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에 46
덤프버전 : r20230302
1. 개요[편집]
Messier 46 / NGC 2437
M46은 고물자리에 있는 산개성단이다. 1771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했다.
할로 섀플리 산개성단 분류법에 의하면 f형 산개성단이며 로버트 트럼플러 산개성단 분류법에 따르면 II,2,r형 산개성단이다.
2. 역사[편집]
1771년 2월 19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처음 발견하였다. 그가 첫번째 버전의 메시에 천체 목록을 프랑스 파리 과학 협회에서 발표하고 3일 뒤에 발견했다. 이날 메시에는 본 문서 항목인 M46부터 M49까지 4개의 천체를 한꺼번에 발견한다. 그는 메시에 46에 대해 "매우 밝고, 매우 별이 풍부하며, 매우 넓다."라고 묘사했다.
3. 특징[편집]
M46은 지구에서 5,400 광년 떨어져 있다. 많은 별들로 구성되어 있는 성단인데 겉보기 등급 10~13등급의 150여개의 별을 포함, 약 500여개로 이루어져 있다.
약 3억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측되며 현재 42km/s의 속도로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다. 시직경은 27'이며 반경은 15광년이다.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은 겉보기 등급 8.7등급에 A0형 주계열성인데 태양 밝기의 약 100배 정도 더 밝다.
M47과 가까이 붙어 있다. M46의 서쪽 1°에 M47이 있어 쌍안경으로 보면 한 시야에 두 성단을 같이 잡을 수 있다. 둘을 묶어 고물자리 이중성단이라고도 한다.
3.1. NGC 2438[편집]
신기하게도 M46에는 행성상성운 NGC 2438이 있다. 1786년 3월 19일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발견하였다. 중심의 백색왜성은 겉보기 등급 17.7등급이지만 표면온도는 약 75,000K나 된다. M46의 중심에서 북쪽으로 7' 떨어져 있는 변두리에 존재한다.
처음에는 M46의 일원인 줄 알았으나 밑에 서술할 세 가지의 이유로 인해 이 성단의 일원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1. M46은 현재 42km/s의 속도로 지구와 멀어지는 것에 비해 NGC 2438은 77km/s의 속도로 지구와 멀어지고 있다. 그 속도차이를 계산하여 본 지구와의 거리는 M46이 5,400광년 떨어져 있지만 NGC 2438은 1,370광년 떨어져 있다.
2. 대개의 행성상성운은 매우 짧은 시간동안만 볼 수 있다. 별이 폭발한 뒤 내뿜는 가스와 먼지 등 성간 물질은 주변 별들에 영향을 받아 빠르게 흩어지기 때문이다. 행성상 성운을 볼 수 있는 기간은 폭발로부터 대략 1만년 정도로 보고 있다.
3. 행성상성운은 별의 진화에서 거의 막바지에 이르는 부분이다. 또한 행성상성운은 태양 질량의 3배 이하의 항성에서만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M46의 구성원들은 행성상 성운을 만들 수 있을 정도의 거성 단계까지 진화하기엔 나이가 다 어리다.
M45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같이 젊은 성단에서도 백색왜성이 다수 존재한다. 이 경우는 주변의 별들에 의한 질량 감소, 강한 성간풍 등으로 별이 질량을 잃으며 겉 껍데기가 날아가서 형성된 것으로 추측한다.
M46의 주변에는 이 행성상성운뿐만 아니라 호리병박 성운(Calabash Nebula)이라는 또다른 행성상성운[2] 존재한다.
4. 위치 및 찾는 방법[편집]

M47에서 동쪽으로 1° 떨어져 있다. 큰개자리 알파(α)별인 시리우스 동쪽 약 10° 떨어져 있다.
5.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편집]
6. 관련 문서[편집]

[1] NGC 2431 혹은 남서쪽에 있는 삼중성으로 추정된다.[2] 엄밀히 따지면 이 천체는 행성상성운의 이전에 단계인 원시행성상성운(protoplanetary nebula)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