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 성운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육군 제식 권총의 제식명에 대한 내용은 SIG M17 MHS 문서
SIG M17 MHS번 문단을
SIG M17 MHS#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메시에 천체 목록
Messier catalog


[ 펼치기 · 접기 ]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M11
M12
M13
M14
M15
M16
M17
M18
M19
M20
M21
M22
M23
M24
M25
M26
M27
M28
M29
M30
M31
M32
M33
M34
M35
M36
M37
M38
M39
M40
M41
M42
M43
M44
M45
M46
M47
M48
M49
M50
M51
M52
M53
M54
M55
M56
M57
M58
M59
M60
M61
M62
M63
M64
M65
M66
M67
M68
M69
M70
M71
M72
M73
M74
M75
M76
M77
M78
M79
M80
M81
M82
M83
M84
M85
M86
M87
M88
M89
M90
M91
M92
M93
M94
M95
M96
M97
M98
M99
M100
M101
M102
M103
M104
M105
M106
M107
M108
M109
M110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메시에 천체
M16
수리 성운

뱀자리의 발광성운

M17
오메가 성운

궁수자리의 발광성운

M18
메시에 18

궁수자리의 산개성단

NGC 천체
NGC 6617
용자리의 정상나선은하

NGC 6618
궁수자리의 방출성운


NGC 6619
헤르쿨레스자리의 타원은하

M17
오메가 성운
Omega Nebula

파일:external/apod.nasa.gov/m17_gendlercolombari_960.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18h 20m 26s
적위
-16° 10' 36"
별자리
궁수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방출성운
H II 영역
거리
5,500 광년
1,690 파섹
영역의 넓이
40 광년
질량
800M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6.0
명칭
M17, NGC 6618, 말굽 성운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위치 및 찾는 방법
5. 다른 메시에 천체목록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Messier 17 / M17

오메가 성운[1]궁수자리에 위치한 산개성단을 품고 있는 발광성운이자 전리수소영역이다.

성운의 모양이 그리스 문자 오메가(Ω)와 비슷해서 오메가 성운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말굽 성운이라는 이름도 역시 말의 발굽 모양과 닮았다 해서 얻게 되었다. 수리 성운오리온 대성운과 같이 새로운 별들이 생성되는 소위 '별들의 요람' 중 하나인 천체이다.

2. 역사[편집]


1745-46년에 스위스의 천문학자 필립 로이 드 셰소가 발견하였다. 오메가 성운은 그의 기록에서 단 여섯개의 천체만 얻은 '성운이라고 제대로 불릴만한' 천체로 기록되었다. 필립 로이 드 셰소의 발견을 잘 알지 못했던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는 1764년 6월 3일 오메가 성운을 독자적으로 발견하였고 자신의 기록에 열일곱 번째 천체로 등재시켰다.


3. 특징[편집]


대부분의 발광성운들이 그러하듯 오메가 성운도 특유의 붉은 빛을 내는데 이것은 성운을 이루는 수소가스가 성운 내부에서 생성된 별들에서 뿜어져 나오는 강한 방사능과 항성풍에 의해 전자가 날아간 '이온화'된 수소에서 나오는 수소선이 붉은 파장을 갖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전리수소영역을 참고.

오메가 성운은 지구에서 5000-6000광년 떨어져 있다. 시직경은 11'이며 직경은 약 15광년, 질량은 태양질량의 800배이다. 그러나 성운 주변의 성간물질까지 따진다면 직경은 40광년, 질량은 3만 태양질량이 된다. 성운 내부의 산개성단은 수백개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 성간물질에 의해 가려져 있다. 이들 별에서 나오는 강한 항성풍과 방사선이 성운의 가스를 빛나게 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이들 별의 항성풍에 의해 가스들이 외부로 다 날아가버려 최종적으로는 산개성단만이 남게 될 것이다.


4. 위치 및 찾는 방법[편집]


파일:external/image.idaesoon.or.kr/%EA%B6%81%EC%88%98%EC%9E%90%EB%A6%AC.jpg
오메가 성운은 우리은하 중심부 방향 근처의 거대한 은하수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근처에는 많은 성운성단들이 존재한다. 그때문에 천체 사진에서 이 부근은 소위 '스테디셀러'인 위치이며 대부분의 은하수 사진에는 오메가 성운이 포함되어 있다.[2]

M17은 방패자리 감마에서 남서쪽으로 2° 이동하거나 M16에서 남쪽으로 2° 이동하여도 된다. 또는 M18에서 북쪽으로 1° 이동하여도 된다. 궁수자리 델타와 엡실론의 거리의 3배를 엡실론의 북북서쪽으로 연장하여도 나오게 된다.


5. 다른 메시에 천체목록[편집]



메시에 천체 목록
Messier catalog


[ 펼치기 · 접기 ]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M11
M12
M13
M14
M15
M16
M17
M18
M19
M20
M21
M22
M23
M24
M25
M26
M27
M28
M29
M30
M31
M32
M33
M34
M35
M36
M37
M38
M39
M40
M41
M42
M43
M44
M45
M46
M47
M48
M49
M50
M51
M52
M53
M54
M55
M56
M57
M58
M59
M60
M61
M62
M63
M64
M65
M66
M67
M68
M69
M70
M71
M72
M73
M74
M75
M76
M77
M78
M79
M80
M81
M82
M83
M84
M85
M86
M87
M88
M89
M90
M91
M92
M93
M94
M95
M96
M97
M98
M99
M100
M101
M102
M103
M104
M105
M106
M107
M108
M109
M110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7:10:04에 나무위키 오메가 성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말굽 성운이라고도 불린다.[2] 이 부근, 즉 궁수자리 방향의 은하수가 제일 두껍고 밝기 때문이다. 우리은하의 중심부 방향이니 당연하다면 당연한거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