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이시
덤프버전 : r20230302
临沂市[1] , 臨沂市[2]
한국어 독법 : 임기시
1. 개요[편집]
중국 동부 산둥성의 지급시. 성 내에서 가장 크고 넓은 도시이자, 중국에서 10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로 인구가 2020년 기준 1,100만명에 이르러 산둥성에서 제일 많다.
2. 상세[편집]
지명은 이곳을 지나는 하천인 이허 강(
린이의 남북조시대의 지명인 낭야는 중국사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4] 당시 동네를 빛냈던 왕희지를 기념한 공원이 있다. 그 밖에 린이 대학과 이 일대에서 출토된 전국시대 목간을 전시하는 박물관이 있다. 시내 남쪽, 이수이 강 동쪽에는 린이 슈부링 공항이 있는데 주택가에서 겨우 200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지브롤터 공항 이상의 충격을 준다.
1972년에 손빈의 손빈병법이 인차오산(银雀山)의 전한 시기 고분에서 죽간 형태로 발견되어 세계를 놀라게 하였다. 기존에 손무의 손자 병법과 손빈의 병법이 같은 것인지 명확하지 않았는데 4천개의 죽간 무리에는 손빈, 손무의 병법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의문을 해소해 주었다.
3. 교통[편집]
3.1. 항공[편집]
린이 치양 국제공항(临沂启阳国际机场)이 있으며 국제선은 서울, 만달레이, 오사카, 방콕, 나짱으로 취항중이다.
3.2. 철도[편집]
철도로는 고속철도는 르란고속철도(日兰高速铁路)가 린이 북역(临沂北站)에 정차중이며 재래선인 자오신철도(胶新铁路)가 린이 동역(临沂东站), 옌스철도(兖石铁路)가 린이역(临沂站)에 정차한다. 그 외 와르철도(瓦日铁路), 짜오린철도(枣临铁路), 둥핑철도(东平铁路), 이수철도(沂沭铁路)가 린이시 관내를 지나나 린이 시내는 지나지 않고 외곽 역에만 정차한다.
4. 멍산[편집]

시내에서 서북쪽으로 가면 나오는 멍산(蒙山)이 관광지로 유명하다. 산둥성 내에서 타이산 다음으로 높은 산인데, 다이아몬드가 생산되기도 한다. 춘추전국시대에 귀곡자[5] 가 손빈과 방연을 가르친 곳으로서 풍경도 빼어나다.
4.1. 기몽산소조[편집]
밑에는 기몽산소조(沂蒙山小调) 라는 린이 지명의 민요인데, 시진핑의 부인인 펑리위안도 즐겨 부를 정도로 유명하다고 한다.
人人那个 都说哎 沂蒙山好,
rénrénnàgè dōushuōāi yíméngshānhǎo
사람들 모두 다 기몽산이 좋다하여,
沂蒙那个 山上哎 好风光。
yíméngnàgè shānshàngāi hǎofēngguāng
기몽산 오르니 경치가 정말 좋구나.
青山那个 绿水哎 多好看,
qīngshānnàgè lǜshuǐāi duōhǎokàn
청산 녹수 모두 보기 좋고,
风吹那个 草低哎 见牛羊。
fēngchuīnàgè cǎodīāi jiànniúyáng
바람 부는 풀밭에 소와 양이 뛰논다.
高梁那个 红来哎 稻花香,
gāoliángnàgè hóngláiāi dàohuāxiāng
수수[6]
가 붉게 익어가고, 벼 익는 향기 가득하고,沂蒙那个 果子哎 堆满仓。
yíméngnàgè guǒziāi duīmǎncāng
기몽산에 과실이 창고에 가득 쌓여간다.
人人那个 都说哎 沂蒙山好,
rénrénnàgè dōushuōāi yíméngshānhǎo
사람들 모두 다 기몽산이 좋다하여,
沂蒙那个 山上哎 好风光。
yíméngnàgè shānshàngāi hǎofēngguāng
기몽산 오르니 경치가 정말 좋구나.

[1] 간체자[2] 정체자[3] 도시의 뜻 자체가 이허(沂)에 접(临)해있다는 뜻이다.[4] 본래 도시로서의 낭야는 현재는 칭다오 도심 남서쪽인 황다오구에 해당하나, 전한 이후 본래의 낭야가 쇠퇴하고 후한 대부터 낭야군의 치소가 린이 시 일대의 개양현으로 옮기면서 린이시 일대가 낭야로 불리게 되었다.[5] 손빈, 방연, 소진, 장의 등 걸출한 제자를 길러낸 고대 중국의 학자[6] 중국어로 수수는 가오량(高梁 )이라고 부른다. 수수가 주 재료인 중국 전통주를 고량주라고 부르는 것이 이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