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금한기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금관가야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수로왕
거등왕
마품왕
거질미왕
이시품왕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좌지왕
취희왕
질지왕
겸지왕
구형왕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김세종
김솔지
김무력
김서현
김유신
대가야
초대
계보 미상
제?대
제?대
제?대
이진아시왕
금림왕
기본한기
하지왕
계보 미상
제9대
계보 미상
제16대
태자
이뇌왕
도설지왕
월광태자
소가야(족보상 언급)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말로왕
대아왕
미추왕
소간왕
아도왕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질노왕
거아왕
달나왕
이형왕
아라가야
탁순국
탁국
제?대
제?대
말대
제?대
말대
가실왕
말금한기
아리사등
기능말다간기
함파한기




1. 개요
2. 호칭


1. 개요[편집]


末錦旱岐

한기(旱岐)는 가야 소국의 왕을 지칭할 때 쓰는 호칭이고, '말금'은 마립간에 해당하는 명칭 '매금'과 동계어로 파악되는 단어인지라 실제 이름일 가능성은 낮다.


2. 호칭[편집]


일본서기진구 황후 조를 보면 아래와 같은 기사가 나온다. 번역은 동북아 역사 재단의 역주 일본서기를, 요약은 초록불쓴 글을 참고하였다.

46년(246년 / 366년) 봄 3월 을해삭 1일에 사마숙녜(斯摩宿禰 : 시마노스쿠네)를 탁순국(卓淳國)에 파견했다. 이때 탁순왕(卓淳王) 말금한기(末錦旱岐)가 사마숙녜에게 이렇게 말했다.

“갑자년(甲子年, 244년 / 364년)[1]

7월에 백제인 구저(久氐), 미주류(彌州流), 막고(莫古) 세 사람이 우리나라에 와서 ‘백제 왕이 동방의 귀한 나라 일본에 다녀오라고 했는데 그 길을 가르쳐 달라.’라고 했다. 바다가 멀고 풍랑이 심하니 큰 배가 있어야 갈 수 있다고 하니 ‘배를 준비하겠다. 귀한 나라의 사신이 오면 꼭 우리 나라에 알려달라.’라고 했다.”

그래서 사마숙녜는 종자와 탁순인을 붙여 백제로 가게 했다. 백제의 근초고왕은 매우 기뻐하며 보물을 나눠주고 일본에 조공하고 싶다고 이야기했다.

말금(末錦)을 한자가 비슷해 잘못 쓰기 쉬운 미금(未錦)의 오기로 보고, 이를 「광개토왕릉비문」·「지증대사비문」·『일본서기』 등에 보이는 신라 왕의 호칭임 매금(寐錦)과 동일시하는 설도 있다. 그러나 말금(末錦)은 일본서기 독음이 makomu이고 매금(寐錦)은 mukimu이므로 우리 발음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더라도 일본어로는 발음이 다르다. 그리고 만약 말금이 매금과 같다면 말금한기는 서로 다른 두 왕칭이 붙어 있는 것이 되는데, 이는 정상적인 호칭이라 볼 수 없다. 위의 일본서기 기록에는 앞에 왕이라는 호칭까지 있으니 서로 다른 세 왕칭을 동시에 쓰는 게 돼버린다.

그러나 일단 공통적으로 ㅁㄱㅁ 형태의 자음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마코무와 무키무가 꼭 다르다고 볼 순 없다는 반론도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두 왕칭을 중복해 사용한 경우도 사례가 있다. 바로 법흥왕매금왕(寐錦王)으로 표기된 것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6:45:20에 나무위키 말금한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사의 배경인 신공 46년은 병인년이므로 이보다 2년 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