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헤임

덤프버전 :




1. 북유럽 신화의 지명[편집]




애시르 신족(아스 신족)과 함께 북유럽의 신들을 이루는 신족인 바니르 신족(반 신족)들의 세계. 단, 북유럽 신화가 순 애시르 신족 위주라 이쪽은 뇨르드, 프레이, 프레이야 빼고는 묻혔다. 아니, 그 세 명마저도 애시르화하였다. 본래 바니르들은 농경 문화를 상징하는 신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북유럽인들이 무역이나 약탈을 통해 접촉한 브리타니아나 갈리아의 켈트족 신들이 기원이라는 설이 유력하므로 바나헤임도 켈트족의 땅이 기원일 것이다.

태고에는 정말 박 터지게 싸웠다. 당시 전쟁 구도는 애시르 vs. 바니르, 바니르 vs. 거인, 애시르 vs. 거인이었다. 그러나 결국 애시르와 바니르는 휴전 협정을 맺고, 서로 중요한 신들을 교환하여 평화를 이어가기로 한다. 이에 바니르에서는 인질로 뇨르드와 그 자식들인 프레이, 프레이야를 보냈다. 애시르 쪽으로 말하면 오딘, 토르가 넘어온 것이나 마찬가지. 하지만 애시르 쪽에서 약속을 깨고 얼굴은 그럴듯 한데 머리는 빈 신인 회니르를 보냈다.[1] 이때 머리가 빈 것이 너무 일찍 들통나면 산통 다 깨지니까 서포트로 미미르를 딸려보냈다. 결국 이런 수작이 들통나고 바니르는 미미르의 목을 잘라 아스가르드로 던져버렸고, 이것을 본 오딘은 오히려 적반하장 격으로 그렇게 죽은 미미르의 머리를 되살려 놓은 후, 라그나로크가 일어날 때까지 바니르와의 교류를 끊어버린다.

이것이 북유럽 신화에서 나오는 바니르의 이야기 전부다. 신화 원전 전체를 탈탈 털어서 '바나헤임'이라는 단어가 명확하게 언급되는 것은 단 한 번밖에 없다.[2] 이후 뇨르드와 프레이, 프레이야 모두 애시르 신족과 동일한 대접을 받는다. 신라 골품제 비슷하게 생각하면 된다. 즉, 망국의 왕족을 진골로 쳐주는 식이다. 물론 프레이야는 막장짓 해서 어딜 가나 욕 먹어도 할 말이 없는 판이지만. 자세한 것은 프레이야 항목 참고.


2. 갓 오브 워[편집]


프레이야의 집의 창문에 바나헤임의 모습이 약간이나마 비치는데 바오밥나무 같은 거대한 식물들이 솟아나있는 숲 같은 모습이다. 영역 이동의 방에서 지정할 수는 있지만 오딘에 의해 진입이 차단된 상태라 플레이어가 무슨 짓을 해도 갈 수는 없다.

하지만 라그나로크에서는 프레이야의 힘을 되찾는 과정에서 진입할 수 있게 되고, 라그나로크 종료 후에는 여기서 애시르와 바니르 신족의 화합이 이루어진다.


3. 라테일 프레이오스 대륙의 지역[편집]


프레이오스의 무한회랑이 새롭게 발견한 지역. 아름다운 해안가이지만 매우 기분 나쁘고 우중충한 곳으로, 땅에서는 어둠의 힘이 계속해서 올라오고 어둠의 생물이 끝없이 증식하는 완전히 어둠에 뒤덮인 지역. 이 지역이 발견되고 많은 사람들이 조사에 나섰지만 대부분 얼마 안 가 몸 상태가 나빠져서 돌아가야 했고, 현재 조사 중인 인원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처음에는 프레이오스의 유일한 지상의 땅인 미르간디아가 아닌가 싶었으나, 이 지역은 아예 다른 대륙에서 통째로 떼어낸 지역이라고 한다. 이 지역의 중심에는 붕괴의 탑이 있는데, 이 탑의 지하 인던에는 뇨르드라는 강력한 몬스터가 존재한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 지역은 여신 세레스와 데르족의 땅이었다. 즉 지엔디아 대륙이었던 지역.

본래 정령과 세레스, 데르족들이 함께 한 평화롭고 아름다운 땅이었지만, 마왕 비스트의 침략으로 모든 것이 변하고 말았다. 이 지역의 중심에 있는 붕괴의 탑은 생명을 재료로 하는 일종의 용광로로, 이 탑이 작동되면 이 지역의 모든 생명들은 그 육신을 잃고 혼만이 추출된다. 즉 붕괴의 탑은 그 생명의 힘으로 비스트에게 대항하려는 데르족의 마지막 카드였던 것. 그러나 데르족은 이로 인해 멸망하고 말았고, 비스트의 어둠의 힘은 이 지역을 완전히 오염시켜버리고 말았다. 이 지역 필드에 있는 '부서진 혼'이라는 몬스터는 그 과정에서 희생된 혼의 파편이며, 그 눈이 보고 있는 것은 현실이 아닌 악몽 속의 마왕의 모습이 아닌지 추측된다. 또한 붕괴의 탑 최하층에 있는 강력한 몬스터 뇨르드는, 데르족이 이 탑을 작동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는 오랫동안 탑에 갇혀 있었던 강력한 정령이었다. 데르족을 도왔다는 점에서 그 본성은 악한 존재가 아니겠지만, 지금의 뇨르드는 이미 어둠의 숙주가 되어 끊임없이 죽음의 기운을 탑에 뿌리고 있다.

3차전직 시나리오에서 플레이어는 바나헤임에서의 일을 가장 후회한다고 하지만 아직 공개된 내용은 많지 않다. 아마 차후 스토리 전개에 중요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떡밥을 던졌으면 수거를 해야지! 하지만 스토리 작가들이 줄줄이 잘리며 라테일의 최고장점이였던 스토리는...

그리고 2013년 12월 18일 패치로 인해, 바나헤임에서의 플레이어가 후회했다고 말하는 분기점이 나왔다. 2년이 다 되어 가는데 정보가 작성되지 않은 걸 보아 관심이 정말 없었던 모양이다 바나헤임 2의 시나리오 마지막 파트에 데르족의 선조 격인 '데르'가 자기 또한 어둠의 일부가 될 거라고 말하며, 플레이어에게 자신의 마지막을 보지 못하게 하도록 떠나 달라고 요청한다. 떠난다와 떠나지 않는다라는 선택지가 있는데, 떠난다를 선택하면 카즈노에게 받은 빛의 조각이 소멸되고 플레이어는 바나헤임을 나서게 된다.

떠나지 않는다를 선택할 시, 데르는 타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싫다고 말하더니 점차 다른 모습으로 변해간다. 데르는 플레이어를 희생시키고 싶지 않다면서 플레이어를 쫓아내겠다고 공격하나, 라테일 세계관의 데우스 엑스 마키나 오히려 플레이어에게 밀리고 만다. 데르는 아주 약간 어둠에 발을 디딘 정도로 이렇게 되었다고 한탄하며 왜 내게 이런 수치를 주는 거냐면서 플레이어를 원망한다.

그 때, 카즈노가 준 빛의 조각이 일렁이더니 게네페의 형태로 바뀌었다. 게네페를 본 이후 데르는 원래의 모습을 되찾고, 게네페는 데르를 엄마라고 부르며 데르와 함께 빛 속에서 사라지며 바나헤임의 시나리오가 끝난다. 표류도시에 버금가는, 굉장히 여운이 남는 시나리오로 평가받는 바나헤임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장면이다.

표류도시에서 미래의 플레이어가 가장 후회했다고 하는 선택이 데르의 곁을 떠나는 선택지가 맞다면, 데르의 마지막을 보지 않고 떠나는 쪽이 표류도시의 시나리오에 더 가까울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4.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등장 지역[편집]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lanes_in_Vanaheim.png
Vanaheim

이미지 출처. 참고로 이 이미지에서 보이는 두 개의 작은 점 같은 것은 '컨버전스'를 통해서 바나헤임으로 넘어온 영국 공군의 유로파이터 타이푼이다.[3]

모티브는 당연히 1번 항목. 바니르 신족이 살아가는 곳이자, 워리어즈 쓰리의 일원인 호군의 고향이다. 약간 동양풍이 나는 곳으로[4], <토르: 다크 월드>에서는 촌락만 나오지만 우주시설도 있는 엄연한 우주문명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9:37:12에 나무위키 바나헤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설에 의하면 회니르가 머리가 빈 것은 아니었는데 침묵의 신이라서 아무튼 쓸모가 없었다고도 한다.[2]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제39절.[3] 컨버전스 현상때문에 빨려들어가버렸지만 이후 현상이 해결되며 지구로 돌아간다.[4] 설정상 MCU의 바나헤임인들은 아시아계 몽골로이드처럼 생겼다. 그래서 호군은 물론, 바나헤임의 엑스트라들도 동양인들이 맡았다. (호군을 연기한 배우는 일본인인 아사노 타다노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