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r20230302판에서 저장되지 않은 문서입니다.
자동으로 r20220720판 문서를 읽어왔습니다.
자동으로 r20220720판 문서를 읽어왔습니다.
맨해튼(칵테일)
덤프버전 : r20220720
1. 개요[편집]
위스키 베이스로, 칵테일의 여왕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칵테일이다. 스위트 베르무트가 들어가 달콤한 맛을 지니고 있으며, 때문에 식전주로도 분류된다.
물론 마티니와 같은 비슷한 부류의 클래식 칵테일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달콤한 맛이 난다는 것이지, 초보자가 트로피컬 칵테일과 같은 달달한 맛을 생각하고 주문하면 낭패를 볼 수 있다.
2. 상세[편집]
역사가 오래된 클래식 칵테일이다 보니 기원에 관한 내용이 정확하지 않다. 마가리타의 경우처럼 여러 가설들만 제시되어 있을 뿐.
하나의 유명한 가설을 소개하자면 1870년 뉴욕의 맨해튼 클럽이라는 곳에서 윈스턴 처칠의 어머니가 당시 대통령 후보였던 새뮤얼 J.틸던을 위한 파티를 열었는데, 이때 레인 마셸(Lain Marshall)이라는 바텐더가 선보였던 칵테일이라는 것. 이후 클럽의 이름을 가져와 유래가 되었다는 것이다.
다만 이 당시 처칠의 어머니는 프랑스에 있었으며, 심지어 임신 중(...)이였으므로 신빙성이 부족하다. 물론, 1870년이면 임산부가 술을 마셔도 이상하지 않기는 하다.
결과적으로 여전히 기원은 알 수 없으며, 정확한 역사는 아직까지 알 길이 없다.
3. 레시피[편집]
3.1. IBA 공식 레시피[편집]
클래식 칵테일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맨해튼 역시 좋은 재료를 써야 맛이 좋아진다. 특히 위스키의 품질은 전체적인 완성도 자체를 좌우하기 때문에 너무 저렴한 브랜드는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앙고스투라 비터스 역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마라스키노 체리 또한 마찬가지로 싸구려 칵테일 체리를 쓰느냐 룩사르도처럼 괜찮은 브랜드를 쓰느냐에 따라 맛이 상당히 달라진다.
3.2. 조주기능사 레시피[편집]
4. 기타[편집]
여타 칵테일과 마찬가지로 필을 써주면 산뜻함을 느낄수 있다.
역시 규모가 작은 바에는 쓰임새가 제한적인 라이 위스키를 들여놓지 않기 때문에 대신 버번 위스키를 사용한다.
바리에이션이 몇 가지 존재하는데
- 'AVERNA'라는 이탈리아 리큐르를 베르무트 대신 사용하는 블랙 맨해튼.
- 스위트 베르무트와 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하는 퍼펙트 맨해튼. 앙고스투라 비터스는 오렌지 비터스로 대신할 수 있고 가니쉬는 마라스키노 체리 또는 작은 레몬 필을 쓴다.
- 레드 베르무트와 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하는 미디엄 맨해튼.
- 버번 대신 스카치 위스키로 만드는 롭 로이(Rob Roy). 스카치는 버번보다 훨씬 다양하니 위스키 선택에 주의해야 한다. 보통 조니 워커 블랙 또는 페이머스 그라우스를 사용한다.
여담이지만, 심슨 가족에서 바트 심슨은 맨해튼 만드는 실력 하나로 마피아의 유력 인사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