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메탈 주화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사례


Bi-metallic Coin


1. 개요[편집]


바이메탈 주화는 두가지 소재로 만들어진 주화[1]를 말한다. 한국어로는 복재질주화라 번역하기도 하나, 보통 일선에는 그냥 바이메탈 주화로 통하곤 한다. 하나의 합금으로 구성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중심부와 외연부에 다른 금속을 배치 한 것이 일반적인 구조이다. 홈이 파여진 중심부와 링부분을 따로 만들어 끼워 한꺼번에 압인하는 방법으로 만든다. 또한 도금으로 만드는 주화는 일반적으로는 바이메탈 주화로 보지 않는다.

디자인적으로 우수해서 기념 주화에 바이메탈 주화가 채용되기도 하지만, 위조 방지를 목적으로 통용주화의 고액권에 채용되기도 한다. 지폐의 경우와 달리 주화의 경우 위조방지장치가 어렵지만[2] 바이메탈 주화의 경우 그 자체로 주화의 위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3] 예전에는 바이메탈 주화가 신기술이였다면 이제는 트라이메탈(Tri-metallic coin), 테트라메탈(Tetra-metallic coin) 주화도 존재한다. 각각 3종류, 4종류의 금속을 결합한 것이다.

2. 사례[편집]


파일:Bimetallic 500 Lire.jpg
세계 최초의 통용 바이메탈 주화 이탈리아 500리라
유통 목적으로는 제작비가 많이 들어 고액권에 주로 사용된다. 처음으로 유통목적으로 만들어진 바이메탈 주화는 1982년부터 2001년까지 발행된 이탈리아500리라 주화.

2023년 기준 일본500엔, 대만의 20달러, 태국의 10바트, 필리핀의 20페소, 싱가포르의 1달러, 동티모르의 100, 200센타부, 인도의 10, 20루피, 몰디브의 2루피야, 우즈베키스탄의 1000숨, 카자흐스탄의 100, 200텡게, 투르크메니스탄의 1, 2마나트, 튀르키예의 50쿠루쉬, 1리라, 조지아의 2라리, 이스라엘의 10신셰켈, 아르메니아의 500드람, 아제르바이잔의 50개픽, 사우디아라비아의 1, 2리얄, 요르단의 ½디나르, 바레인의 100필스, 유럽 연합의 1, 2유로, 영국의 1, 2파운드, 불가리아의 1, 2레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2, 5마르카, 알바니아의 100레크, 헝가리의 100, 200포린트, 폴란드의 2, 5즈워티, 체코의 50코루나, 벨라루스의 2루블, 몰도바의 5, 10레우, 이집트의 1파운드, 리비아의 ½디나르, 모로코의 5, 10디르함, 알제리의 10, 20, 50, 100, 200디나르, 앙골라의 5, 10, 20콴자, 지부티의 250프랑, 에티오피아의 1비르, 르완다의 100프랑, 케냐의 5, 10, 20실링, 모리셔스의 20루피, 세이셸의 10루피, 모잠비크의 10메티칼, 코모로의 250프랑, 카보베르데의 100에스쿠도, 모리타니의 10우기야, 시에라리온의 25, 50센트, 가나의 1, 2세디, 나이지리아의 1, 2나이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5랜드, 보츠와나의 2, 5풀라, 캐나다의 2달러, 멕시코의 1, 2, 5, 10, 20페소, 자메이카의 20달러, 쿠바의 5페소, 도미니카 공화국의 5, 10페소, 파나마의 1발보아, 콜롬비아의 500, 1000페소, 페루의 2, 5솔, 볼리비아의 5볼리비아노, 브라질의 1헤알, 칠레의 100, 500페소, 우루과이의 10페소 주화가 바이메탈로 발행되고 있다.

최초의 트라이메탈 주화는 1992년 프랑스 20프랑 주화로 엄연히 통용 목적으로 발행되었으나, 지폐를 대체할 정도로 활발히 유통되진 않았으며 얼마 있지 않아 유로를 도입하였기 때문에 현재는 보기 힘든 편이다. 이후 한동안 트라이, 테트라 메탈 주화를 통용주화로 도입한 나라가 없었으나, 2018년 모리타니 20우기야 주화에 새로 도입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1:46:27에 나무위키 바이메탈 주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두 가지 금속을 섞은 합금으로 만든 주화와는 뉘앙스가 다르다.[2] 위조 방지를 목적으로 테두리에 문자를 압인하거나, 고전적인 방법으로 테두리에 톱니를 파기도 하지만 한계가 있다.[3] 위조범의 장비 수준으로 두 소재의 단단한 결합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 그렇다고 대충 만들면 단박에 티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