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박 2일 경기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야구 외 스포츠
3. 주요 무박 2일 경기 목록


1. 개요[편집]


한 스포츠 경기가 자정을 넘어가서 끝나는 것. 보통 연장 경기에서 많이 발생하나 우천으로 일시 중단된 시간이 길었다면 정규 이닝 내에서도 발생한다.

한국 프로야구에서 2004년부터 야간 경기 시작을 오후 6시 30분으로 고정하고, 경기 시작 후 4시간이 지나면 새 이닝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경기 규정이 사라지며 생겨날 수 있게 된 경기. 2008년에 무승부 제도를 없애면서 발생 가능성이 더 높아졌으나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해당 끝장승부 규정은 2009년에 바로 폐기.

1박 2일 경기와는 전혀 다르다. 2014년 8월 5일 NC-롯데전이 경기장 사정으로 서스펜디드 게임 선언 된 이후, 그 상황 그대로 다음날인 6일에 속개되었는데 이 경기가 1박 2일 경기의 적절한 예다.해당 경기

2010년에는 KBO가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경기시간 단축을 위해 스피드 룰 등 여러가지 경기 단축 방안을 내서 경기가 스피드해졌다. 그래도 무박 2일 경기가 발생하였으나, 2017년 8월 11일 롯데-NC전을 끝으로 더 이상 무박 2일 경기가 나오지 않고 있다.

우선 무박 2일 경기가 되려면, 오후 6시 30분에 플레이볼한 경기가 5시간 30분 이상 진행되어야 한다. 아래 언급된 무박 2일 경기를 제외한 한국프로야구의 5시간 30분 이상 경기는 5경기인데 2001년 5월 6일 벌어진 두산 vs LG전(5시간 45분), 2002년 10월 13일 광주에서 벌어진 LG와 기아의 경기(5시간 33분), 그리고 2016년 7월 9일 벌어진 엘 꼴라시코 경기, 마지막으로 2023년 7월 23일 키움과 롯데의 경기(6시간 10분, 우천중단 포함), 2023년 9월 17일 KT와 한화의 경기(6시간 14분, 우천중단 포함). 앞 두 경기는 일요일이라 낮 경기였고, 3번째 경기는 토요일이었지만 7월이라서 오후 6시에 시작했고, 4번째 경기는 일요일 경기여서 5시에 시작했고, 마지막 경기는 일요일 더블헤더 2차전이라서 5시 10분에 시작했다.[1]

야구의 뿌리가 된 크리켓의 경우는 정식 경기룰대로 할 경우 길면 4박 5일경기도 가능하다. 국제룰에선 그나마 20오버 제한으로 1일로 끝나는 경기를 하지만 이마저도 야구보다 훨씬 길다.

사실 이전에도 야구 국제대회에선 무박 2일 경기가 종종 나오곤 했다. 대표적으로 시드니 올림픽 당시 미국과의 4강전. 폭우로 경기가 중단되었다가 자정을 넘기고서야 재개된 사례다.

한국 프로야구의 무박 2일의 시작은 2008년부터 시작했으며 이후 2009년까지 자정을 넘어서도 경기가 지속되다가 2010년에 사직야구장에 자정에 맞춰 끝난 걸 끝으로 자정 경기까지 야구경기를 하지 않은 듯했다. 7년 후에 다시 자정을 넘는 경기가 나왔다.


2. 야구 외 스포츠[편집]


2018-19 프로농구에서는 12월 31일 밤 11시에 창원 LG 세이커스부산 kt 소닉붐의 창원 경기가 KBL 농구영신 경기로써 전반 1~2쿼터가 2018년 12월 31일 밤 11시에 실시되며 후반 3~4쿼터가 2019년 1월 1일 자정에 실시된 무박 2일 경기로 치러졌다. 무박 2년? 아직 실행된 적은 없지만 대체적으로 18-19시즌을 제외한 나머지는 경기를 10시에 치르다보니 경기가 접전으로 접어들어 진행이 길어지거나 연장전을 진행한다면 무박 2일이 될 가능성이 언제든 존재한다. 그래서 2019-20 시즌 농구영신은 이를 염두에 두고 9시 50분에 경기를 시작했으며 일각에서는 연장전을 대비해 9시 30분에 경기를 치르는 건 어떻겠냐는 의견도 나온다. 참고로 경기도중에 새해 카운트다운 시간이 임박했다면 심판진에서 임의로 경기를 중단시키고 카운트다운을 한 다음 경기를 재개하는 규정은 마련되어있다.

매우 당연하게도 모터 스포츠스파 24시, 데이토나 24시, 르망 24시 등 "24시"를 표방하는 내구 레이스는 대놓고 무박 2일이다. 황혼에서 새벽이 되가는 중에도 대형 사고라도 터지지 않는 이상 경기는 계속되며, 24시가 끝난 뒤 체커기를 받아야 끝난다. 그렇다고 잠 못 자고 24시 내내 몰아야 하거나 하는 괴랄한 짓은 규칙으로 막아놨다. 3교대나 4교대는 해야 하고, 밤에 교체로 빠진 사이 드라이버는 잠들 수 있다.

e스포츠에서는 대표적으로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결승전 한빛 스타즈SK텔레콤 T1의 경기가 있다. 광안리에서 펼쳐진 이 경기는 7전 4선승제로 치러졌는데, 오프닝 행사와 경기전 인터뷰 등으로 인해 1경기부터가 이미 상당히 늦은 시각인 20시 30분 이후에 시작하였다. 이 결승전은 결국 7경기 풀세트 접전으로 흘렀고 마지막 세트인 7경기는 23시 40분이 넘어서야 시작되었다. 이미 엔트리 발표 때부터 7경기는 나도현김현진테테전으로 확정되어있었고 (제노스카이 사건으로 유명한 그 경기이다) 테테전다운 장기전 끝에 자정이 넘은 00시 20분이 되어서야 승부가 났다.

e스포츠의 다른 사례로는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결승전이 밤 11시에 진행되었는데 당시 독일 월드컵 스위스전과 겹쳐서 경기 끝나고 스위스전 응원을 위해 11시에 시작했다.

e스포츠의 다른 사례로는 2020 LCK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 Cloudflare의 서버 다운으로 스팀과 같은 대부분의 사이트를 포함해 LOL 대회 서버가 다운되면서 약 3시간 가량 경기가 지연되었는데 이후 5차전까지 가게 되면서 무박 2일 경기를 치렀다.

GSLSSL의 32강과 16강은 시작 시간이 오후 6시 30분인데다 4인 1조 3판 2선승제 더블 엘리미네이션 시스템 때문에 자정을 넘기는 경우가 꽤 많은데 일일이 나열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흔하므로[2] 인터넷에서 '0시를 향하여'라고 검색하면 나오니까 참고할 것.

한국바둑리그/2022-23시즌에서 에이스 결정전의 도입으로 인해 무박 2일 경기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4국의 들어가는 시간과 대국 수수에 따라서 시작하는 시간이 정해지고 5국에서도 대국 수수에 따라 무박 2일 경기가 발생하기도 한다.

3. 주요 무박 2일 경기 목록[편집]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경우, 경기가 벌어졌던 장소의 현지시간을 기준으로 서술하기 바람. (ex. 양키 스타디움 - 동부 표준 시간대(EST)/동부 일광절약 시간대(EDT), 다저 스타디움 - 태평양 표준 시간대(PST)/태평양 일광절약 시간대(PDT) 기준으로 서술.)


  • 1992년 9월 11일 ~ 9월 12일 00시 26분, 야쿠르트 vs 한신 (연장 15회 무승부, 6시간 26분)[3]



[1] 특히 4번째 경기와 마지막 경기의 경우 경기 시간이 6시간을 넘어간 바람에 오후 6시에만 시작했어도 무박 2일 경기가 될 수 있었다.[2] 최대 15세트까지 가능한데 만약 풀세트에 근접하면서 전세트 경기 시간이 평균 25분 이상이면 거의 확정. 그나마 공허의 유산부터 장기전 요소가 삭감됨에 따라 과거보다는 빈도가 줄어들었다. 일단 마의 25분까지 가는 경기가 하루에 고작 한두개 수준이다. 그리고 경기장이 강남 한복판(삼성역 프릭업 스튜디오, 신논현역 넥슨 아레나)에 있는 e스포츠 특성상 심야버스 등이 있으므로 관객들도 막차 걱정할 일은 다른 종목에 비하면 덜하며 오히려 중계진이 0시를 향하여가 유력하다고 말하면 다들 환호한다(...).[3]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최장시간 경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1:57:54에 나무위키 무박 2일 경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