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운스볼/월드/타이탄

최근 편집일시 :




파일:바운스볼 로고.png
바운스볼 월드

37



38



39

판도라

타이탄

유로파
1. 상세
2. 공략
2.1. 스테이지 1
2.2. 스테이지 2 (T)
2.3. 스테이지 3
2.4. 스테이지 4
2.5. 스테이지 5
2.6. 스테이지 6 (T)
2.7. 스테이지 7
2.8. 스테이지 8
2.9. 스테이지 9
2.10. 스테이지 10
2.10.1. EASY 모드
2.10.2. HARD 모드
2.11. 스테이지 11
2.12. 스테이지 12
2.13. 스테이지 13
2.14. 스테이지 14
2.15. 스테이지 15
2.16. 스테이지 16
2.17. 스테이지 17
2.18. 스테이지 18 (T)
2.18.1. EASY 모드
2.18.2. HARD 모드
2.19. 스테이지 19
2.20. 스테이지 20
2.21. 스테이지 21
3. 총평
4. 기타


1. 상세[편집]


어려운 스테이지: 10, 13, 21
이번 월드는 직선 이동기를 휴대용으로 쓸 수 있는 아이템이 추가되었다. 참고로 이는 직진 장치보다 다루기 매우 힘들다. 기존의 직진 장치는 격자 단위로 위치해 있으므로 정해진 높이에서 쭉 날아갈 수 있다. 하지만 이 아이템은 허공에서 낙하를 하는 와중에 작동시키는 방식이라 높이의 자유도가 매우 크다.[1] 그만큼 타이밍 싸움을 겪게 되는 것. 그리고 직진 장치와는 달리 더블터치 방향에 따라 왼쪽/오른쪽 방향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다.

여담으로, 이 스테이지에서는 가시 발판이 엄청 많이 나온다. 직선이동 아이템과 엮여서 이 월드의 난이도를 극악으로 이끄는 주범. [2]


2. 공략[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게임 바운스볼의 38번째 월드 타이탄의 정보와 공략 등을 서술하는 문서이다. 이 문서에는 공략이 모두 쓰여져 있기에 이 월드를 지났거나 앞으로 바운스볼을 할 생각이 없거나 정말 못 깨겠다 싶을 때만 보자. 정말 자기 힘으로 깨고 싶다면 이 문서를 보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2.1. 스테이지 1[편집]


직선 이동기 아이템을 사용하여 별 있는 쪽으로 정확하게 터치하면 어렵지 않다. 하드 모드에서는 가시가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된다.


2.2. 스테이지 2 (T)[편집]


직선 이동기 아이템을 자석 블록으로 끌어와서 먹은 뒤, 투명 추진기에 탑승한 후 직선 이동기 아이템을 먹고 가시를 피해 더블 터치해야 된다. 그리고 대시 아이템을 먹고, 가시들을 피해 별을 먹으면 끝.


2.3. 스테이지 3[편집]


초반치고 난이도가 크게 올라갔다. 이번에는 직선 이동기 아이템을 두 번이나 사용해야 되며, 가시들을 피해 별들을 먹어야 된다. 초보자들에게는 통과하기가 어렵지만 앞으로 나올 타이탄 스테이지를 보면, 쉬운 편에 속한다.


2.4. 스테이지 4[편집]


EASY와 HARD는 분홍색 레이저 블록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다.[3] 스테이지 3만큼이나 까다로운 난이도에 속하며, 직선 이동기 아이템을 잘 써서 별을 먹은 뒤 포탈을 탄 후 가시를 피한 뒤, 직선 아이템을 먹어 별을 먹어야 한다. 이 작업을 두 번이나 한다.


2.5. 스테이지 5[편집]


EASY 모드는 전 스테이지인 4보다 쉬운 편이다. 다만 장애물을 피해 하강 블록을 떨어뜨리는 게 까다로울 뿐이다. EASY 모드에서는 장애물을 피해 하강 블록을 떨어뜨리고 더블 터치하여 8방향 직진 블록에 타면 끝났다고 보면 되지만 HARD 모드에서는 가시를 피해 하강 블록을 두 번이나 떨어뜨려야 한다.


2.6. 스테이지 6 (T)[편집]


일회용 상승 블록을 타고 직선 이동기 아이템을 먹고 더블 터치 한 후, 한 번 터치를 해 주며, 직선 이동기 아이템을 먹고 더블 터치하여 포탈로 간다 . 8방향 직진 블록에 탑승하였다면, 대각선 이동 블록 쪽으로 발사한 뒤, 하강 블록을 먼저 밟아주고 다시 대각선 이동 블록 쪽으로 가야 한다. 이때 일회용 직진 블록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가시를 주의할 것.


2.7. 스테이지 7[편집]


단칸 이동기를 한 번만 상승시키고 팔방향 직진 블록을 타고 가자. [4]북서쪽 화살표를 누른 후, 오른쪽으로 벽타기하여 점프 아이템을 먹고, 더블 터치한 뒤, 하강 블록을 먹고, 대시 아이템을 이용하여 일회용 직진 블록을 타고 가자. 단칸 이동기를 세 번 움직인 후, 무지개 별을 먹은 뒤, 초록/주황 블록 스위치를 비활성화한 뒤, 포탈로 이동하여, 직선 이동기를 먹고, 팔방향 직진 블록으로 이동한 뒤, 팔방향 직진 블록에서 아래를 선택하면 끝.


2.8. 스테이지 8[편집]


우선 소멸 블록을 밟고 지나간 뒤, 상 직진 블록을 타고 간 뒤, 일회용 직진 블록을 타고, 철사 블록을 이용하여 4번 철사 블록을 밟고, 직선 이동기를 사용한 뒤, 상 직진 블록을 탄 후, 좌 직진 블록을 타고, 철사 블록 쪽으로 착쥐한 뒤, 철사 블록을 4번 밟은 후, 대시 아이템을 이용하여 더블 터치 한 후, 직선 이동기를 먹고, 좁은 틈으로 들어간 후 별을 먹으면 끝. 다만 주의할 점은 터치를 잘못할 경우, 바로 땅으로 떨어져 다시 해야 되기 때문에 터치를 잘해야 된다.


2.9. 스테이지 9[편집]


체크 포인트가 먹어져 있을 것이다. 밑으로 내려가 자유 대시 아이템을 먹는 순간 더블 터치해야 되며, 전기 스위치를 비활성화해야 한다. 그리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간 뒤 직진기를 타고 근거리 워프 아이템을 사용한 뒤, 직선 이동기 아이템을 이용하여 별을 먹어주면 된다. 난이도는 높으나 악명이 높은 21 스테이지에 비하면 그나마 쉬운 편이다.


2.10. 스테이지 10[편집]



2.10.1. EASY 모드[편집]


일회용 직진기를 탄 뒤, 직선 이동기를 먹고 더블터치하여 이동한 후, 다시 직선 이동기를 먹고 더블터치하는 작업을 5번이나 반복하면 된다.


2.10.2. HARD 모드[편집]


직선 이동기 먹는 위치와 감전기 위치와 가까이 있기 때문에 먹는 순간 바로 빠른 터치를 해야 한다. 이 작업은 6번이나 해야 된다.
굉장히 암걸리기 좋은 스테이지인데 모바일 기준으로 왼쪽부분에서는 왼손으로 떨어진 후 오른손으로 직선이동기 사용, 오른쪽 부분에선 오른손으로 떨어진 후 왼손으로 이동기를 사용하면 편하다. 몇번 해보면 감 잡기 쉽다


2.11. 스테이지 11[편집]


우선 분홍색 레이저부터 막자. 그리고 상 직진 블록을 타고 간 뒤 직선 이동기를 사용해서 변색 블록을 건드린 뒤 다시 제빨리 직선 이동기를 사용하자. 그리고 가시를 피해 직선 이동기를 먹어준 후 이동해서 단칸 이동기를 분홍색 레이저를 피해 작동한 뒤에 검은 사각형 워프 장치로 가서 파란 낙석을 피해 별을 먹으면 된다.


2.12. 스테이지 12[편집]


직선 이동기를 절대 두 개 이상 먹으면 안 된다. 게다가 EASY 모드든 HARD 모드든 소멸 블록이 많이 깔려 있지 않으며, 난이도가 크게 차이나지 않기 때문에 주의할 것. 똑같은 작업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상 직진기를 타고 투명 추진기로 이동한 뒤, 직선 아이템을 이용해 차례차례 별들을 먹어주면 된다.


2.13. 스테이지 13[편집]


스테이지 11과는 다르게 이번에는 가로로 두 줄로 되어 있는 별들을 먹어줘야 한다. 타이탄 전체에서 2번째로 어려운 스테이지이다. 당연히 스테이지 11보다 터치에 더더욱 신경을 써줘야 한다. 두 줄짜리로 되어 있는 별들을 다 먹었다면 레이저 상자를 피해서 세로로 두 줄[5]이 되어 있는 별을 먹으면 끝. HARD 모드에서는 한 번 더 직선 이동기를 사용해야 된다.


2.14. 스테이지 14[편집]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난이도가 어려운 편이다. EASY에서는 전기, HARD에서는 가시로 나온다. 오로지, 직선 이동기 아이템을 잘 사용하여야 하며, 일회용 상승 블록을 밟는 순간 제빠르게 더블 터치를 하여 4개의 별들을 다 먹어야 한다.


2.15. 스테이지 15[편집]


일회용 직진기를 타고 포탈로 이동한 후, 점프 아이템과 직선 이동기를 먹는 작업을 두 번하여, 상승 블록[6]을 타고 타이밍에 맞게 더블 터치를 한 후, 팔방향 직진 블록에서 북쪽을 선택한 뒤, 직선 이동기를 먹은 후, 팔방향 직진 블록을 타고, 북쪽을 선택한 뒤, 직선 이동기를 먹은 상태에서 더블 터치를 하여 별을 먹으면 끝.
꼼수가 있는데 하드난이도에서 일회용 직진기를 타고 쭉 간후 8방향 직진 블록에서 대각선 왼쪽 위로 가면 1×3짜리 블록 위에 올라갈 수 있다.그런 후에 6칸 아래에 있는 1×4짜리 블록 위로 떨어지면 어렵지 않게 깰 수 있다.


2.16. 스테이지 16[편집]


EASY와 HARD 모드에서는 대각선 이동기 간격이 차이가 크다. EASY 모드에서는 빠른 터치를 두 번해야 된다면, HARD 모드에서는 세 번 해야 된다. 직선 이동기 아이템을 먹고 더블 터치한 후 대각선 이동 블록에 착지한다. 여기에서 빠른 터치를 해 줘야 하며, 직진 블록을 타고 벽 타기 블록에 착지한 후, 가시를 피해 가야 벽타기를 해야 된다. 마지막에 직선 이동기 아이템을 먹고, 더블 터치한 후 또 한 번 터치를 하여 두 줄 별을 먹어야 한다.


2.17. 스테이지 17[편집]


일회용 직진 블록을 탄 뒤에 직선 아이템을 사용하여, 타이밍에 맞게 하강해야 된다. 이 작업을 두 번이나 해야 되며, 팔방향 직진 블록을 이용하여 별들을 먹으면 된다. 직선 아이템 이해도와 숙련도가 높으면 쉽게 깰 수 있는 스테이지.


2.18. 스테이지 18 (T)[편집]



2.18.1. EASY 모드[편집]


우선 직선 이동기를 먹고, 감전기를 피해 이동한 후, 파란 낙석을 피해서 녹색 블록을 비활성화한 후, 점프 아이템을 사용하여 워프 장치로 가자. 그리고 상승 블록을 타고 간 뒤 역시나 파란 낙석을 피해 가야 한다. 일회용 상승 블록을 탄 후, 직선 아이템을 사용해야 된다. 가시를 피해 터치를 한 후 밑으로 내려가서 직선 아이템을 사용한다. 소멸 블록을 밟은 후, 가시를 피해 벽 타기를 계속해서 아래로 내려간다. [7] 마지막으로 직선 아이템을 사용한 뒤 투명 추진기를 타고 터치를 제대로 하여 상 직진기를 타고 별을 먹어주면 끝.


2.18.2. HARD 모드[편집]


구성은 EASY 모드와 같다고 하지만 고친 부분이 두 군데가 있다. 하나는 파란 낙석들을 근거리 워프 아이템으로 통과해야 하며, 다른 하나는 파란 낙석들을 통과하고 난 뒤, 직선 이동기를 사용한 뒤, 한 번 터치 후, 다시 더블 터치를 해야 되는 구간이 생겼다.

오른쪽 위 직선 이동기를 먹고 왼쪽으로 넘어갈 때 점프 타이밍을 잘 맞춰서 직진 이동기로 별 왼쪽 가시블럭 위로 이동하면 한 번에 별을 먹을 수 있다.

2.19. 스테이지 19[편집]


점프 아이템을 사용한 뒤, 직선 이동기를 사용한다. 왼쪽으로 이동한 후, 직선 이동기를 사용하다가 짧은 터치를 한 뒤, 다시 직선 이동기를 사용한다. 투명 추진기를 타고 간 뒤 블록에 멈춘 후, 상 직진기를 타고 변색 블록을 건드리다 내려온 뒤, 하강 블록을 떨어뜨린다. 그리고 다시 상 직진기를 탄 뒤 투명 추진기로 이동해주면 끝. HARD 모드에서는 점프 아이템과 왼쪽 위에 있는 직선 이동기 대신 자유 대시 아이템과 대시 아이템으로 바뀌었다.


2.20. 스테이지 20[편집]


그 악명 높은 21단계에 비하면 쉬우며, 직선 이동기를 타고 별들을 먹으면 된다. 이런 작업을 5번이나 한다.
물론 컨트롤과 타이밍을 못 맞춘다면, 20단계가 어려울 수 있지만, 21단계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사실 타이탄의 최고 난이도와 바운스볼 최종 보스 난이도는 따로 있었으니...


2.21. 스테이지 21[편집]


직선 이동기를 처음에 얻은 채로 시작을 한다. 그리고 밑으로 내려가 별들을 얻는다. 이 같은 작업을 오로지 타이밍과 컨트롤로 해야지 별들을 얻을 수 있다. 중간에 쉬는 곳은 딱 한 곳. 그리고 밑으로 내려가게 되면, 가시를 피해서 연속으로 직진 이동기 아이템을 사용해야 된다. 포탈 블록으로 이동을 해야 하며, 마지막에는 직진 이동기가 나오게 되어, 연속으로 직진 이동기 아이템을 네 번이나 사용하여야 한다. 마젤란 은하 21, 오베론 20 하드와 함께 바운스볼 타이밍과 컨트롤이 최상이 아닌 이상, 이 라운드를 쉽게 깰 수 없다. 이지도 타이탄 맵중 어려운편인데 하드는 바운스볼에서 마젤란 21단계 하드와 덩달아 최고난이도 맵이다. 3개의 공간 중 오른 쪽 공간의 가시들을 통과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이것도 다 옛말이다. LRD Level, 익스퍼트 모드, 요즘 맵에디터 극악맵들을 보면 다 이것보다 어렵다. 그리고 빅뱅 11보다 훨씬 쉽다.


3. 총평[편집]


퍼즐해법을 요구하는 대신 칼타이밍이나 컨트롤을 별로 요구하지 않는 판도라와는 정반대로 역대급 극악의 칼타이밍과 고도의 컨트롤을 요구하는 월드

맵 전체적으로 보면 역대 최고로 어려운 월드다.[8]전 월드인 판도라와는 달리 퍼즐 때문에 머리를 꽁꽁 싸맬 필요는 없는 편이다. 업데이트 안내문에 제작진이 극악의 난이도라 했는데 그 극악이 칼타이밍을 뜻한다. 1판 깰때마다 상당한 수준의 컨을 필요로 한다. 이번 월드는 퍼즐보다는 컨트롤 및 타이밍 난이도가 매우 높다. 똑같은 컨트롤 반복하는맵이 대부분이며 퍼즐맵은 7, 8 정도를 제외하면 없다. 이에 대해 아쉬움을 느낀 유저들도 있다. 이 월드 이후의 경향을 볼 때 앞으로는 퍼즐 중심과 컨트롤 중심의 월드가 교대로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되었으나, 유로파가 컨트롤 중심으로 나왔다. 물론 유로파는 오베론이나 타이탄보다는 퍼즐 요소가 강하다. 그리고 유로파 이후로는 새로운 월드가 추가되고 있지 않다.


4. 기타[편집]


이전 라운드 판도라에 비해 퍼즐 난이도가 크게 낮아졌지만, 컨트롤과 타이밍이 크게 올라간 월드라고 할 수 있다. 맵 구성은 간단하지만 직선 이동기를 잘 써야 하는 월드다. 그래서 그런지 판도라보다 먼저 문서가 작성되었다.

타이탄에서 이지 모드와 하드 모드의 차이는 보통 이지는 감전기가 많고 하드는 가시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

여담으로 20스테이지 HARD는 전 월드 통들어서 가시 블록의 수가 제일 많다. 가시 블록의 개수는 무려 214개.[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1:23:21에 나무위키 바운스볼/월드/타이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러나 갈 곳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의미없는 자유도다. [2] 사실 전기 블록의 피격 판정은 가시 발판보다 널널하다. 가시 발판이 닿으면 무조건 터지는 느낌이라면 전기 블록은 가운데 번개 모양을 피하면 안 터지는 느낌[3] EASY에는 레이저가 있지만 HARD에는 레이저가 없는데, 레이저가 일종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EASY에만 나온다.[4] 그 이유는 단칸 이동기를 두 번 상승시킬 경우, 팔방향 직진 블록을 타고 북서쪽으로 가야 하는데 단칸 이동기 때문에 막혀서 가는 것이 불가능하다.[5] 2x4[6] HARD 모드에서는 일회용 상승 블록. 때문에 가시에 닿을 수 있다.[7] 이때 주의할 점은 벽타기로 아래로 내려갈 것. 그렇지 않을 경우, 바운스볼이 분홍색 레이저에 닿기 때문에 죽을 수 있다.[8] TITAN 스테이지 1, 스테이지 2를 제외하자면 사실상 쉬운 난이도는 없다고 봐야 한다.[9] EASY 모드는 202개다. 가시 블록 역할을 감전기가 대신 수행하였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