국 적십자
케네스 테일러
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
베아트릭스 여왕
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
1983년
프레드 워링
조 루이스
루이스 라머
레오 라이언
대니 토머스
1984년
1985년
해리 S. 트루먼
레이디 버드 존슨
엘리 비젤
로이 윌킨스
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
1987년
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
에런 코플런드
메리 래스커
제시 오언스
1988년
1990년
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
로런스 록펠러
대장 매튜 B. 리지웨이
대장 노먼 슈워츠코프
대장 콜린 파월
1994년
1996년
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
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
마더 테레사
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
리틀록 9인
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
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
찰스 M. 슐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
2003년
대장 휴 셸턴
토니 블레어
재키 로빈슨
도러시 하이트 박사
조지프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
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
달라이 라마 14세
바이런 넬슨
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
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
아웅 산 수 치
콘스탄티노 브루미디
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
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
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들
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널드 파머
무함마드 유누스
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
2012년
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
2001년 9월 11일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으로 사망한 남녀들
라울 발렌베리
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들
미국의 공군 에이스들
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들
시몬 페레스
모뉴먼츠 맨
2014년
2015년
2016년
제65 보병연대
잭 니클라우스
셀마 몽고메리 행진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들
OSS
2017년
2018년
밥 돌
래리 도비
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들
USS 인디애나폴리스의 승무원들
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
캐서린 존슨
크리스틴 다든
도로시 본
메리 잭슨
2019년
2020년
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
그렉 르몬드
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및 컬럼비아구 경찰청 소속 경찰관들
제369 보병연대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
2023년
미 육군 제23 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들
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1. 개요
2. 요약
3. 전개
3.1. 주 방위군의 봉쇄
3.2. 연방군 투입
4. 이후
5. 같이 보기


And so, with deep confidence, I call upon the citizens of the State of Arkansas to assist in bringing to an immediate end all interference with the law and its processes.

이에 저는 깊은 신뢰로서 아칸소 주의 시민들에게 요청하고자 합니다. 부디 법의 집행을 더 이상 방해하지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

1954년 9월 24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의 담화(전문)



1. 개요[편집]


Little Rock Crisis

1957년 아칸소 주의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Little Rock Central High School)에서 미국 흑인 학생들의 미국 백인 학교 등교를 둘러싸고 일어났던 일련의 사건. 자유를 표방한 미국의 흑역사이자 동시에 미국 흑인 민권 운동에 한 획을 그은 사건으로 평가된다.


2. 요약[편집]


1954년 미국 연방대법원은 이른바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Brown v. Board of Education, 347 U.S. 483)' 재판에서 '피부색을 이유로 하여 학생들의 교육을 분리하거나 차별할 수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NAACP[1]에서는 인종차별이 심하던 남부의 주에 위치한 백인 학교에 흑인 학생들을 등록시키고자 하였다. 아칸소(Arkansas)의 주도인 리틀록(Little Rock)에서는 성적이 우수한 9명의 학생들을 등록시키기로 하였다.

1957년 백인 학교였던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Little Rock Central High School)에 9명의 흑인 학생이 입학했는데 원래는 17명이었으나 이들 중 8명은 결국 포기했다고 한다. 포기하지 않은 학생들의 이름은 아래와 같으며 이들은 리틀록 나인(Little Rock Nine)이라고도 불린다.[2]

파일:Little Rock Nine.jpg
미니진 브라운
(Minnijean Brown, 1941 - )
엘리자베스 엑포드
(Elizabeth Eckford, 1941 - )
어니스트 그린
(Ernest Green, 1941 - )[3]
텔마 마더셰드
(Thelma Mothershed, 1940 - )
멜바 빌즈
(Melba Pattillo Beals, 1941 - )
글로리아 칼마크
(Gloria Ray Karlmark, 1942 - )
테런스 로버츠
(Terrence Roberts, 1941 - )
제퍼슨 토머스
(Jefferson Thomas, 1942 - 2010)
카를로타 라니어
(Carlotta Walls LaNier, 1942 - )
학교 이사회는 해당 학군의 교육감이었던 버질 블로섬(Virgil Blossom)의 결정 하에 흑인 학생들의 입학을 만장일치로 허가한 후 점진적으로 흑인 학생들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으나(이른바 Blossom Plan) 수많은 백인 학부모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런 인종차별주의자들 중에는 당시 아칸소의 주지사였던 오벌 포버스(Orval Faubus, 1910 - 1994)도 포함되어 있었다.


3. 전개[편집]



3.1. 주 방위군의 봉쇄[편집]


1957년 9월 4일 미국 연방대법원에서는 리틀록 학구(School District)가 흑인 학생들의 입학을 허가해야 한다고 선고했다. 하지만 포버스 주지사는 이를 거부하고 주방위군을 학교로 보내 흑인 학생들의 접근을 원천 봉쇄했다. 주지사는 '평화에 대한 침해와 폭동, 그리고 소요의 즉각적 위험이 있으며, 사람들 및 재산에 해를 끼칠 상당히 유력한 근거가 있기 때문'[원문]이라고 주장했지만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파일:리틀록 주방위군.jpg

흑인 학생들의 등교를 막고 있는 주방위공군. 원 안에 별이 달린 계급장을 통해 공군 병력임을 알 수 있다.

주 방위군은 지휘관인 주지사의 명령에 철저히 따랐으며 마리온 존슨 육군 중령(Lt. Col. Marion Johnson) 휘하의 주방위육군과 인근 리틀 록 공군 기지에서 지원 나온 주방위공군 병력이 흑인 학생들의 접근을 봉쇄했다. 이로 인해 9월 4일 등교한 흑인 학생은 엘리자베스 엑포드뿐이었다. 흔히 그녀가 이에 저항하기 위해 혼자 등교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영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실제 이유는 집에 전화가 없어서 아무도 그녀에게 학교에 가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려주지 못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리틀록 나인은 23일 다시 모였으나 수많은 인종차별주의자 백인 시위대가 학교 밖에 모이는 통에 안전을 이유로 결국 수업 도중 학교에서 나가야 했다.

이 상황을 전해들은 당시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은 3204호 명령을 내렸다.


3.2. 연방군 투입[편집]


3204호 명령의 요지는 '정의의 실현을 방해하는 사람들은 즉각 해산할 것이며, 그렇지 않을 경우 연방군을 투입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포버스 주지사가 끝까지 거부하자 아이젠하워는 실제로 연방군을, 그것도 당시 정예 중에 정예인 미합중국 육군 제101공수사단 병력을 투입했다. 그 결과 연방군과 주방위군이 남북전쟁 이래 처음으로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되었다. 물론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연방군 투입과 동시에 대통령의 권한으로 주방위군의 통수권을 주지사로부터 회수해서 주지사를 지휘계통에서 배제시키고 대통령 명령으로 주방위군 병력들을 복귀시켰기에 대치 상황이 오래 가지는 않았다.[4]

업무만 놓고 보면 101사단 같은 정예 부대를 투입할 필요는 없었지만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사태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고 대통령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정치적 선택으로 101사단이 투입됐고 상징적인 의미를 더하기 위해 출동한 101사단 병력은 전원 백인 장병들로만 구성됐다.

101사단 병력 투입 이틀만에 포버스 주지사는 백기를 들고 흑인 등교 금지 조치를 철회했다. 그러나 흑인 학생의 등교를 반대하는 시위대가 여전히 학생들을 위협하고 있었기 때문에 101사단 병력과 대통령의 지휘를 받는 아칸소 주방위군 병력이 계속 이들을 호위하고 시위대를 해산시켰다.

파일:리틀록 공수부대.jpg

101사단 병사들이 착검M1 개런드 소총으로 시위대를 해산시키고 있다. 맨 앞 육군 이병의 왼팔에 달린 '울부짖는 독수리'(Screaming Eagle) 부대마크가 선명하다.[5]

파일:리틀록 시위대.jpg

시위대 중 한 명이 101사단 병사의 무기를 탈취하려고 폭력을 쓰다가 역으로 개머리판에 얻어맞아 머리에 피를 흘리면서 연행되는 모습이다.

파일:리틀록 주방위군2.jpg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주방위군의 통수권을 회수한 이후의 모습으로 주방위군이 흑인 학생들을 호위하고 있다.

투입 이후 한 학기 동안 101사단은 학교 인근에서 출동 대기 상태로 흑인 학생들의 신변을 지켰다고 한다.

파일:external/www.history.com/minnijean-brown-little-rock-9.jpg

등교하는 학생들을 호위하는 101사단. 학생들이 타려는 차는 101사단이 학생들의 신변보호를 위해 스쿨버스 대용으로 운행한 민수차량이다.


4. 이후[편집]


  • 최초로 졸업한 어니스트 그린은 이른바 리틀록 나인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그는 1958년 센트럴 고등학교를 졸업함으로서 최초의 흑인 졸업생으로 이름을 올렸으며 이는 흑인의 인권과 자존심을 상당히 고양시켰다. 졸업식 당일 학교장은 어니스트에 대한 공공연한 린치 시도가 재학생들 사이에 오르내리던 상황이라 그의 안전을 우려해 졸업식에 오지 말고 집에서 우편으로 졸업장을 받으라는 제안을 했지만 어니스트는 이를 거절하고 졸업식에 참석했는데 졸업식 당일에는 린치 등 불미스러운 사태는 없었다. 졸업 후 어니스트는 미국의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 입학해 학사 학위와 대학원 학위를 받았다. 1965년 그는 아돌프 협회(Adolph instituet. 남부 지역의 소수민족 여성들의 경력 개발을 위해 세워진 단체)의 건축업에 속하는 견습직을 얻었다. 1968년에서 1976년 사이 그는 필립 랜돌프(A. Philip Randolp)의 교육 기금단체(A. Philip Randolph Education Fund)의 책임자로 일했다. 또한 1985년부터는 리만 브라더스에서 일했다. 1981년에는 특출한 이글 스카우트 상(Distinguished Eagle Scout Award)을 받았다.

  •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취임식 날 그간 생존해 있던 리틀록 나인 멤버 전원을 초청했다.

  • 미국에서 연방 정부가 주 정부에 간섭하여 군 통수권을 박탈한 몇 안 되는 사건이기 때문에 여러 미디어에서 인용되는 사건이기도 하다. 드라마 지정생존자에도 이 사건을 모티브로 한 에피소드가 나온다.

  • 이 사건을 일으킨 주지사 오벌 포버스(민주당)는 1958년 갤럽지 앙케이트 조사로 멋진 미국인 남성 10에 들어가면서 오히려 이름을 알리기도 했다. 그는 1967년까지 주지사를 역임했지만 이후에는 번번히 낙선하고 정계에서 물러나 아칸소에서 살다가 1994년 전립선암으로 죽었다. 그는 살아 생전 남부연합 깃발 앞에서 인터뷰하는 등 흑인 차별을 지지한 인종차별주의자였다. 다만 1962년경부터는 백인 우월주의 단체인 백인시민위원회와의 관계를 끊는 등 점차 온건파로 돌아섰고 임기 후반기에는 유화적인 스탠스를 취하면서 1964년 선거에서는 흑인 유권자의 81퍼센트나 되는 지지를 받기도 하였다. 심지어 1988년 미국 민주당 대통령 경선 당시에는 제시 잭슨을 지지하기도 했다. 전체적 삶을 보면 오히려 조지 월리스와 유사한 편.리틀록 사건 하나만으로 이런 이미지를 만들었다.

  • 재즈 베이시스트 찰스 밍거스가 오벌 포버스를 비판하는 곡인 'Fables of Faubus'를 작곡하여 자신의 앨범 'Mingus Ah Um'에 수록하기도 했다.

파일:Little_Rock_Desegregation_1957.jpg

  • 리틀록 나인의 모습 중 어느 백인 여성이 흑인 학생들에게 화를 내는 장면이 유명하다. 이 여성의 이름은 헤이젤 브라이언(Hazel Bryan)인데 이후 헤이젤은 1997년 오프라 윈프리 쇼에 출연해서 자신의 행동을 참회하고 리틀록 나인 중 한 명인 엘리자베스 엑포드와 직접 만나 용서를 구하고 화해했다. 헤이젤은 자신이 찍힌 해당 사진이 유명해진 뒤 인종차별주의자로 두고두고 비난받아야 했다고. 텔레그래프 기사

  • 리틀록 9인이 재학한 센트럴 고등학교는 1998년 교정 전체가 사적지로 등록되었다. 물론 학교로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5. 같이 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11:46:09에 나무위키 리틀록 사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lored People, 당대 가장 큰 규모의 유색인종 차별 폐지 운동 단체.[2] 이 사건 자체를 리틀 록 나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3] '리틀록 나인' 중 가장 먼저 학교를 졸업함[원문] imminent danger of tumult, riot and breach of peace and the doing of violence to persons and property.[4] 미국은 원래 대통령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바로 주지사에게서 주방위군 지휘권을 가져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현재까지 미국에서는 이를 거부한 사례가 없으나 만약 주지사나 주방위군이 이를 거부하는 사례가 발생하면 사실상 그 주 혹은 부대는 중앙정부에 반란을 일으키는 셈이라서 이때는 중앙정부가 연방군을 파견하여 진압한다.[5] 참고로 착검을 하고 시위대에게 겨누는건 당시 미군 야전교범을 따른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