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셰비키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1 [[러시아 제국|{{{#000000 러시아 제국}}}]]의 주요 정당}}}
혁명적 사회주의
인민주의
자유주의
자유보수주의
사회민주노동당
^볼셰비키 · 멘셰비키^
사회혁명당
^좌파 · 트루도비키 · 민중사회주의^
입헌민주당
진보당
10월 17일 연합
^ 좌파 · 우파[1]^
[1] 입헌민주당, 진보당, 10월당 좌파가 결성한 진보블록에 참여하지 않고 10월당 우파(right-wing of octobrists)라는 이름의 당파를 결성해 독자적으로 선거에 출마했다.



1. 개요
2. 역사
2.2. 불법화와 그 이후


1. 개요[편집]


러시아어로 소수파(少數派)라는 뜻이다.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조직론을 둘러싸고 당이 양분되었을 때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다수파)와 대립하던 소수파를 말한다. 지도자는 율리 마르토프이다.

파일:external/www.library.yale.edu/mart.gif
율리 오시포비치 마르토프[1]
(Юлий Осипович Мартов, 1873년 11월 24일 ~ 1923년 4월 4일)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는 러시아가 후진국이며 전제적인 차르 정권을 무너뜨리고 최종적으로 사회주의 체제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부르주아 혁명이 일어나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의했다. 멘셰비키들은 그래서 부르주아 혁명을 성공시켜 자유주의적인 자본주의 체제를 이룩하기 위해 그 이전까지는 부르주아 정당과 협력하고 합법적인 방법만을 취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볼셰비키는 부르주아 혁명이 우선적으로 일어나야 함에는 공감했음에도 불구하고 부르주아 정당과의 협력과 합법적 투쟁 노선은 혁명을 위한 움직임에 제한을 가할 뿐이라고 주장했고 둘의 노선은 평행선을 그리게 되었다.


2. 역사[편집]


'실제로는 '다수파'라는 뜻의 볼셰비키가 절대적으로 숫자가 적었고 '소수파'라는 뜻의 맨셰비키가 훨씬 숫자가 많았다. 둘의 이름은 결국 스스로의 세력을 과장하고자 했던 레닌의 프로파간다로 붙었을 뿐이다.' 라는 주장도 있지만 자세히 보면 그렇게 간단하게 정리될 문제는 아니었다.

볼셰비키와 멘셰비키의 대립이 존재하기는 했지만 처음에는 둘 사이의 분열이 절대적이지는 않았고 사회민주노동당 내에 둘 사이에 속하지 않는 제3지대의 인물들도 있었고 둘 사이를 왔다갔다한 인물들[2]도 있었다. 1903년 2차 당대회에서도 처음에는 멘셰비키가 다수였으나 표결이 반복되면서 볼셰비키가 다수파가 되었고, 4차 당대회에서는 멘셰비키가 다수파를 유지했다.

하지만 피의 일요일로 촉발된 1905년 혁명이 혁명가들의 패배로 마무리되자 멘셰비키 일부는 합법적 투쟁의 가능성에 의문을 품고 볼셰비키 지지로 돌아서거나 아예 볼셰비키로 전향하며 세가 약해진다. 결국 1912년에 이르러 멘셰비키/볼셰비키 양파(兩派)는 정식으로 인연을 끊었다.

멘셰비키는 1차대전에서 반전파에 속했지만 당내 우파 일각은 찬전측에 서며 분열되었고 또 세가 약해졌다. 1917년 3월 혁명(구력 2월 혁명)이 일어나자 임시정부알렉산드르 케렌스키 내각을 지지했고 케렌스키에게 끌려서 찬전론을 지지했다. 케렌스키는 대중의 지지가 높았던 멘셰비키를 끌어들여서 찬전론 때문에 나빠진 자신의 지지도를 끌어올려보려 했지만 오히려 멘셰비키의 지지율까지 낮아지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유일하게 전쟁 중단을 외치는 정당인 볼셰비키가 노동자들과 농민들의 지지를 끌었고 11월 혁명(구력 10월, 러시아 혁명)이 터지며 케렌스키와 함께 실각했다.

2.1. 10월 혁명러시아 내전[편집]


볼셰비키와는 대립되는 포지션에 있었지만 의외로 적백내전에서도 선뜻 백군을 지지하지는 않았다. 당내 우파는 초기 백군에 가담했고[3] 캅카스의 멘셰비키들은 독자적인 민족국가를 건설하려 시도했지만[4] 당 대표 율리 마르토프 등의 주요 인물들은 대부분 적군을 지지했다. 그러나 러시아 공산당으로 이름을 바꾼 볼셰비키는 내전 과정에서 승리를 위해 농촌에서의 공출을 허용하는 전시공산주의 체제로 전환했으나 멘셰비키는 이를 비판하며 다시 둘 사이의 균열이 시작되었다.

1918년 러시아의 영토 대부분을 포기하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맺어지자 사회혁명당의 파니 카플란은 레닌을 암살하려 시도하나 미수에 그치고 만다. 당시 소비에트 정부의 국가수반이었던 야코프 스베르들로프의 개입으로 레닌이 주장한 사회혁명당 지도부의 사형과 야당에 대한 전면탄압이 중단되고, 볼셰비키에 협력했던 멘셰비키는 1919년까지는 어떻게든 활동을 이어간다. 그러나 스베르들로프가 사망하면서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에 대한 탄압이 본격화되었다. 병 치료를 이유로 독일로 출국하는 마르토프 등을 포함해 대부분의 주요 인사는 이때 망명했는데 공산당 측에서는 가볍게 출국을 허용했다. 멘셰비키 조직 자체가 거의 무너지기도 했고 멘셰비키와 공산당의 골이 아직은 그렇게 깊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2.2. 불법화와 그 이후[편집]


내전의 최후 시점에 아나키스트 등을 주축으로 1921년 크론시타트 반란이 일어나자 결국 멘셰비키 역시 불법화되었다. 이 불법화의 과정은 볼셰비키의 허찌르기에 가까웠는데, 자신의 목숨을 내걸고 멘셰비키 당적[5]을 유지한 채 중앙정계에서 민주적으로[6] 당선되어 활동하던 '표도르 단'을 체포해 감옥에 넣어버린 것이다. 1921년 시점에서 볼셰비키 당원이 아니고 무소속도 아니면서 중앙 정치인으로 활동한건 단이 유일했고, 이는 많은 볼셰비키들이 '아직은' 자신들과 화합하려 하였던 멘셰비키, 그 중에서도 국제파를 한때의 동지로 대우하였고, 대중의 지지도 존재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중앙정계에서 단을 옹호할 인사는 없었다.[7]

내전 이후 멘셰비키의 일원들은 볼셰비키로 전향하거나 정치를 포기하고 소련에 정착하거나, 해외로 망명했다. 그러나 1931년 '멘셰비키 재판'[8] 부터 시작해 1930년대 불어닥친 대숙청의 광풍으로 소련에 남았던 옛 멘셰비키 가담자들은 대규모로 숙청되었다. 그나마 해외 망명자들이 재건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베를린, 파리, 뉴욕으로 중앙당사를 옮겨가며 1965년까지 외국에서 활동했다. 이들은 제2인터내셔널 계열 정당들이 1921년 재건한 비엔나 인터내셔널(2와 2분의 1 인터내셔널)에 이어 현재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전신인 노동과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서 활동했다.

소련 말기 재창당된 러시아 사회민주당 창당대회에, 그 때까지 살아남았던 멘셰비키 조직원들이 참석했다고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20:18:55에 나무위키 멘셰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본래 성씨는 '체데르바움(Цедербаум)'이다.[2] 레프 트로츠키, 알렉산드라 콜론타이[3] 콜차크의 쿠데타로 무너지기 전[4] 바로 조지아 민주공화국이다. 볼셰비키 정권과는 다르게 사회혁명당과 다른 좌파정당으로 구성된 다당제 민주공화국이었다.[5] 멘셰비키 국제파가 옛 이름인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으로 재결성한 당이었다.[6] 지역 소비에트에서 정말로 당선되었다.[7] 10월 혁명을 반대했다가 레닌의 눈 밖에 난 지노비에프와 카메네프는 사회주의 야당에 우호적이었으나 이 시기에는 이미 힘을 잃었으며, 한때 아나키스트, 다른 좌파 등과의 협력을 추진한 트로츠키는 이 시점에서 군사독재자로 변신해 크론시타트 반란을 직접 진압한다. 그리고 트로츠키'보다도 더' 사회주의 야당에 억압적이었던 것은 레닌 본인이었다. 부하린이나 부하린과 손잡고 중도파 행세하던 스탈린은 일당제를 긍정하는 인사들이었다.[8] 1931년 3월 소련 재계에서 활동하던 전직 멘셰비키 경제학자들이 망명자들의 지원을 받아 지하 당조직을 재건하고자 하였다며 7명이 10년에 이르는 징역을 선고받는 등 숙청당한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