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해상케이블카

덤프버전 :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svg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 다크.svg

[ 2023~2024 ] 
수도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2021~2022 ]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문화지구 | 인천 차이나타운(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강원권
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
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
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2019~2020 ]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강원권
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
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
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독도 | 불국사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
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목포 해상 케이블카
木浦海缆车 / Mokpo Marine Cable Car

파일:목포케블카2.jpg
운영기관
(주) 파일:목포케블카로고.png
영업거리
3.23km
기점
북항스테이션
경유지
유달산스테이션
종점
고하도스테이션
운행속도
5 m/s
왕복 운행 시간
약 40분
객실 정원
10명
노선의 평균 경사각

개통일
2019년 9월 8일
시종점간 고저 차이
-m
왕복 요금
일반캐빈
대인 24,000원 소인 18,000원
크리스탈캐빈
대인 29,000원 소인 23,000원
편도 요금
일반캐빈
대인 19,000원 소인 13,000원
크리스탈캐빈
대인 22,000원 소인 16,000원
할인
목포시민중 대인은 4,000원, 소인은 3,000원 요금할인,
광주은행 앱/영업점 사전 구매시 20% 요금할인,
단체 1,000원할인 (단, 20명 이상이여야 가능)
국가보훈대상자, 장애인, 경로우대자는 2,000원 할인
(일반캐빈 왕복이용에 한함)
목포해상케이블카 홈페이지

1. 개요
2. 상세
3.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
4. 여담



1. 개요[편집]


파일:목포케블카1.jpg
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 516-101에 건설되어 2019년 9월 6일에 개통된 케이블카다. 북항스테이션에서 출발하여 유달산 정상부의 유달산스테이션을 경유, ‘ㄱ’자로 꺾여 해상을 지나 반달섬 고하도에 이른다.

다도해의 금빛 낙조와 야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총 길이 3.23km의 압도적인 탑승거리와 볼거리로 전남내 관광객 순위 5위에 불과하던 목포 관광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몰려들고 있어서 혼잡도가 엄청 높아졌으며, 목포시의 대표 관광코스로 지정되었다. 이렇다 할 볼거리가 없는 목포의 관광 지명도를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며 증가하는 탑승객으로 목포와 서남권 관광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관광객 720만 다녀갔다…케이블카, 목포에 답있네 [1]

2. 상세[편집]


파일:무제77.png

운행 구간은 북항~유달산~고하도이다. 캐빈은 일반과 크리스탈 캐빈이 있고, 왕복 40분이 걸린다.

왕복 승차권을 구매했더라도 고하도스테이션에서는 반드시 한번 내려야한다. 그래야 고하도에서 내린 다른 사람들이 케이블 카를 타고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바로 스테이션에서 줄 서서 기다리는 방법도 있지만 고하도의 산책길과 바닷길을 둘러보는 것도 좋다.

유달산스테이션은 산 정상 부근에 있으며 선택하차가 가능하나 케이블카에 빈자리가 없을 경우에는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2023년 4월 기준으로 고하도 - 북항 구간에서만 중간 승하차 가능하며 북항 - 고하도 구간에서는 중간 승하차가 불가능하다.


3.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편집]


북항스테이션: 목포해상케이블카(32010)/목포해상케이블카(32012)

고하도스테이션: 고하도케이블카승강장(16018)

1번 버스는 북항스테이션만 경유하며 33번은 북항스테이션과 고하도스테이션을 경유한다.
경유하는 노선
1
석현동
버스터미널, 목포역, 여객선터미널, 해양대, 북항스테이션, 홍일중고, 동부시장, 기독병원, 남악고
남악풍경채
10분 간격
33
석현동
실내체육관, 포미타운, 동부시장, 자유시장, 삼학도, 여객선터미널, 해양대, 북항스테이션
고하도 해상케이블카승강장
60~90분 간격

4. 여담[편집]


목포해상케이블카에서 촬영한 드라마나 예능은 이곳에서 볼 수 있다.

tvn 우리들의 블루스 한수-은희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6:57:30에 나무위키 목포해상케이블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시아 최고의 노선, 혼잡도가 높아졌다는 표현 대비 이용객 수는 그렇지는 않다. 2019년 기준 이용객이 58만명(9~12월 4개월)으로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듯 했으나, 오픈 반년도 안되어 터진 코로나 사태로 인해 오픈 특수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 근처 동네인 여수시의 여수해양케이블카는 167만명, 부산 송도의 케이블카는 112만명으로 각각 전국 1, 2위를 차지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타격한 2020년에는 여수 90만명, 목포 68만명, 송도 60만명 으로 오픈특수를 받고도 부산을 겨우 제치는데 그쳤다. 코로나를 감안하더라도 케이블카라는건 이용객 수치에 오픈 특수가 강력하게 반영되기에 투자금 환수가 가능한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강력한 관광도시인 여수, 부산이기에 가능한 수치이고 관광으로 유명하지 않던 목포에 이런 볼거리가 생긴 점에 의의가 있다. 게다가 운행구간이 여수 대비 2배에 가까운 것에 비해 안전상의 이유로 운행하는 캐빈은 여수와 5대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여수 50대, 목포 55대) 관광 조망에는 유리하나 탑승객 회전에는 매우 불리한 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