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에 그림

최근 편집일시 :

萌え絵(모에에).
파일:external/www.geekosystem.com/how-to-draw-anime-characters1.png

1. 개요
2. 상세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일본애니메이션, 게임, 만화 등에 등장하는 일련의 캐릭터 표현 방식을 가리키는 속어. '모에체' 등의 명칭으로도 불린다.


2. 상세[편집]


'모에'의 파생어로서, 1990년대 몇몇 애니메이션들이나 (특히) 에로게의 일러스트를 중심으로 나타난 캐릭터의 얼굴을 동글동글하고 눈은 크게 그리는 등의 방식을 가리키는 단어로 처음 등장했다.

의미적으로는 '모에한 그림'이라기보다는 '모에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그림', 쉽게 말해 21세기 보편적 오타쿠들이 선호하는 그림이다. 일본게임애니메이션이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가며 일본 애니메이션일본 만화를 대표하는 그림체로 인식되고 있다. 그래서 '일본 애니메이션 풍'으로 불리곤 한다.

일본 현지에서는 '모에 그림' 외에도 픽시브 출신 작가들에게서 주로 볼 수 있는 그림체라는 의미에서 '픽시브체'라는 명칭으로 이러한 방식의 그림체를 호칭하기도 하는데, 이 '픽시브체'라는 용어는 모에 그림 외에도 남성향 그림체 전반을 총칭하는 보다 넓은 범주의 호칭이기도 하다.

주로 인물의 어려보이는 구석을 강조하는 그림체로서, 안구눈동자가 크고, 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생략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눈의 표현이 극히 과장되어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크고, 반사광이 많이 들어간다. 머리카락의 색깔과 눈동자의 색깔로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색깔을 바르는 무국적화 디자인을 주로 추구한다. 그에 반해 몸쪽은 단순화. 등신이 짧고 팔다리와 몸통 전체가 가늘어서 대두어좁이 체형이 많고[1] 근육 표현은 대부분 생략되며 몸의 굴곡도 그다지 드러나지 않아 결과적으로는 슬렌더 체형이 강조되는 경우가 잦다. 단, 특정한 수요가 있는 여성 캐릭터는 유방골반의 라인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가슴엉덩이허벅지에 한해 굴곡이 강조되기도 한다. 연령대가 높은 캐릭터를 그릴 때에는 키와 체형으로 캐릭터의 나이를 나타내고자 등신을 극단적으로 길게 그리는 경우도 있지만, 2010년대에 들어와서는 리얼리즘적 화풍이 부분적으로 반영되면서 이런 표현은 자제되고 있는 편. 한편 그리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채색 기법 역시 어느 정도는 패턴화되어 있어, 마치 셀 애니메이션의 셀화처럼 극명한 명암처리가 되는 것이 많다. 인터넷에서 유명한 단편만화에서 나온 "아 오지마 그림체 옮잖아!"라는 초월번역 만화와 비교해보면 금방 알 수 있을 정도.

2010년대에 들어와서는 상기한 대로 리얼리즘적 화풍이 반영되면서 과거에 비해서 캐릭터들의 등신을 오히려 더 낮게 그리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과거에 비해서 캐릭터들의 체형이 좀 더 현실의 인간의 체형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등신을 높게 그리더라도 현실의 인간처럼 7등신 또는 8등신 정도로 제한하는 등[2] 체형을 현실의 인간에 가깝게 그리고, 그 대신 얼굴데포르메를 집중시키는 것. 그 결과 2010년대 이후의 일본의 모에 그림에서는 비교적 현실적인 인체비례와 그에 대비되는 비현실적인 얼굴 조형이 조합된 그림이 많이 보이는 편이다.[3] 또한 평균적인 보통 사람보다 상체가 짧고 하체가 길게 보이도록 신체비율에 과장을 넣음으로서, 실제로는 등신이 그다지 높지 않지만 겉보기로는 같은 등신의 현실의 사람에 비해서 등신이 약간 더 커보이는 착시 효과가 나타나도록 유도하는 경우도 많다. 등신이 동일해도 하체가 긴 체형인 서양인이 동양인보다 겉보기로는 등신이 좀 더 커보이는 것과 비슷한 이치. 물론 이는 상기한 착시 효과가 나타난 것이므로 실제로 계측을 해보면 바로 정확한 등신비가 나타나게 된다.

일본식 그림체가 대부분 그러하듯이 입술을 간략화하는 묘사가 특징적이지만, 2010년대에 들어와서는 반대로 입술을 강조하는 묘사가 들어가기도 한다. 물론 입술을 강조한다고는 해도 극화체 같은 스타일은 아니고, 입술을 마치 화장한 것처럼 칠해서 묘사하는 것. 남캐의 입술에 이러한 묘사가 들어가는 사례는 별로 없지만 여캐의 입술에는 점차 이러한 묘사가 적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특히 클로즈업 장면에서 이러한 묘사가 자주 들어가고 있다. 요즘 들어서는 입을 그릴 때 이어서 그리지 않고 중간을 끊어서 그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다른 일반적인(?) 그림체와 혼합/응용되는 경우도 있기에 위에 언급한 특징만으로 모에 그림이다 아니다를 논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김형태를 필두로 극화체와 만화체를 혼합한 소위 세미한국 그림쟁이들을 중심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세미체는 그림체 문서에서 나와 있듯 어느 정도 큰 눈을 유지하면서도 인체비례와 근육의 굴곡을 실감나게 표현하는 것이다. 사실상은 현재로서 얼굴부위의 특징만 이어받은 눈이 크고 과장되어 묘사되어 있는 캐릭터를 가리키는 단어로 흔히 사용된다. 이는 인상파 화가의 작법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 크게 그리는 부분이 자연스럽게 강조되기 때문에 예쁜 얼굴을 강조하기 위해서 머리를 크게 그리는 모에 그림체와 육감적인 몸매를 강조하기 위해 몸을 크게 그리는 김형태식 세미체는 캐릭터의 강조 부분이 다른 것.

2010년대 이후로는 데포르메 기법보다는 주로 채색 기법 쪽에서 일본식 모에 그림과 세미체의 차이가 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편이다. 일본식 모에 그림에서는 상기한 대로 셀 애니메이션의 셀화처럼 극명한 명암처리를 사용하는 패턴이 많이 보이는 반면, 세미체 쪽에서는 유화사진에 가까운 명암처리를 사용하는 패턴이 많이 보이는 편이다. 이 때문에 2010년대 이후의 세미체는 기본적인 데포르메 기법에 있어서는 일본식 모에 그림과 차이가 작지만(이는 세미체의 원조라 할 수 있는 김형태식 세미체보다 좀 더 일본식 모에 그림에 가까운 데포르메가 들어가는 경우도 잦아졌기 때문이다), 채색에 있어서는 근육의 굴곡이나 캐릭터가 입고 있는 의상의 질감 등을 강조하는 것을 고려한 명암처리로 인해서 보다 실사풍의 분위기가 나는 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극화체와 비교해도 채색에 한정해서는 약간 더 실사풍에 가까워지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일본식 모에 그림의 경우에도 셀화풍의 명암처리 패턴 대신 유화나 사진에 가까운 명암처리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기에, 이런 경우에는 역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모에 그림으로 그려진 얼굴과 두상은 인간의 두상보다는 고양이의 두상을 더 닮았다는 평가도 있다. 눈깔괴물형 눈매로 아주 크게 그려져 있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코카소이드처럼 눈두덩이 깊어서 커보이는 데 비해 니그로이드몽골로이드처럼 낮지는 않지만 코카소이드보다는 아담하고(덤으로 코의 묘사 자체가 데포르메로 인해 거의 생략되는 경우도 꽤 있고) 도 작으며 광대뼈도 그다지 드러나지 않게 되어서, 하관이 앞으로 튀어나오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면 묘하게 인간의 두상보다는 고양이의 두상을 더 닮았다는 말이 많다. 이는 일본식 모에 그림만이 아니라 세미체에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기도 하다. 그림체 문서에서도 설명된 이야기이지만 이는 디즈니 작품과 데즈카 오사무의 그림체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다.

여담이지만 위 그림에서 실사체를 선호하는 이들은 1~2을 선호하고, 3부터는 흔히 말하는 모에 범주에 들어간다. 6~7은 아동용 만화 혹은 저연령용 순정만화 계통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비율이다. 실사체를 선호하는 이들에겐 5도 크겠지만, 일반적으로 6~7부터 눈깔괴물 범주에 들어간다. 8~9는 데포르메 화풍으로 파워퍼프걸이 그 예. 일반적으로 아무리 아동용 및 순정만화라 하더라도 저 비율로 그리는 만화는 없다. 그 눈 크다고 유명한 키라링☆레볼루션도 7범주에 들어간다. 8, 9는 거의 데포르메 SD 캐릭터, 또는 이러한 비율로 만들어진 인형상품(주로 봉제인형)에나 쓰이는데, 요즘은 SD라도 저 정도로 그리면 촌스러운 그림체로 여겨진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4:49:09에 나무위키 모에 그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히 여캐일수록. 여성향 작품의 남캐들은 그나마 어깨가 정상적인 편이다.[2] 장신 캐릭터의 경우 8등신 혹은 그 이상인 경우도 적지 않으나, 장신이 아닌 캐릭터들이라면 보통 현실의 사람과 비슷한 7등신 정도에 머물며 단신 캐릭터의 경우는 오히려 현실의 사람보다 등신비가 낮을 때도 있다.[3] 여기에 극화체의 요소를 좀 더 결합시켜서 얼굴 조형을 보다 현실적으로 바꾸고 근육을 강조하는 묘사를 추가하게 되면 한국에서 흔히 보이는 세미체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