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구아 프랑카

덤프버전 : r20230302

라틴어
Lingua franca
한국어
공통어(共通語)

1. 개요
2. 어원
3. 사례
3.1. 현대
3.1.1. 유엔의 공식 언어
3.1.2. 특정 지역에서 통용되는 언어
3.2. 과거
4. 링구아 프랑카를 목적으로 만든 인공어
5.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상호 소통이 불가능한 서로 다른 언어의 화자끼리 의사소통을 위해 정한 언어. 한국어로 번역하여 '공통어' 또는 '통용어'라 부르기도 한다.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정한 언어인 공용어와는 다른 개념이다.


2. 어원[편집]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a)'라는 말은 라틴어로 '프랑크족의 언어'를 뜻한다. 재밌게도 정작 이 단어가 생긴 중세 당시의 링구아 프랑카는 라틴어였다.

'링구아 프랑카'는 원래 '사비르어(Sabir)'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를 '지중해 링구아 프랑카(Mediterranean Lingua Franca)' 또는 '좁은 의미의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a stricto sensu)'라고도 한다. 사비르어는 동지중해 일대에서 서유럽인들과 다른 지역의 상인들이 교역하면서 로망스어 바탕에 여러 언어가 섞여 발생한 피진 언어로, 11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통용되었다. (참고) 중세 당시 동로마 제국아랍권에서는 서유럽인들을 '프랑크족'이라고 퉁쳐 일컬었고, 사비르어 역시 '링구아 프랑카'로 불렸다. 이후 '링구아 프랑카'는 의미가 확장되어 '공통어' 역할을 하는 언어 전반을 가리키는 단어로 쓰이고 있다.


3. 사례[편집]



3.1. 현대[편집]



3.1.1. 유엔의 공식 언어[편집]


파일:UN 엠블럼(하얀색).svg UN 공식 언어
[[영어|

파일:영국 국기.svg

English
영어]]
[[프랑스어|

파일:프랑스 국기.svg

Français
프랑스어]]
파일:스페인 국기.svg
Español
스페인어

[[러시아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Русский
러시아어]]
파일:중국 국기.svg
中文
중국어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العربية
아랍어



  • 영어: 20세기 이후로 사실상 전 인류의 링구아 프랑카다. 그 엄청난 영향력으로 인류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세계 공통어의 자리를 얻어냈으며, 유엔과 영연방은 물론 절대다수의 국제기구들에서도 영어를 공식 언어로 삼고 실무에 쓰고 있다. 일상적으로도 영어가 제1 통용어 역할을 하지 않는 곳을 찾는 게 더 빠를 정도이다.[1] 이러한 영어의 위상 때문에 영어권이 아닌 지역의 사람들도 좋든 싫든 영어의 영향을 알게 모르게 받고 있다.
  • 프랑스어: 라틴어가 위축된 이후 영어의 시대가 도래하기 전인 15~20세기까지는 유럽을 포함한 서구권에서 '국제어'라는 명칭으로 불릴 정도로 그 위상이 높았다. 이러한 역사 때문에 영어가 부상한 뒤에도 유엔, 유럽 연합, 아프리카 연합, 라틴 연합 같은 여러 국제 기구들의 공용어에는 프랑스어가 있고, 학계에서도 프랑스어를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오늘날에도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서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 북아프리카의 여러 국가 등에서는 서로 민족과 언어가 다른 사람들끼리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프랑스어가 주로 쓰인다.
  • 스페인어: 중국어 다음가는 원어민 화자 수를 보유한 언어이자, 영어 다음으로 가장 많은 대륙권에 퍼져 있는 언어다. 스페인은 물론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대부분의 중남미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도 영어 못지않게 스페인어의 힘이 막강하다. UN, 유럽 연합, 라틴 연합,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중미 통합 체제, 메르코수르, 프로수르, 남미국가연합, 안데스 공동체,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국가공동체, 아프리카 연합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어 있다.
  • 러시아어: 냉전 시절에는 공산권의 수장이었던 소련의 실질적인 공용어였기에 영어와 함께 양대 국제어로 대우받았다. 그래서 소련 해체 이후에도 소련 구성국들 사이에는 러시아어가 공통어로 흔히 쓰이며, 유엔, 독립국가연합, 유라시아 경제 연합, 유네스코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어 있다. 동구권도 비슷한 이유로 러시아어가 링구아 프랑카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어 북한, 중국, 몽골 등에서도 서로 외교에 러시아어를 쓰고 제1외국어로 가르쳤지만, 공산권 붕괴 이후로는 이를 영어에게 다소 내준 상태다. 물론 러시아의 국력과 영향력을 감안했을 때 동구권 내에서 러시아어의 지위는 아직 낮다고 보기는 어렵다. 동구권 외에 중앙아시아캅카스 3국 등 구 소련 지역에서는 여전히 러시아어가 통용어 역할을 하고 있어 영어보다 러시아어 구사자를 찾기가 더 쉽다.
  • 중국어(표준중국어): 세계 제일의 원어민 화자 수를 자랑하는 언어지만, 유엔의 다른 공식 언어들처럼 많은 국가에서 통용되는 언어까지는 아니다. 하지만 중국어는 별개의 언어로 간주할 수 있을 정도로 방언 간 차이가 매우 커, 서로 다른 지역의 방언만을 구사하는 사람끼리는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중국 정부는 일찍부터 표준중국어 보급에 힘을 크게 기울였고, 중국인들도 다른 방언을 쓰는 사람과 소통하기 위해 표준중국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표준중국어는 중국인, 범위를 넓힌다면 대만인, 홍콩인, 마카오인, 그 외 세계 각지에 진출한 화교들의 공통어라 할 만하다. 이러한 현상은 20세기에만 있던 건 아니라서, 명나라 시절부터 서로 다른 방언을 모어로 하는 중국의 관료들은 표준중국어의 모태가 된 방언인 관화로 의사소통했다.
  • 아랍어: 아랍권의 공용어이자 이슬람 문화권의 국제어다. 비무슬림 중에서도 아랍계 기독교인들이나 미즈라힘들이 아랍어를 사용한다. 다만 표준 아랍어는 공식적인 자리에서만 사용되고 화자들의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지역별 아랍어 방언이 쓰이는데, 중국어의 사례와 비슷하게 다른 방언끼리는 의사소통이 거의 되지 않는다.

3.1.2. 특정 지역에서 통용되는 언어[편집]


  • 일본어: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 일본 제국의 통치하에 놓인 동아시아남태평양에서 퍼져 나갔다. 예를 들어 대만 원주민들은 민족마다 언어가 달라서, 대만중화민국으로 편입된 이후에도 소통을 위해 일본어를 자주 사용했다. 한반도 역시 광복 직후 제주 4.3 사건 때 제주도로 파견된 본토 진압군이 제주도민들의 방언을 이해하지 못해 서로 일본어로 대화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일제가 패망하면서 각 식민지에서 일본어의 공용어 지위가 박탈되자 일본어는 그 세력이 크게 줄어들었고, 그 뒤로는 다시 일본 열도에서만 쓰이고 있다. 냉전을 거치고 일본이 선진국 지위를 되찾으면서 현대 일본 문화가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끌자, 이를 향유하는 오타쿠들 사이에서는 마치 유사 공통어처럼 쓰이곤 한다.[2] 일본 제국 시절의 지위에 비하면 아직 정치적, 경제적으로는 그 위세가 높다고 할 수는 없고, 오타쿠라는 특정한 계층 내에 한해서만 어마어마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정도이다.
  • 독일어: 유럽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이자 러시아어 다음으로 유럽에서 화자 수가 많은 언어다. 과거에도 한자동맹저지 독일어로 소통했고, 신성 로마 제국도 공용어는 라틴어였으나 일상에서는 독일어가 많이 사용되었다. 오늘날의 구어로서의 표준 독일어도 본래는 독일어권 지역 간의 소통을 위해 어느 정도 인위적으로 형성된 언어다. 독일어는 방언간 차이가 매우 심하여 소통하는 것이 굉장히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신성 로마 제국 시절부터 이어져 온 동방식민운동의 결과로 동유럽에는 다수의 독일어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나치가 패망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들이 추방되거나 도주하면서 독일어의 영향권은 크게 축소되었고, 오늘날에는 독일 주위 리히텐슈타인,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지에서 주로 통용되고 있다. 다만 동유럽의 구 독일어권 지역 현지인들도 자신들의 역사를 알기 위해 일부러 독일어를 배우는 경우는 의외로 적지 않은 편이다.
  • 힌디어, 우르두어: 힌디어의 경우 인도에서는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어서 남인도를 제외한 북인도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인도 주변의 네팔, 부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에서는 많이 배우고 있다. 힌디어와 방언 수준으로 가까운 언어인 우르두어 또한 인도와 파키스탄의 무슬림들 사이에서 널리 쓰이며, 펀자브어, 벵골어 등 다른 언어가 모어인 인도계 무슬림들도 우르두어를 많이 배운다.
  • 페르시아어: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에서는 공용어이자 링구아 프랑카로 쓰이고 있지만,[3] 페르시아 문화권에 속했던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무굴 제국, 오스만 제국, 일 칸국에서는 링구아 프랑카로 자주 사용되었다.
  • 포르투갈어: 포르투갈과 브라질에서 공용어, 통용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16-17세기에 국한하자면 워낙 포르투갈이 동서양간 해상 교역 초기에 남긴 족적이 워낙 크니 훗날 진출한 네덜란드나 영국인 상인도 인도나 동아프리카 현지 관리, 부족장들과 대화하기 위해 포어를 쓰는 등 한동안 인도양 무역권 전반에서 아랍어, 페르시아어와 위상을 두고 경쟁하는 무역 공용어 위치에 있었다. 또한,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라틴 연합,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프로수르,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국가공동체, 아프리카 연합의 공용어에 속하기도 한다.
  • 마인어: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는 고립된 지역이 많아 지역마다 수많은 현지 언어가 존재한다. 전근대부터 해상 교류가 활발했던 말레이 제도에서는 의사소통을 위해 마인어를 사용해 왔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마인어의 인도네시아 표준인 인도네시아어를 국어로 지정하고 인도네시아어 교육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으며, 그 결과 현대의 인도네시아인들은 출신 지역마다 다른 모어를 가짐에도 기초교육을 받았다면 인도네시아어로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싱가포르 또한 말레이인이 최대 소수민족이고 마인어가 국어인 만큼 마인어가 영어, 중국어, 타밀어와 더불어 4대 공용어다.
  • 타갈로그어(필리핀어): 역사적으로 필리핀에서는 수많은 부족들이 살고 있었고, 제각기 사용하는 언어들 역시 달랐다. 스페인의 통치를 받았던 필리핀에서는 스페인어가 주요 공용어로 쓰였지만 독립 후 필리핀 민족주의자의 영향으로 타갈로그어가 스페인어를 밀어내고 공용어 지위를 얻어낸다.
  • 스와힐리어: 동아프리카의 공용어이자, 케냐탄자니아, 우간다에서는 영어와 함께 공용어이자 국어로 지정되어 있고 르완다, 콩고민주공화국, 코모로, 마다가스카르에서는 국어 및 필수외국어로 지정되어 있어서 가르치고 있다. 그리고 아프리카 연합, 동아프리카 공동체의 공용어로도 지정돼 있다.
  • 사하어: 러시아 극동에 위치한 자치공화국 사하 공화국의 법적 공용어로, 공화국 내에서 소수민족에 속한 돌간인, 어웡키족, 에벤족, 유카기르 사이에서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로 쓰인다.
  • 터키어: 튀르키예, 북키프로스에서 쓰이는 공용어이자 튀르크족의 중심으로 튀르크계 국가에서는 필수외국어로 지정되어 있어서 가르치고 있다.

3.2. 과거[편집]


과거에는 링구아 프랑카로 통용됐으나, 현대에는 그 세력이 크게 축소되어 링구아 프랑카로 간주하기 어려워졌거나 아예 사멸한 언어들이다.
  • 아카드어: 본래 아카드인들의 언어였으나 융성했던 아카드 제국의 국력 덕분에 아카드 제국이 멸망한 후에도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등의 국가가 아카드어를 사용했고 오랫동안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외교표준어로 사용되었다. 이집트 왕조의 전성기 중 한 시대였던 고대 이집트 18왕조조차도 아마르나 문서에서 보면 국제관계에서 아카드어를 사용했던 것을 알 수 있다.
  • 아람어: 고대 서아시아의 국제어. 본래 아람인이 쓰던 언어였으나 아시리아 제국의 공용어가 되면서[4] 서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 유대인들은 예수가 아람어를 모어로 사용한 사례에서 보듯이 히브리어보다 아람어를 더 자주 사용할 정도였으며 아케메네스 왕조 시절 페르시아도 아직 페르시아어가 널리 퍼진 언어가 아니었기 때문에 공문서는 아람어로 주로 썼다.
  • 코이네 그리스어: 로마 제국의 서쪽은 라틴어를 공용어로 썼지만, 공화정 시절부터 그리스와 중동, 이집트 등 제국 동부 지역에서는 코이네 그리스어가 광범위하게 쓰였다. 신약성경이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여진 것도 제국 동부를 중심으로 널리 퍼진 기독교 신자들끼리 모국어가 달랐기 때문이다. '코이네'라는 단어는 단어 뜻부터 '보편적이다'라는 뜻이다. 그리고 로마 제국이 분할되고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그리스어 지역만 영토로 남게 된 동로마 제국은 공식적으로 라틴어보다는 그리스어를 쓰기 시작했다. 이슬람 제국의 발흥으로 동로마 제국의 영향력이 축소되고 오스만 제국이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킴으로써 그리스 민족만이 쓰는 언어로 전락했다.
  • 라틴어: 라틴족의 언어로 고대 로마의 언어였다. 고대 로마의 부흥으로 전 유럽에 라틴어가 퍼지면서 로마 제국 이후 근대 이전까지 유럽, 특히 서유럽에서 널리 쓰였다. 종교, 학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였는데, 아이작 뉴턴프린키피아만 봐도 영어가 아닌 라틴어로 발표할 정도로 라틴어는 당시 유럽의 링구아 프랑카였다. 학명이 라틴어화된 이름을 쓰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카를 폰 린네가 살던 18세기까지도 라틴어가 학술 및 교양적인 언어로 통용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유럽에서 주로 쓰이는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의 고급 어휘들은 고대 그리스어나 라틴어에서 유래가 되었을 정도로 현재 유럽의 언어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 오스만어: 오스만 제국 시대에 아나톨리아 반도와 동남부 유럽의 무슬림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황궁을 비롯해 통치조직 내에서도 쓰였다. 다만 로마 제국이 그랬듯이 여러 언어들을 인정했으므로 오스만 투르크어만 쓴 것은 아니다. 오스만 제국의 피지배민족들이 여러 나라로 갈라져 제각기 독립하고, 오스만 제국이 무너진 후에 들어선 튀르키예 공화국의 언어 개혁으로 생겨난 현대 튀르키예어가 터키의 공용어 자리를 차지하면서[5], 오스만어는 단순히 링구아 프랑카 지위를 상실한 걸로 모자라 사실상 사어로 전락했다.
  • 산스크리트어: 역사적으로 인도 반도의 국가들끼리 널리 사용되었다. 현재 남아시아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들에게도 거대한 영향을 끼쳤다.
  • 한문(고전 중국어): 19세기 말까지 동아시아 지역(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에서 글말로 두루 쓰였으며 동아시아의 링구아 프랑카였다. 이들 사이에 외교를 하거나 문서를 주고 받을 때는 한문을 사용하였다.
  • 나와틀어: 나우아인이 메소아메리카의 주류 민족이 되면서 링구아 프랑카가 된 언어. 본래 나우아인은 북쪽에서 남하해온 민족이었으나 톨텍 시기 멕시코 고원의 패권을 장악하기 시작했고 아즈텍 제국에 이르러서는 나우아인의 일파인 멕시카족이 메소아메리카에서 가장 거대한 제국을 세워 메소아메리카 전역의 공용어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스페인의 정복으로 스페인어에 밀려 현재 나우아틀어 화자는 멕시코 전체 인구의 1%밖에 안된 상태이다.
  • 케추아어: 예전에 잉카 제국 시절에는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되었지만, 스페인의 정복 이후에는 세가 줄어들다가 결국 스페인어에 링구아 프랑카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다만 현재는 페루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4. 링구아 프랑카를 목적으로 만든 인공어[편집]


  • 에스페란토: 에스페란토 자체가 인류의 링구아 프랑카를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현재는 에스페란티스토들의 링구아 프랑카로서 기능하고 있긴 하다.
  • 링구아 프랑카 노바: 에스페란토와 같은 인공 국제 보조어. 로망스어군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5. 같이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08 23:10:37에 나무위키 링구아 프랑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어보다 다른 언어가 통용어로 더 널리 쓰이는 경우는 예를 들면 중앙아시아(러시아어), 마그레브 지역(프랑스어) 등을 꼽을 수 있다.[2] 농담삼아 오타쿠 라틴어덕틴어라고 부를 정도.[3]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다리어라 불리며 타지키스탄에서는 타지크어라 부르고 키릴 문자로 표기하지만 페르시아어와 거의 같다.[4] 다만 아람어가 아시리아에 반입되고 나서도 공식 국가어는 아카드어였다.[5] 오랜 세월 동안 아랍어 및 페르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들을 튀르크 고유어로 바꿔나가고 로마자를 도입하는 등등으로 현재의 튀르키예어는 극초창기 오스만어와 가까워지고 오히려 이 이후의 오스만어와는 멀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튀르키예 역사와 문학을 전공하고자 한다면 오스만식 표기법과 사멸한 단어를 필수로 배워야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