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루나무

덤프버전 :


미루나무
파일:external/ph.idomin.com/372152_282776_2531.jpg
사진은 창녕 우포늪의 미루나무
eastern cottonwood
이명 : 없음
Populus deltoides Marshall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말피기목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미루나무
1. 개요
2. 생태
3. 이용
4. 여담



1. 개요[편집]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낙엽활엽수이다. 영어 명칭인 '포플러'로 부르기도 한다. 한국어 이름인 '미루나무'는 미국(美)에서 온 버드나무(柳)라 하여 양버들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미류나무'라고 불렀다가 이것이 '미루나무'로 바뀐 것이다.[1]

한국에는 일제강점기 무렵에는 도로 변의 가로수나 학교나 마을 광장 등에 미관용으로 많이 심었고, 1960년대 녹화 사업 때도 미루나무를 많이 심었다. 지금은 가로수 용으로는 플라타너스나 은행, 메타세콰이어 등 다른 수종이 많이 교체되었지만 빨리 자라고 키가 매우 큰 편인 교목 활엽수이므로 여전히 다양한 용도가 있는 인기 수종이다.

미루나무에 매미 식으로 아주 키 큰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도 쓰인다.

2. 생태[편집]


참고 사이트 #

나무가지가 넓게 퍼져나가는 수형(樹形)을 지니는지라 그늘을 잘 만들며, 비교적 빨리 자라는 대신 수명이 짧은 편에 속하는 나무이다. 겨울눈을 만들어 겨울을 보내고, 봄에 꽃을 피우며 늦봄~초여름에 꽃이 저문 다음에 잎이 피어나고 열매가 열리는 생태주기를 지닌다.

겨울눈의 경우 털이 없으며 매끈한 물방울에 가까운 모양을 취하고, 색은 적갈색에 가깝다.

초봄(3~4월)에 녹색을 띠는 작은 꽃들이 미상꽃차례라고 하는 긴 꼬리 모양으로 무리지어 핀다.[2] 꽃은 유이꽃차례이고, 수꽃의 수술은 40-50개, 암술머리는 3~4갈래이다.

5~6월쯤 되면 15~30cm되는 삭과형 열매가 아래로 늘어진 이삭처럼 줄지어 자라난다. 미성숙한 열매의 각 개체는 덜 익은 꽃사과랑 은근히 유사한 난형의 형태를 취한다. 열매가 성숙하면서 갈라진 후 씨가 드러나는데, 이 씨들은 솜털로 덮여 있다.[3] 참고 그림.

이는 종자가 바람에 잘 날리게 하기 위한 일종의 번식전략인데, 열매가 다 익어서 바람에 날릴 시점(5~6월)이 되면 이 솜털들이 마구 휘날리게 되는지라 은근 정신 사나운 광경이 연출된다.[4] 게다가 솜털들이 달린 씨들을 매단 열매의 모습도 하필 털 달린 애벌레처럼 보인다.

잎은 녹색 윤기가 돌며, 크기가 큼직하고 모양은 마름모형에 가까운 달걀형이다. 잎의 곡선을 이루는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흑갈색을 띄는 두꺼운 나무껍질에는 긴 능선이 있다.


3. 이용[편집]


미루나무의 목재는 흰색~연갈색을 띄며, 부드럽고 약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목재 구분 시 '소프트 우드(Soft wood)'[5] 로 분류된다.

이러한 미루나무 목재는 젓가락, 성냥개비, 상자, 가구, 펄프, 포장용 톱밥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포장용 톱밥 외에도 느타리버섯 등 식용버섯을 재배하는 톱밥으로도 애용되는 나무 중 하나이기도 하다.

열매의 경우 상품화된 수준으로 인기있는 건 아니지만, 먹어도 죽지는 않는지 어린 시절에 이 열매를 먹었다는 사람의 이야기가 있다.[6]

위에 나온 것처럼 그늘을 잘 만드는데다 나무의 모양도 제법 괜찮고, 자라는 속도가 상당히 빠른지라[7] 가로수로도 쓰였으며 땔감용으로 도입되기도 했다. 단점은 뿌리가 가지만큼이나 넓게 퍼지는 특성 탓에 주변지대를 침해한다는 것과 태풍에 약한 점. 그래서 저지대가 아니면 구태여 이걸 심을 이유는 관상용 말고는 별로 없다고.

중세에는 미루나무 종류 중 '검은미루나무(블랙 포플러)' 라는 종의 미루나무가 수레, 화살을 만드는데 쓰였다고 한다.

과거에는 단순히 목재용이나 가로수로만 쓰인 게 아니라, 이 나무를 심어둔 자리를 기준으로 해서 마을간의 경계선을 구분하는데도 쓰였다고 한다.


4. 여담[편집]



  • 동요 "흰 구름"(박목월 작사, 외국곡)에 의하면 미루나무 꼭대기에 조각 구름이 걸려 있다고 한다. 1965~1981년 문교부 발행 국민학교 3학년 음악 교과서에 실려있다.
미류나무 꼭대기에 조각구름 걸려있네 / 솔바람이 몰고와서 살짝 걸쳐놓고 갔어요
뭉게구름 흰 구름은 마음씨가 좋은가봐 / 솔바람이 부는 대로 어디든지 흘러 간대요
이 교과서로 배우던 1956~1972년생들이 국민학생이던 시절에는 누군가를 놀릴 때 「미류나무 꼭대기에 XXX 빤스 걸려 있네」개사된 가사를 부르며 놀려댔다.[8]
1974~1978년을 배경으로 한 박수동 화백의 만화 「5학년 5반 삼총사」에서 주인공 삼총사가 이 가사 그대로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나왔다. 『미류나무 꼭대기에 XXX 빤쓰가 걸려있네』. 순풍산부인과에서는 춘향이 치마가 걸려있네로 나왔다.
  • 1989년 일본 Dynax에서 개발, 발매된 「드래곤 펀치」의 변조판 「블랙 터치」(1993.3)에 위의 동요가 BGM으로 들어있다. MAME에서 실행이 가능하다.

파일:external/www.beautifulschool.or.kr/babfe12900142a23095effaecbaa9267_eAOAW8ItQWq.jpg
1923년 서대문형무소 건립 당시 심어졌다. 사형장으로 가는 길목에 있었고 사형장에 끌려가는 독립지사들이 독립을 보지 못하고 생을 마감함을 미루나무 앞에서 애통함을 토해냈다고 한다. 사형장 안쪽에 같이 심어진 미루나무 한 그루가 있는데 그 미루나무는 위 사진의 나무와는 다르게 잘 자라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서 미루나무에 죽은 독립투사들의 한이 서려 나무가 잘 자라지 못했다는 말이 전해지기도 한다. 이후 사형장 내부에 있던 그 미루나무는, 2017년 8월 15일[9]에 쓰러졌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22:57:47에 나무위키 미루나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현재 양버들(Populus nigra) 과 미루나무(Populus deltoides)는 서로 다른 수종을 일컫기에 주의해야 한다.[2] 그런데 땅에 떨어진 모양이 심히 애벌레같은지라, 미루나무 꽃을 대충 봤다가 애벌레로 오인해 식겁하는 사람도 있다.[3] 그래서 '코튼우드(cottonwood)' 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4] 가로수로 심었다가 씨에 달린 솜털로 인해 낭패보기 싫다면 수그루만 심어도 된다.[5] 무른 특성을 지닌 목재들과 그런 목재를 생산하는 나무들을 일컫는 말.[6] 먹을 게 없던 시절엔 나름 맛있게 먹을 수 있었던 열매라고 한다(...) 아마 이 사람의 경우 미루나무 열매가 다 익어서 솜털을 방출하기 전, 미성숙한 열매를 먹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런 식물이 아예 없는 건 아닌데, 대표적으로 솜을 생산하는 목화도 익기 전의 미성숙한 열매를 먹을 수 있기도 하다. 둘 다 썩 먹는 용도로 알려지지도 않았지만(...)[7] 1년에 1m 이상씩 크는 수종이다.[8] 1956~1988년 당시 표준어는 "미류나무".[9] 광복절 모든 한을 풀고 쓰러진것이라고도 추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