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에 토너먼트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
3. 특징
3.1. 타이틀 독점
4. 통산 성적[1]
4.1. 연도별 실적
4.2. 누적 우승[2]
4.3. 우승자 모음
4.4. 메이저 대회 현황판[3]
4.5. 기타 기록


1. 개요[편집]


매년 서브컬처 전반에서 애니메이션 출연 경력이 있는 모에 캐릭터를 대상으로, 대전 방식의 인기투표로 최고의 인기 캐릭터를 뽑는 토너먼트.[4] 영어로는 모토를 Saimoe, 중국어론 萌战, 스페인어론 Torneo de waifus라 부른다.

인기투표의 하위 범주로, 복수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 정해진 캐릭터 사이의 1대 1 혹은 다인전 형태의 경쟁 투표이다. 모토는 경기별로 반드시 승패나 순위가 결정되어야 하며, 모토가 아닌 대표적인 인기투표로 코노라노, 그랑프리가 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대회는 총 7개로, 현재는 6개가 폐지되었다. 유지 중인 대회는 ☆ 표기.
  • Best Girl Contest (BGC)
  •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ACT)[5]
  • 사이모에 토너먼트 (AST)
  • 최고모에 토너먼트 (KBM)
  • 국제 사이모에 리그 (ISML)[6]
  • 애니타운 모에토너먼트
  • Bilibili Moe (BLM)

마이너 대회 수상 기록은 Fantuan Rule에 따라 정해지는데, 3개 작품 이상, 캐릭터 12명 이상, 500명 이상의 투표자, 최소 3개 라운드 이상 등 여러 조건이 동시에 성립될 때 공식적으로 인정된다.


2. 역사[편집]


현재까지 인기투표에서 대규모의 변화가 있었던 시기는 2006~07년, 2013~14년, 2018~19년의 총 3번이 있다. 이를 기준으로 모토 역사는 그 특성인기 캐릭터 메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영문 사이모에 위키에 따르면, 총 7개 시대로 역사를 분류해 놓았다.

2000년도 이전의 히로인 인기투표는 대부분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 그랑프리 형태를 취했다.[7] 이 시절은 한국이 막 일본 대중문화 개방을 하던 시점이고, 서구권은 인터넷 초기 시대였기 때문에, 캐릭터 인기 지표는 순전히 본토 앙케이트에 그쳤다. 특히 이런 인기투표의 대표주자로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그랑프리가 있다. 이런 국면은 2000년대 초 인터넷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며, 공급자의 지명형 앙케이트에서 소비자가 주도하는 집단 투표로 변화한다.

'사이모에'의 어원이 된 최초의 모토는 2001년 10월에 열린 Leaf 캐릭터 사이모에이며, 최초의 메이저 모토이자 두 번째 대회가 바로 2002년 창설된 사이모에 토너먼트이다. 이 대회는 이후 모토의 특성 및 개념을 대부분 정형화시켰다. 예를 들어,
  • 특정한 투표 사이트를 가지고, 일정한 운영진 하에 관리.
  •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로젠 메이든 두 작품의 진영(faction) 개념.
  • 캐릭터에 대한 홍보 및 선거 캠페인, 안티 및 전략적 투표의 대두.

그럼에도, 2000년대 중반까지 모토는 일본 밖에서 열리지 못했었다. 하지만 2006년을 기점으로 세계적으로 모토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06~10년 정도가 모토의 첫 황금기인데, 이 시기에 가장 투표 수가 많고 인지도가 높았던 인기투표 3개인 사이모에, 최모토, 국사모 3개를 1세대 메이저 인기투표로 칭한다.[8]

다만 저 세 선구자격 대회는 11~14년에 걸쳐 약화되었다. 사이모에나 최모토는 다중 허용과 외부투표 규제, 팬들의 병폐로 예전의 영광을 잃고 결국 폐지되고 말았다.[9] 이 때는 국사모마저 점차 투표자 수가 감소하는 등 모토 자체가 흥하지 못했다.

한편 이 시기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것이 한국의 모토 판인데, 여러 커뮤니티에서 최모토에서 일어난 대참사와 사이모에의 사키 팬덤의 패악질 등이 알려지며 그 악명이 높아졌다. 이 때문에 18년에 애캐토를 제외한 한국의 모토가 전부 폐지되고 말았다.

반면 14년 이후에는, 중국이나 미국에서 Baidu, Bilibili, Reddit 등 기업 및 개인을 중심으로 새로운 투표들이 순풍순풍 생겨나며, 해외에서 모토가 다시 한 번 황금기를 맞이하게 된다. 모토 중 가장 거대한 운영진과 통제된 대회 구조를 가진 덕에 1세대지만 살아남을 수 있었던 국사모는, 애캐토, BGC, BLM과 함께 다시 2세대 메이저 인기투표로 자리잡았다.

19년부터 모토에는 새로운 변화가 포착되었는데, 세계적으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기반의 투표가 우후죽순 만들어지는 추세가 된 것. 기존에는 인기투표 전용 웹사이트를 만들었지만, 운영 및 유지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점이 걸림돌이었다. 반면 페북은 특성상 사람을 모으기 쉽고 사이트 관리에 이점이 있어 이런 이벤트를 하기 유리하다. 또한, 19년을 기점으로 기존 일본-한국-미국-중국 등에 집중되어 있던 모토가 동남아시아, 라틴 국가, 유럽 등 다른 나라로 확대되었다.

과거처럼 사람에 의한 다중 투표는 운영진이 막을 수 있지만, 최근엔 소프트웨어를 동원한 다중 투표의 위험이 대두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중국 카토 팬덤의 17년 국사모 결선에서 봇을 동원한 투표 개입 의혹이 그것. 이 때문에 17년 우승이 정당하지 않다고 평가받는 중이며, 의혹은 거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물론 저 케이스가 아니더라도, 우승자의 정당성 논란은 거의 모든 모토의 숙제 중 하나다. 최모토나 사이모에야 그것이 다반사였지만, BLM 2017마슈로마니[10] 같은 케이스처럼 2세대에서 터진 경우도 적지 않다. 심지어 가장 최근엔 BGC마저 20년 혼성부, 21년 여성부에서 몰표 증거가 포착되어, 스태프가 해당 진영에 무효나 실격 처리를 하기도 했다.

22년에는 모토계에 부정적인 대형 변수가 다량 발생했는데, BGC 여성부 결선 부정투표, 국사모 2월 전쟁 등 크나큰 사고들로 인해, 결국 메이저 모토 중 가장 오랜 시간 존속되어오던 국사모가 이 시즌을 마지막으로 폐지되기에 이른다. 이듬해 BGC도 지속된 부정 투표와 여러 사정으로 인해 대회의 명맥이 끊어져버리고 만다.


2.1. 연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모에 토너먼트/연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특징[편집]


토너먼트 단계를 거칠 수밖에 없는 모든 대회들은, 인기와 전혀 상관 없이 표를 던지는 anti-voter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실제로 대세인 캐릭터를 한 대회에서 온전히 알기 어려우며, 따라서 모토에서 캐릭터 인기 판단은 되도록 전 세계의, 최대한 많은 대회 결과를 바탕으로 누적하여 비교해야 한다. 하지만, 득표 수가 적은 대회경기별 편차값이 큰 대회는 신뢰성이 대체로 높지 않다. 말기의 사이모에, 최모토도 그런 케이스.

그렇다고 해도, 모토 성적과 실제 인기가 전혀 다른 케이스도 있다. 대표적으로 우공못센세문과, 그리고 어마금토우마액셀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또한 특정 대회에서만 독보적인 무쌍을 찍는 케이스에도 주의해야 하는데, 대회별로 보면 국사모쿠로네코시이나 마시로,[11] BLM타입문, BGCSteins;Gate카우보이 비밥, 사이모에사키, 애캐토프로듀서 등이 있다.

사실 모토에서 무쌍을 찍는 캐릭터는 대체로 일정 이상의 작품 인기[12]와 더불어, 그 작품 내에서 독보적인 인기를 가지고 있다. 특히 둘 이상의 히로인 인기가 서로 고른 편인 인기작들은, 모토에서 독보적인 캐릭터를 탄생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13] 반대로, 우리는 공부를 못해키리스 마후유기숙학교의 줄리엣줄리엣 페르시아처럼 히로인 한 명이 작품 인기의 대부분일만큼 인기 기반이 허술해도 마찬가지다.

인기 메타는 모토에서 중요하지만, 캐릭터의 성공을 보장하진 못한다. 이 분야의 대표격인 시라이 쿠로코의 경우 렘이나 카토같은 헌신형 히로인의 범주이나, 모토 성적은 그 정도가 아니다. 야가미 라이토관련 합성물의 컬트적인 인기가 말해주듯 안티테제 격인 를르슈를 능가하는 유명세를 떨쳤지만, 모토에선 그만한 성적을 내지 못했다.[14]

아이돌물 역시 그 영향력에 비해 전혀 힘을 못 쓰는 편이다. 2021년까지 모든 아이돌물 캐릭터의 메이저 모토 우승은 2번밖에 없었고[15], 그 중 한 명은 아이돌이 아니다. 그렇다고 마이너 모토에서 잘 나가는 것도 아니라서, 모토 최고 성적을 보유한 러브라이브 프랜차이즈조차 개인 수상이 V2를 넘는 캐릭터가 탕 쿠쿠를 제외하면 하나도 없는 게 현실이다.

그리고, 대체로 투표가 여덕보다는 남덕에 의해 주도되는 경우가 많아서, 여성향에서 최상위권의 인기를 가지고 있는 캐릭터들은 모토에서 유독 힘을 잘 쓰지 못한다. 유리!!! on ICEFree! 같은 장르가 대개 그러하며, 타치바나 마코토가 대표적인 예시.[16] 마치 그랑프리처럼, 대체로 모토는 여성향이 열세고 남성향이 우세한 경향을 보인다.[17] 기본적으로 누구나 참가할 수 있고 해당 투표에 관심있는 사람의 의중이 들어가므로, 다양한 성격의 많은 대회 표본을 확보하지 않는다면 공신력이 떨어지게 된다.[18]

참고로 그랑프리 시절인 2000년대 초반까지는, 인기 캐릭터 풀이 2-3년을 주기로 방향성 없이 갈려왔었다.[19] 허나 2000년대 중반 이후엔 인기 캐릭터는 메타라는 일정한 주제를 갖게 되었고, 후대로 갈수록 주류에서 소비되는 캐릭터들의 모에요소 다원화 + 캐릭터성 획일화가 두드러지게 되었다. 모토 캐릭터 풀 역시 시간적 흐름에서 이런 양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영상

츤데레 히로인들은 06년 스이세이세키, 스즈미야 하루히, 샤나, 토오사카 린 등 강호들의 대거 등장에 힘입어 모토를 독식하기 시작했고, 이후 후발 주자인 아이사카 타이가, 미사카 미코토 등이 츤데레 캐릭터의 전성 시대를 열었다. 이 전성기는 무려 13년까지 이어졌고, 그 결과 모토 통산 성적 최상위권을 츤데레 캐릭터들이 독점하게 된다. 다만, 13년 이후 츤데레의 위세가 서서히 약화되기 했고, 동시에 오노데라 코사키, 고코우 루리 같은 부드러운 히로인이 모토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 시작했다.

물론 16년까지도[20] 미사카 미코토, 토오사카 린, 샤나를 비롯한 네임드 츤데레들은 현역이었다. 그러나 2016년에 아이사카 타이가의 7년간 모토 대회를 우승하던 기록이 끊어지더니, 17년 모토를 기점으로 츤데레 캐릭터들은 과거 인기투표에서의 위상을 완전히 상실했다. 이때부터 모토에서 두각을 나타낸 캐릭터는 최근 트렌드에 가까운, 헌신형 히로인의 상징과도 같은 카토 메구미 같은 캐릭터다.[21]

그리고, 모토계에만 나타나는 특이한 현상은 지역별로 존재하는 일관적인 투표자 취향 차이에서 나오기도 한다.
  • 일본/한국 : 본토와 가까워 다른 지역보다 인기 트렌드가 언제나 1년 정도 빠름. 유행이 곧바로 결과에 영향을 주고, 시대에 따라 일관적으로 나타나는 특별한 취향은 없다.
  • 미국 :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캐릭터 강세. 일상-아이돌물과, 윤리적으로 문제 여지가 있는 히로인의 인기가 저조.[22]
  • 중국 : 고전적인 츤데레 캐릭터들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며, 인간형인 순애보 히로인 같이 강세.
  • 동남아 : 타 지역에 비해 캐릭터의 소프트 파워(성격, 행동)보다 외형적인 파워(미형의 캐릭터)가 우세함.
  • 유럽 : 로리 캐릭터 - 공상과학 및 판타지의 선호도가 매우 높은 마이너한 취향.
  • 라틴 : 극단적인 순애보 히로인의 강세 + 매운 맛 히로인의 절대적인 약세.[23]

시대별로 어떤 히로인이 인기 투표에서 대세가 될 지는, 어느 지역 투표자의 영향력이 더 큰지로 판가름났다. 06년도부터 성장한 중화권의 영향력은 무려 16년도까지 굳건하여 카토와 렘을 위시한 헌신형 히로인의 등장 이후에도 츤데레 계열의 최상위권 유지에 가장 큰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17년에 BLM 8.17사건 + 국사모 중국 팬덤 조작 의혹이 연이어 터지면서 중화권의 힘이 급전직하했고, 동시에 라틴 투표자의 영향력이 확장되면서 순애보 히로인들이 모토계에서 대세가 되었다.

작품 외적인 상황도 때로는 모토 판세에 큰 영향을 준다. 하트 커넥트 사건바시소 이후 모토계에서 신성으로 떠오르고 있던 SILVER LINK.가 예전의 위상을 찾지 못하게 만들었으며[24], 쿄애니 화재는 데뷔 2년차의 바이올렛에게 화재 전 최후의 캐릭터라는 막대한 위상을 부여하며, 국사모 2019 결선에서 기적같은 역전 우승을 이끌어냈다.[25]

한편, 아무리 인기 캐릭터라 할지라도 유독 몇 년간 무관 잔혹사를 겪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샤나는 2013년 이후 무관 탈출까지 2년이 걸렸다. 카토 메구미 또한 애캐토 2018의 우승으로 V10을 찍은 이후, 결정적인 시점마다 우승을 놓치는 등 3년간 무관을 겪었으며, 2021년이 되어서야 새로운 우승을 추가할 수 있었다.

모토 대회는 06년 이후엔 중국/대만 대회가 무더기로 출현하고, 14년 이후엔 한국/일본의 대회가 쇠퇴한 만큼 서구권과 동남아 대회가 약진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왔다. 이후 19년도부터 라틴권 대회가 폭발적으로 출범하며 20년도엔 전년도 대비 3배 이상으로 모토 판이 커졌고, 21년에는 중화권 대회들의 잇다른 폐지가 있었지만 동남아 지역 덕에 모토 판이 오히려 더 커지기에 이른다.

그러나 23년 이후[26], 모토판은 급격히 죽어가기 시작한다. 먼저 모에요소가 탐구될 만큼 다 파해되어 이 주제로 VS 놀이를 하는 것 자체가 식상해졌고, 원신, 블아, 말딸 등 애니보다 게임 위주로 최신 메타가 돌아가기 시작했기 때문. 추가적으로, 캐릭터보다 서사를 중요시한 작품이 대세가 되고, 2D와 3D의 경계에 있는 버튜버 시장이 커지는 등 서브컬쳐 수요층이 현실과 타협하는 스탠스로 변화한 것 역시 주요했다.[27]


3.1. 타이틀 독점[편집]


파일:0rjfaidzqcx41.png
파일:@animefacts.png
인기투표에서 미사카 미코토팬들 실상을 보여주는 밈들.
현재 모토 전체를 보면, 수상 경력의 편중이 심각하다. 특히 저 둘은 도합 우승 166개, 타이틀 200개라는 넘사벽의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고, 새로운 히로인 트렌드를 제시한 건 아니지만 몇 년 이상 해당 타입의 헤게모니를 주도했다는 공통점이 있다.[28]

한편, 모토 전체로 본다면 우승 10번의 캐릭터는 상위 0.1%를 능가할만큼 매우 희귀하다. 비록 부진해 보일지라도 한동안 여러 대회에 모습을 비춘다면, 모토에 발을 붙여본 전체 히로인 중 상위 10~45%로 평균 이상은 되는 캐릭터이다. 이 독점 현상의 시초는 케이온!이 모토계를 정복했던 2010년[29]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1세대 모토 전성기에는 몇몇 캐릭터나 진영의 심각한 타이틀 독점이 없었지만, 2010년대에는 강캐와 약캐의 커리어 격차가 기하급수적으로 벌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2020년대에 들어서는 대회 수가 많아지며 그 0.1%의 캐릭터들이 우승을 나눠먹고 상향 평준화되었다. 이 때문에 2010년대만 해도 희귀했던 10회 우승자들이 매 년 몇 명씩 늘어나 그룹을 형성하기에 이르렀고, 2021년 히로인 파워 그래프에서 보이듯 미코토와 렘 이외의 모든 최상위권 히로인들은 서로 비슷한 전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시간적으로 봐도 인기투표를 휩쓸며, 최소 1년 이상 자기 시대를 풍미한 캐릭터는 현재까지 단 4명 뿐이다.[30] 4명의 전성기는 아키야마 미오(10시즌) → 미사카 미코토(11, 13 - 15시즌) → 카토 메구미(17시즌) → (16, 18 - 21시즌) 순이다.

캐릭터뿐만 아니라 제작사마저 몇몇 회사의 독점 현상이 심한데, J.C.STAFF, 교토 애니메이션, A-1 Pictures 세 곳이 모토에서 영향력이 절대적이다.[31] 이 셋 중에서도 가장 독보적인 위상을 보여주는 곳은 JC로, 액셀, 마시로, 타이가, 샤나, 미코토 등 모토에서 큰 족적을 남긴 캐릭터를 압도적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다.
메이저 모토 우승자가 다수
(JC, 쿄애니, A-1 제외)
선라이즈 - 를르슈소고, 스피겔
WHITE FOX - 치노, 슈타게의 크리스 & 린타로
ufotable - 타입문 6명
매드하우스 - 사쿠라, 소라
본즈 - 로이, 야토, 시게오
샤프트 - 마마마마미 & 호무라 & 마도카, 이야기 시리즈시노부 & 히타기 & 코요미
세븐 아크스 - 나노하 & 페이트
곤조 - 사키 3명
feel. - 내청코유키노 & 하치만
아트랜드 - 츠나요시 & 무크로
메이저 모토 우승자가 1명[32]
P.A.WORKS - 천사
8-Bit - 리무루
Lerche - 살생님
SILVER LINK. - 히데요시
XEBEC - 리쿠
동화공방 - 치요
토에이 애니메이션 - 로즈마리
NOMAD - 스이세이세키
스튜디오 딘 - 리카
브레인즈 베이스 - 호로
프로덕션 아임즈 - 코토리
C2C - 일레이나
WIT STUDIO and MAPPA - 리바이


4. 통산 성적[33][편집]


본 항목은 위 링크에 있는 사이모에 위키 항목을 인용하여 작성되었다. 승점은 6개 메이저 대회(1위 400, 2위 200, 4강 100, 8강 50), 그 이외의 대회(1위 100, 2위 50, 4강 25), ToC (1위 200, 2위 100)에서 한 캐릭터가 얻은 총점으로 매겨진다.[34]

23년 11월 기준, 인기투표 전체를 통틀어 10회 이상의 우승을 가진 여캐는 다음과 같다.
우승
이름
V10 시점 및 승점
주요 모에 토너먼트 수상 경력
V111

2017.9 (14100)
애캐토 2016, BLM 2016, BGC 2018, 국사모 2018, ToC 2019 (우승), 애캐토 2020, 국사모 2022 (4강)
V55
미사카 미코토
2011.12 (9000)
국사모 2011/22, BGC 2016, ToC 2017/18 (우승), 국사모 2010/20/21 (준우승), 국사모 2013 (4강)
V36
토키사키 쿠루미
2021.5 (6525)
BGC 2023 (우승), BLM 2016 (4강)
V33
나카노 미쿠
2020.10 (5100)
애캐토 2021 (4강)
V30
유키노시타 유키노
2020.3 (5500)
BGC 2015, 국사모 2020 (우승), 국사모 2015, ToC 2021 (준우승), 국사모 2016/18 (4강)
V27
사쿠라지마 마이
2020.12 (4950)
애캐토 2019, BGC 2021 (우승), BGC 2020 (준우승), 애캐토 2018, 국사모 2019/20 (4강)
V24
유우키 아스나
2019.3 (4550)
BGC 2019 (우승), BLM 2015, 국사모 2017 (4강)
V19
제로투
2021.8 (2750)
[A]
V18
샤나
2012.9 (4000)
국사모 2016 (우승), 최모토 2007, 국사모 2009/11 (준우승), 사이모에 2006, 최모토 2006/08, 국사모 2010 (4강)
V17
라프타리아
2020.6 (2275)
[A]
V16
아키야마 미오
2013.8 (3000)
국사모 2010, 최모토 2010 (우승), ToC 2018 (준우승), BGC 2022 (4강)
지탄다 에루
2019.8 (2925)
국사모 2015, ToC 2020 (우승), 최모토 2012, 애캐토 2013 (4강)
키타가와 마린
2022.12 (2325)
BGC 2023 (준우승), 애캐토 2022 (4강)
V14
아이사카 타이가
2015.9 (2400)
사이모에 2009, 최모토 2009 (우승), 국사모 2012 (4강)
V13
토오사카 린
2019.6 (2925)
BGC 2017 (우승), 애캐토 2014, BLM 2015, 국사모 2019 (준우승), BLM 2018 (4강)
이츠카 코토리
2020.1 (2250)
국사모 2014 (우승), BLM 2016 (준우승)
V12
바이올렛 에버가든
2022.4 (3625)
국사모 2019, ToC 2021 (우승), ToC 2020, 국사모 2022 (준우승), BLM 2018 (4강)
카토 메구미
2019.1 (2500)
국사모 2017, 애캐토 2018 (우승), ToC 2019, 애캐토 2020 (준우승), BLM 2017 (4강)
세이버
2021.1 (2325)
BLM 2015 (우승), BGC 2015 (준우승), 애캐토 2013/14 (4강)
V11
마키세 크리스
2020.7 (2475)
BGC 2014 (우승), 최모토 2012, BGC# 2016 (준우승), BGC# 2015 (4강)
키노모토 사쿠라
2020.9 (1900)
사이모에 2002, BLM 2018 (우승)
V10
메구밍
2020.8 (2450)
BGC# 2018 (준우승), BGC# 2017/20 (4강)
일레이나
2022.10 (2100)
애캐토 2020, 국사모 2021 (우승)
히라사와 유이
2023.2 (1725)
사이모에 2009 (준우승), 최모토 2010 (4강)

23년 11월 기준, 모토 전체에서 9회 이상의 우승을 가진 남캐는 다음과 같다.
우승
이름
V10 시점 및 승점
주요 모에 토너먼트 수상 경력
V21
를르슈 람페르지
2016.7 (4425)
최모토 2008, 국사모 2011, BGC 2015, BLM 2015, ToC 2017 (우승), BGC# 2015, ToC 2018 (준우승), 국사모 2012 (4강)
V16
리바이
2021.4 (2800)
BGC 2020 (우승), BLM 2017 (4강)
V12
오레키 호타로
2022.11 (3300)
국사모 2013/22, 애캐토 2013, ToC 2020/21 (우승), ToC 2019 (준우승), 국사모 2012 (4강)
V11
키리가야 카즈토
2021.9 (2400)
국사모 2012 (우승), BLM 2017 (준우승), 국사모 2021 (4강)
V10
히키가야 하치만
2022.3 (3425)
국사모 2018, ToC 2019, BGC 2022 (우승), 국사모 2016/17, ToC 2020/21 (준우승)
V9
리무루 템페스트
미정 (1850)
국사모 2019 (우승), BGC 2022 (준우승)
우치하 이타치
미정 (1625)
[A]


23년 11월 기준, 모토 준우승을 10회 이상 달성한 캐릭터(남캐, 여캐 포함)는 다음과 같다.[35]


4.1. 연도별 실적[편집]


위 항목은 앞에 언급된 승점을 이용하여, 2006년 이후 각 해 모토에서 가장 좋은 누적 성적을 낸 1~5위 캐릭터를 정한다. 만일 지표가 서로 같다면, 가장 최근의 메이저 대회에서 더 좋은 성적을 낸 캐릭터, 우승을 더 최근에 한 캐릭터가 상위 순위가 된다.
연도
1위
2위
3위
4위
5위
2006
스이세이세키
샤나
스즈미야 하루히
사와치카 에리
페이트 테스타로사
800
400
325
250
200
2007
샤나
카츠라 히나기쿠
후루데 리카
토오사카 린
산젠인 나기
525
450
400
275
225
2008
샤나
히이라기 카가미
페이트 테스타로사
현랑 호로
C.C.
550
525
425
400
250
2009
아이사카 타이가
카츠라 히나기쿠
샤나
히이라기 카가미
C.C.
850
625
375
300
250
2010
아키야마 미오
미사카 미코토
나카노 아즈사
샤나
타치바나 카나데
1350
775
500
425
325
2011
미사카 미코토
아케미 호무라
토모에 마미
샤나
마키세 크리스
1000
600
450
375
325
2012
타치바나 카나데
센조가하라 히타기
흑설공주
온죠지 토키
세이버
675
575
525
500
450
2013
미사카 미코토
카나메 마도카
고코우 루리
타카나시 릿카
아이사카 타이가
1400
525
450
425
350
2014
미사카 미코토
사쿠라 치요
마키세 크리스
이츠카 코토리
지탄다 에루
875
675
525
500
400
2015
유키노시타 유키노
세이버
지탄다 에루
미사카 미코토
카토 메구미
975
750
700
550
375
2016

미사카 미코토
샤나
이츠카 코토리
센조가하라 히타기
1425
700
600
575
500
2017
카토 메구미
토오사카 린

카후우 치노
오시노 시노부
1100
800
700
625
550
2018

미사카 미코토
키노모토 사쿠라
카토 메구미
칸나 카무이
1450
650
525
425
350
2019

유우키 아스나
사쿠라지마 마이
라프타리아
바이올렛 에버가든
1350
1150
1025
925
650
2020

유키노시타 유키노
시노미야 카구야
토키사키 쿠루미
나카노 미쿠
4100
1675
1250
1200
1025
2021

나카노 미쿠
사쿠라지마 마이
토키사키 쿠루미
제로투
3000
2225
2100
1600
1475
2022
토키사키 쿠루미
키타가와 마린

나카노 미쿠
바이올렛 에버가든
2400
2075
1850
1100
975
2023
(진행)
고토 히토리
토키사키 쿠루미
키타가와 마린
호시노 아이
시이나 마히루
1050
675
475
425
375


4.2. 누적 우승[36][편집]


연도
1위
2위
3위
4위
5위
2006
스이세이세키
타카마치 나노하
키노모토 사쿠라
사와치카 에리
스즈미야 하루히
V2 (3)
V1 (1)
V1 (1)
V1 (0)
V1 (0)
2007
스이세이세키
샤나
토오사카 린
카츠라 히나기쿠
히이라기 카가미
V2 (3)
V2 (1)
V2 (0)
V1 (1)
V1 (0)
2008
샤나
히이라기 카가미
키노모토 사쿠라
토오사카 린
스이세이세키
V5 (2)
V3 (1)
V3 (1)
V3 (0)
V2 (2)
2009
샤나
카츠라 히나기쿠
토오사카 린
C.C.
히이라기 카가미
V6 (2)
V4 (2)
V4 (0)
V4 (0)
V3 (1)
2010
샤나
아키야마 미오
미사카 미코토
카츠라 히나기쿠
토오사카 린
V8 (2)
V7 (3)
V5 (0)
V4 (2)
V4 (0)
2011
미사카 미코토
샤나
아키야마 미오
히라사와 유이
아이사카 타이가
V10 (2)
V9 (2)
V8 (3)
V5 (0)
V4 (3)
2012
미사카 미코토
샤나
아키야마 미오
아이사카 타이가
흑설공주
V11 (2)
V11 (2)
V8 (3)
V6 (3)
V5 (0)
2013
미사카 미코토
샤나
아키야마 미오
아이사카 타이가
토오사카 린
V22 (3)
V12 (2)
V10 (3)
V8 (3)
V5 (0)
2014
미사카 미코토
샤나
아키야마 미오
아이사카 타이가
마키세 크리스
V30 (4)
V12 (2)
V10 (3)
V9 (3)
V6 (1)
2015
미사카 미코토
샤나
아키야마 미오
아이사카 타이가
타카나시 릿카
V35 (4)
V13 (2)
V11 (2)
V10 (3)
V8 (0)
2016
미사카 미코토
샤나
아키야마 미오
아이사카 타이가
타카나시 릿카
V37 (6)
V16 (3)
V14 (3)
V10 (3)
V8 (0)
2017
미사카 미코토
샤나
아키야마 미오

아이사카 타이가
V41 (6)
V16 (3)
V14 (3)
V12 (3)
V10 (3)
2018
미사카 미코토

샤나
아키야마 미오
아이사카 타이가
V44 (7)
V20 (6)
V16 (3)
V14 (3)
V11 (3)
2019
미사카 미코토

샤나
아키야마 미오
아이사카 타이가
V46 (7)
V32 (8)
V17 (3)
V14 (3)
V12 (3)
2020

미사카 미코토
샤나
유우키 아스나
유키노시타 유키노
V69 (9)
V49 (7)
V18 (3)
V16 (1)
V15 (3)
2021

미사카 미코토
나카노 미쿠
사쿠라지마 마이
유우키 아스나
V95 (10)
V52 (7)
V28 (0)
V27 (2)
V22 (1)
2022

미사카 미코토
토키사키 쿠루미
나카노 미쿠
유키노시타 유키노
V108 (10)
V54 (8)
V33 (1)
V32 (0)
V29 (3)
2023
(진행)

미사카 미코토
토키사키 쿠루미
나카노 미쿠
유키노시타 유키노
V111 (10)
V55 (8)
V36 (2)
V33 (0)
V30 (3)


4.3. 우승자 모음[편집]


  • 2020년 (여성부)
파일:2020 사이모에.png

  • 2020년 (남성부)
파일:20 male tot.png


4.4. 메이저 대회 현황판[37][편집]


한 캐릭터의 메이저 모토 동시 석권은 총 7번 성공했는데, 06년 스이세이세키, 09년 아이사카 타이가, 10년 아키야마 미오, 13년 오레키 호타로, 15년 를르슈 람페르지, 16-18년 이 해당된다. 이중에서도 를르슈와 렘은 그랜드슬램 달성.

다만 한 해의 메이저 모토를 독식한 경우는 현재까지 진영 단위로만 딱 한 차례 나왔을 뿐이다.[38]

  • 여성 부문
이름
사이모에
최모토
국사모
애캐토
BGC
BLM
비고
키노모토 사쿠라
2002
N
N
X
N
2018
2관왕8
하라다 리쿠
2003
X
X
X
X
X
-
로즈마리 애플필드
2004
X
X
X
X
X
-
타카마치 나노하
2005
N
N
X
X
X
-
스이세이세키
2006
2006
N
X
X
X
동시 석권1
후루데 리카
2007
N
N
X
X
X
-
카츠라 히나기쿠
N
2007
2009
X
N
X
2관왕3
히이라기 카가미
2008
N
N
X
N
X
-
현랑 호로
N
2008
N
X
N
X
-
페이트 테스타로사
N
N
2008
X
X
X
-
아이사카 타이가
2009
2009
N
X
N
X
동시 석권2, 양대 로얄로더1
나카노 아즈사
2010
N
N
X
N
X
-
아키야마 미오
N
2010
2010
X
N
X
동시 석권4
토모에 마미
2011
N
N
N
N
X
-
아케미 호무라
N
2011
N
N
N
X
-
미사카 미코토
N
N
2011, 2022
N
2016
X
2관왕5, 단일 메이저 모토 2회 우승
온죠지 토키
2012
N
X
X
X
X
-
센조가하라 히타기
N
2012
N
N
2016(#)
N
2관왕6
타치바나 카나데
N
N
2012
X
N
N
-
카나메 마도카
2013
N
N
N
N
X
-
고코우 루리
N
X
2013
X
N
X
-
사키 & 노도카
2014
N
N
X
X
X
-
이츠카 코토리
N
X
2014
N
N
N
-
사쿠라 치요
X
X
N
2014
N
N
-
마키세 크리스
N
N
N
N
2014
N
-
지탄다 에루
N
N
2015
N
N
N
-
유키노시타 유키노
N
X
2020
X
2015
N
2관왕10
세이버
N
N
N
N
N
2015
-
샤나
N
N
2016
X
N
X
-

X
X
2018
2016
2018
2016
2회 동시 석권7, 양대 로얄로더2, 그랜드슬램
카토 메구미
X
X
2017
2018
N
N
2관왕9
카후우 치노
N
X
N
2017
N
N
-
토오사카 린
N
N
N
N
2017
N
-
오시노 시노부
N
N
N
N
2017(#)
N
-
마슈 키리에라이트
X
X
X
X
N
2017
-
바이올렛 에버가든
X
X
2019
X
N
N
-
사쿠라지마 마이
X
X
N
2019
2021
X
2관왕11
유우키 아스나
N
X
N
N
2019
N
-
일레이나
X
X
2021
2020
N
X
2관왕12, 양대 로얄로더3
시노미야 카구야
X
X
N
X
2020
X
-
미나토 유키나
X
X
N
2021
X
X
-
하야사카 아이
X
X
N
X
2022
X
-
캬루
X
X
N
2022
X
X
-
토키사키 쿠루미
N
X
N
N
2023
N
-

  • 남성 부문
이름
최모토
국사모
애캐토
BGC
BLM
비고

2007
N
X
N
N
-
를르슈 람페르지
2008
2011
N
2015
2015
동시 석권1, 초대 대회 3관왕, 그랜드슬램
로쿠도 무크로
2009
N
X
X
X
-
사와다 츠나요시
2010
N
X
X
X
-
강림도령
2011
X
X
X
X
-
키리가야 카즈토
N
2012
N
N
N
-
오키타 소고
2013
N
X
X
X
-
오레키 호타로
N
2013, 2022
2013
N
X
동시 석권2, 단일 메이저 모토 2회 우승
키노시타 히데요시
N
2014
X
X
X
-
액셀러레이터
N
2015
X
N
X
-
프로듀서
X
N
2015
X
X
-
로이 머스탱
N
N
X
2015(#)
N
-
소라
X
2016
N
N
N
-
아라라기 코요미
N
N
N
2016
N
-
야토
X
N
N
N
2016
-
스파이크 스피겔
X
X
X
2017
X
-
살생님
X
2017
N
2018
N
2관왕3
로마니 아키만
X
X
X
X
2017
-
히키가야 하치만
N
2018
X
2022
N
2관왕5
오카베 린타로
N
N
N
2018(#)
N
-
길가메쉬
N
N
N
N
2018
-
리무루 템페스트
X
2019
N
N
X
-
카게야마 시게오
X
N
N
2019
X
-
시로가네 미유키
X
2020
X
2021
X
2관왕4
리바이
X
N
N
2020
N
-
에드워드 엘릭
N
N
X
2020(#)
N
-
아즈사가와 사쿠타
X
2021
N
N
X
-
이시가미 유우
X
N
X
2023
X
-


4.5. 기타 기록[편집]



[1] 출처 : 10회 이상 우승자, 세부 통계, 추가 링크.[2] () 안은 메이저 모토 및 ToC 타이틀 + 연도별 실적 1위 수.[3] N은 그 대회를 참가한 적이 있지만 우승이 없는 것이고, X는 참가 자격조차 얻지 못해 우승이 없는 것. 혼성부 우승의 경우는 연도 뒤 (#)으로 표기. 첨자는 2관왕을 달성한 순서.[4] 그렇기 때문에 애니가 공식적으로 없는 보컬로이드, 동방 프로젝트 등은 대개 모토에 참가 자격이 없다. 국사모처럼 제한된 참가를 허용하더라도 해당 컨텐츠의 토너먼트만 참가 가능하고, 다른 애니 캐릭터와 맞붙을 수 없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현대 일본 모에 문화의 상징인 하츠네 미쿠.[5] 이 대회는 메이저 모토로 공식적인 승인을 받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는데, 그 자세한 배경은 애캐토 문서의 소개 항목을 참고.[6] 이쪽은 리그와 토너먼트를 합친 유일한 메이저 대회다. 마이너한 대회는 대체로 리그 형태를 취하지 않으며, 이런 형식을 국사모 외에서 처음 도입한 Anime Trending의 Character Champions League(이하 CCL)는 현재 겨우 2회가 개최 중이다. 국사모 또한 2022년 15회 대회를 끝으로 폐지.[7] 위 조사는 83~04년까지 일본 내에서 실시한 한 앙케이트이다.
파일:Anime Grand Prix 1983~2005, Female Division.jpg
[8] 현재 영어권 커뮤니티는 국사모를 제외한 1세대 메이저 대회 2개를 Progenitor(선구자, 창시자)로 부른다.[9] 특히 사이모에 영향력 약화는 2011년 대회에서 미사카 미코토, 타치바나 카나데의 동시 조별 광탈로 인한 다중 투표 의혹이 최초로 제기된 것에서 시작했고, 2013년에 그 의혹은 사실로 드러나며 투표자 수가 수백명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10] 본 대회에서 타입문쿄애니, 코노스바 진영간의 병림픽에서 타입문 중국 팬덤과 주최측, 안티 타입문 투표자들 간 추태가 두드러졌다. 모토 전체를 통틀어 봐도 가히 사이모에 2014최모토 12시즌 남성부와 비견될 수준이며, 중국 모토계 최대의 흑역사로 꼽히고 있다. 정치질과 병폐가 대회 내내 이어지다, 피규어 화형식이 대미를 장식하고 말았던 시즌.[11] 다만 얘도 우승은 못한 락라인으로, 준우승 1회에 4강만 7번 갔다. 다만 국사모 외에서는 이정도의 성적도 못내는 탓에 그 이름값에 비해 우승은 고작 4번이다. 즉 국사모 원툴인 셈.[12] 꼭 업계 탑에 속할 필요는 없다. 원작 인기가 역사에 남을 수준임에도, 캐릭터는 모토에서 절반의 성공밖에 못 거둔 사례가 많다. 대표적인 사례로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내여귀,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등이 대표적.[13] 예를 들어,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니세코이, 나는 친구가 적다, 이야기 시리즈 등.[14] 물론 저 둘은 비중 - 포지션 - 활약상에 비해 모토에서 활약하지 못 한 케이스이다. 라이토는 최모토 2008 4강의 를르슈 람페르지나, BGC 2018 8강의 살생님에게 넘어지는 등 굴러들어온 기회를 놓친 경우가 많았다. 쿠로코는 동작품에 우승을 가로막는 거대한 벽인 미코토가 있으며, 캐릭터성 역시 100% 헌신형이 아닌 쿨데레의 면모도 있다. 저지먼트 활동시가 그 예시.[15] 미나토 유키나와 프로듀서로, 둘 다 애캐토에서 나왔다.[16]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이나 은혼 정도만 극히 예외적으로, 메이저 모토 중 여덕들의 영향력이 강하게끔 시스템이 맞춰져 있던 최모토에서 활약했다.[17] 여캐의 경우 모토 최상위권과 남덕 취향 풀이 비슷하지만, 남캐는 양성향인 를르슈, 리바이, 로이를 제외한 모토 최상위권과 여덕 취향 풀에 매우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1#2[18] 개개의 모토는 참가자가 많아지면 부정투표의 비율이 커지고, 그렇지 않다면 경기별 편차가 심하게 튀는 딜레마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 대회가 가질 수 있는 공신력의 최대치는 한계가 있다.[19] 미즈노 아미, 베르단디, 텐오 하루카, 아야나미 레이, 리나 인버스, 호시노 루리, 키노모토 사쿠라, 혼다 토오루, 라크스 클라인, 리자 호크아이 등. 메타는 없지만 인기 시리즈가 연 단위로 교체되었기 때문에, 2010년대처럼 분기창녀란 개념이 나타나기 어려웠다.[20] 샤나의 국사모 우승, 미코토의 BGC 우승이 2016년이다.[21] 물론, 세이버, 카츠라 히나기쿠, 아키야마 미오, 유키노시타 유키노, 사쿠라지마 마이, 소라 긴코 등 메타로 설명할 수 없는 인기 히로인도 있다. 최초이자 남캐 유일의 그랜드슬램 달성자인 를르슈 람페르지도 마찬가지.[22] 특히, 근친이나 사제 연애, 연애 문제에 민감한 양덕의 가치관 때문에, 이즈미 사기리, 키리스 마후유, 이치고 등은 미국 내 인기에서 큰 손해를 보고 있다.[23] 이 지역의 우승 다수 가진 캐릭터로 라프타리아가 있다! 게다가 어마금 작중 내 인기에서 쇼쿠호 미사키미사카 미코토를 앞서기도 한다.[24] 물론 실버링크가 완전히 밑바닥으로 쳐박힌 것은 절대 아니다. 렌게호타루, 메이플 등 신인 풀이 꾸준히 나왔다. 단지 모토에서 키노시타 히데요시급 캐릭터가 안 나올 뿐.[25] 단 이는 결선 토너먼트가 그랬다는 것이지 그 우승 자체가 업셋은 아니다. 당장 바이올렛은 19시즌 아쿠아마린 목걸이의 수상자이다.[26] 모토 규모는 세계적으로 21년 10월에 최정점을 찍고, 그 이후부터 정체되기 시작했다.[27] 이미 20년대 초반부터 히로인 트렌드 역시 과거에 보이던 처녀성에 대한 집착이 주류에서 밀려나고, 더 노골적으로 대쉬하는 능동적인 여캐가 대세가 된 것에서 그 낌새가 보이기는 했다.[28] 그래서인지 사이모에 위키에선 히로인 왕조미코토와 렘만을 인정하고 있다.[29] 아키야마 미오의 최모토+국사모 로열로더 포함 6관왕, 나카노 아즈사의 사이모에, 히라사와 유이의 2관왕 등 도합 9관왕을 휩쓸었다.[30] 오랜 시간 평균 성적 5위 안에서 놀았으나 끝내 최정상을 정복하진 못한 사례로 샤나, 아이사카 타이가, 토오사카 린이 있다.[31] 여캐 V10 이상 멤버 중 10명(코토리 포함), V6 이상 남캐 중 3명이 이 세 회사 캐릭터이다. 그리고 이 세 회사 중 하나인 A-1은 투니버스에서는 대성하지 못했다.[32]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회사 중 갤럽, 아시 프로덕션, 아스리드, 데즈카 프로덕션, Production I.G, 가이낙스, TYO 애니메이션, 신에이 동화, 도우무, C-Station, OLM, TMS 엔터테인먼트, david production, 암스, 라이덴 필름, SATELIGHT가 모두 무관이다. 다만, AIC의 코토리나 쿠로네코, manglobe의 히나기쿠, 스튜디오 5조의 사키처럼 메이저 대회 우승작을 뒤늦게 애니화한 경우는 유관으로 간주한다.[33] 출처 : 10회 이상 우승자, 세부 통계, 추가 링크.[34] 참고로 데이터로 가치가 없는 14년 사이모에는 위 계산에서 제외하며, BGC 혼성부 전적은 "BGC#"으로 표기한다.[A] A B C 메이저 대회 4강 이상 전적 없음.[35] 출처: 링크 + 한국 대회 기록.[36] () 안은 메이저 모토 및 ToC 타이틀 + 연도별 실적 1위 수.[37] N은 그 대회를 참가한 적이 있지만 우승이 없는 것이고, X는 참가 자격조차 얻지 못해 우승이 없는 것. 혼성부 우승의 경우는 연도 뒤 (#)으로 표기. 첨자는 2관왕을 달성한 순서.[38] 15시즌의 를르슈는 국사모를 가져가지 못했고, 렘 또한 16시즌 국사모, 애캐토 2018 쪽은 참가 자체를 못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
, 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
, 4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4:49:28에 나무위키 모에 토너먼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