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규수

덤프버전 :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 좌의정 ]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한용귀

제311대

서용보

제312대

이시수

제313대

김재찬

제314대

한용귀

제315대

김재찬

제316대

김사목

제317대

남공철

제318·319대

이상황

제320대

이존수

제321·322·323대

이상황


제324대

심상규

제325대

홍석주



제325대

홍석주

제326대

박종훈

제327대

김홍근

제328대

정원용

제329대

권돈인

제330·331대

김도희



제330·331대

김도희

제332대

박종훈

제333대

김홍근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이헌구

제336대

조두순

제337대

박회수

제338대

조두순



제339대

이유원

제340대

김병학

제341대

강로

제342대

이최응

제343·344대

김병국

제345대

송근수

제346대

김병국

제347대

김홍집

제348대

김병시

제349대

김홍집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심상규


제350대

이존수

제351대

정만석

제352대

김이교

제353·354대

박종훈



제353·354대

박종훈

제355대

이지연

제356대

조인영

제357대

정원용


제358대

권돈인

제359대

김도희

제360대

박회수



제361대

박영원

제362대

김좌근

제363·364·365대

조두순



제366대

이경재

제367대

임백경

제368대

류후조

제369대

홍순목

제370대

한계원

제371대

박규수

제372대

김병국

제373대

김병덕

제374대

심순택

제375대

김병시







조선 정승
문익공(文翼公)
박규수
朴珪壽


파일:external/www.newssc.co.kr/14421_7469_3842.jpg

출생
1807년 10월 27일
(음력 순조 7년 9월 27일)
한성부 북부 양덕방 계생동계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사망
1877년 2월 9일 (향년 69세)
(음력 1876년, 고종 13년 12월 27일)[1]
경기 수원부
시호
문익(文翼)
본관
반남 박씨
이름
규학(珪鶴) → 규수(珪壽)

환경(桓卿, 瓛卿), 정경(鼎卿)

환재(桓齋, 瓛齋), 헌재(獻齋), 환재거사(瓛齋居士)
가족
할아버지 박지원
아버지 박종채 / 어머니 전주 류씨
형제 박선수
아내 연안 이씨
아들 박제응[2]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관 관료이자 학자.

명문 거족 반남 박씨의 일원이기는 하지만 권력의 중심에 있던 가계는 아니었고 박지원 때부터 소위 북학파로서 당쟁을 거부하는 탕평을 모토로 하는 노론 계열의 일파에 불과했다. 탕평은 할아버지 박지원이 제창했지만 이미 세도정치의 한복판에 들어와 노론, 소론, 남인 등 붕당의 문제가 아니던 시절이다.


2. 생애[편집]


아버지 박종채는 대과에는 붙지 못하고 음서로 현감 등을 지내며 박지원의 저작들을 모아 정리하는 데 인생 대부분을 보냈다. 박규수는 부모가 결혼한 지 8년 만에 얻은 귀한 아들로 태몽이 학이라 규학이 원래 이름이었다. 박규수가 태어난 때는 영조정조 시기의 르네상스도 끝나고 서양 학문이 청나라를 통해 조금씩 소개되던 때였다. 특히 조부 박지원은 열하 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오면서 서양의 존재와 청나라가 서양을 겪은 내용들을 인맥이나 청나라 서적을 통해 조선에 들여 왔다. 박규수는 그래서 지구가 둥글고 우주가 있으며 지동설을 정설로 정확히 알고 있었다. 16살 때 태양, 지구, 지구의 위성 에 대해 읊은 가 남아 있는데 배움을 정리하는 정도의 시로 세 천체를 '환약'으로 표현하는 점이 재미있다.

박규수는 어릴 때부터 뛰어난 천재성을 보여 나이 많은 유학 선배들도 서로 친구했다는 일화가 있다고 전해진다. 특히 박지원의 제자들을 찾아다니며 폭넓은 배움을 익혔으며 추사 김정희와도 교분이 깊었다.[3] 약관의 나이에 천재소문이 자자했던 박규수는 효명세자와도 깊은 친분을 자랑했는데 효명세자는 순조대리청정을 하면서 강력한 왕권[4][5]을 세워 세도정치를 견제하고자 했는데 그에 맞는 젊은 인재로서 중용됐다. 아직 정식 대과에 급제도 못한 상태였지만 효명세자는 경연 자리에도 박규수를 배석시키고 견해를 들었고 박지원의 사상에 관심을 보여 박지원의 저작을 모두 올리라고 박규수에게 명을 내렸다. 그러나 효명세자는 곧 요절했고 이 충격으로 박규수는 관직에서 물러난 채 20여 년간 칩거했다. 효명세자의 다음 대는 효명세자의 어린 아들 헌종이라 세도정치의 횡포는 효명세자의 개혁 시도에 대한 역사적 반동으로 더욱 심해졌다. 만약 효명세자가 정치적 행동을 계속하려 했다 치더라도 있을 곳은 없었을 것이다.

20년이 흘러 1848년 효명세자의 아들로서 왕위에 올랐던 헌종도 슬슬 병색이 완연하고 세도정치의 악폐가 해결될 기미가 없자 박규수는 다시 벼슬길로 출사한다. 헌종은 박규수를 불러 "내 너를 너무 늦게 알아봤다. 부친의 총애를 받던 너를 중용하겠다."라고 말을 하였는데 세도정치에 눌려 로 일관하던 헌종이 아직 뜻을 꺾지 않았다는 증거. 그러나 박규수는 안동 김씨들로서도 요주의 인물로 찍히고 있었으며 뒷배경도 별로 없는 박규수가 요직에 앉을 리 없었다. 외직인 용강현령이 된 박규수에게 비보가 닥치는데 헌종이 승하했다는 것이나 박규수에게는 슬퍼할 여유도 없었다. 철종이 즉위한 것인데 문제는 강화도령 철종은 더 힘이 없었으며 강화도에서 농사짓던 시절 사귄 여자도 의문사하고 진실은 묻힌 채 안동 김씨의 핵심 김문근의 딸을 비로 맞아야 할 정도였다. 박규수는 외직을 전전하는 동안 이런저런 실학의 흔적들을 찾아 머리 속에 새로운 세상을 그렸다. 세상에 대한 비관도 상당했던 모양인데 이때 남긴 글 중에는 이런 것도 있다. 대충 내용은 '조선 조 내내 글 좀 읽는다는 사람들이 벼슬길을 피하고 안분지족을 즐겼던 것은 깨끗해서가 아니라 자기 만족을 위한 이기심의 발로일 뿐이다. 결코 청렴 결백 등으로 미화할만한 것이 아니다. 권력에 눌려 뜻을 펼 수 없으니 도망간 것일 따름'이라며 평가 절하했다. 틀린 말은 결코 아니지만 세도정치에 상처입고 시니컬해진 박규수의 마음이 느껴진다.

그러다 1851년 사헌부 장령이 되어 중앙 정계에 복귀하고, 1854년에는 동부승지에 이르고 곧바로 경상좌도 암행어사가 되어 암행어사로 파견나간다. 그래도 왕의 측근으로 꽤나 길게 일했던 셈이다. 하지만 이후에는 실록에도 기록이 적어지는 것을 봤을 때에는 사실상 큰 뜻을 펼치기에는 어려웠던 것으로 보이고, 1858년에는 곡산부사로 외직으로 다시 나가있게 된다. 그러다 1861년 제2차 아편전쟁으로 인해 열하로 피난 가있던 함풍제의 위문사를 파견하는데 부사로 임명되어서 연행을 하게 된다. 여기서 박규수는 청나라가 처한 국제 정세를 알았을 것이고, 이것이 그가 개화파의 시조가 되는 데 큰 영향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열하에서 돌아온 이후 성균관 대사성이라는 꽤나 높은 직책을 받은 그는 1862년 진주에서 임술농민봉기가 일어나자 수습을 위해 안핵사로 파견됐는데 조정에 백낙신을 파면해 민란을 수습해야 한다고 보고했다. 그의 건의로 삼정이정청이 설치되었으나 세도정치가들은 개혁의 의지가 전혀 없었기에 그야말로 유야무야 되었고, 그의 직책도 이조참의로 복귀했다가 부호군으로 사실상 강등되는 등 그의 정치적 관운도 거의 끝나는 듯 보였다.

하지만 1864년 철종 사후 효명세자의 부인었던 대왕대비 조씨에 의해 고종이 왕위에 오르게 되자 그의 관운도 확실하게 펴게 된다. 고종이 즉위하자마자 도승지, 예문관 제학, 사헌부 대사헌, 홍문관 제학을 거쳐 이조참판에 곧바로 오르게 된다. 이렇게 오르는 시기가 1년도 채 안 되었다. 그리고 1865년에는 공조판서와 예조판서를 거치게 되면서 판서직에 처음으로 오르게 된다.

이후 평안도 관찰사로 옮겨갔는데 1866년 제너럴 셔먼호가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평양에 이르러 통상을 요구했다. 박규수는 흥선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에 부정적이기는 했지만 일단 미국 함선이 들어왔고 자신의 위치에서는 통상을 허가할 상황이 아니었기 때문에 중군 이현익을 보내 돌아가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미국이 침입자로 오해[6]하고 붙잡는 바람에 사태가 악화되었고 결국 박규수는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우게 한다. 배는 불태웠어도 되도록이면 생존자들을 구해서 미국과의 교섭에 이용하고자 했으나 제너럴 셔먼호의 포격으로 조선인 사망자 7명을 포함해 다수의 사상자가 나온 탓에 분노한 주민들이 생존자들을 내놓으라고 요구하자 생존자들을 내주었고 모두 주민들에게 맞아서 살해당했다.

이후 1869년 중앙에 복귀하며 형조판서가 되었다가 1872년에는 다시 정사의 위치로 청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된다. 그리고 1873년 흥선대원군이 실각하면서 박규수는 우의정에 올라 고종을 보필하게 되었는데 일본이 100여 년이 넘어서 처음으로 국교 정상화를 위한 국서를 보냈다. 그러나 국서의 내용이 기존의 국서와는 달리 발신인이 천황으로 되어 있었고 '대일본', '칙서' 같은 황제국에서나 쓰는 용어들을 쓴 탓에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를 반대하는 여론이 높았다. 박규수는 그런 문제들은 지엽적인 것일 뿐이라고 주장하면서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를 주장했지만 결국 조정에서는 일본의 국서를 거부했고 1875년 운요호가 강화도 앞바다에 나타나 포격을 가하는 사태가 발생하자 이로 인해 1876년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후 나이가 들어 관직에서 물러난 박규수는 후학들을 가르치다가 1877년 세상을 떠났다.


3. 기타[편집]


현대에 들어와 그는 개화파의 시조로 꼽히고 있다.[7] 그의 개화 사상의 근원에는 조부인 연암 박지원을 비롯한 북학파의 실용주의가 기반에 깔려 있다. 북학파들은 청나라로 왕래하는 사신들을 통해 베이징에서 서양 문물들을 접했는데 이런 연결고리는 후손 중 1명인 박규수에게까지 이어져서 박규수 또한 서양의 정세와 문물에 밝은 편이었다.

역관 오경석, 승려 이동인, 의관 유홍기 등이 박규수와 함께 했던 개화 사상의 선구자로 꼽히는 편. 일명 '박규수의 사랑방'은 '개화파의 양성소'로 불렸을 정도로 박규수가 후학들인 개화파에게 남긴 영향력이 큰 편이었다. 박영효 역시 자신의 형과 함께 박규수의 집을 드나들며 개화 사상을 배웠고 그것을 김옥균에게 전하면서 개화파가 형성된 것. 박규수의 사랑방과 관련된 개화 사상가들은 우리가 흔히 국사 교과서의 근대사 항목에서 한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사람들이다. 오경석, 이동인, 유홍기,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유길준, 서광범, 김홍집, 박정양, 김윤식, 서재필 등 모두 박규수와 인연이 있다.

조선 개화파의 시조로 평가받기도 한다는 점에서, 일본의 근대화를 이끈 메이지 유신 주도 세력들 중에서도 특히 조슈파의 사상적 스승이었던 요시다 쇼인(1830~1859)과도 종종 비교된다. 물론 요시다 쇼인은 젊은 나이에 사망한 점이나 정한론같은 악질적인 주장도 해서[8] 오늘날 와선 과대평가, 미화되었다는 소리도 듣지만, 박규수 역시 반대로 서양이나 일본을 너무 순수하게 바라봤다는 한계가 있다는 견해도 있다.


4. 대중매체[편집]



  • 굽시니스트의 <본격 한중일 세계사 만화>에서는 개항기 조선사의 해설자 격으로 출연하고 있다. 청나라공친왕처럼 그 시대로서는 깨어있는 사람 포지션으로 그려지는 중심 인물이지만 실제 역사에서 보여준 존재감이나 행적에 비해서는 다소 부각이 과한 편. 굽시니스트도 이를 의식했는지 작 중 오경석과의 대화에서 박규수는 '저건 실제 내 머릿 속 생각이 아니라 이 만화 진행을 위한 해설 지문일 뿐'이라 설명하기도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7:54:25에 나무위키 박규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세는나이 70세. "병자년 정월 (음력 1876년 1월) 70세로서(...) 이 해 (음력) 12월 27일에 사망했다[丙子正月以年七十(...)是年十二月二十七日考終\]."#[2] 아들 박제응의 부인도 연안 이씨이다.[3] 김정희는 박지원의 문인인 박제가의 제자였다.[4] 다만 세도정치 또한 기본적으로 정조가 키워놓은 강력한 왕권에 기생한 권력이다. 안동 김씨가 세도정치를 하다가도 같은 외척 세력인 풍양 조씨가 대두되자 일시적이나마 몰락했던 현실, 안동 김씨가 다시 세력을 회복한 사건, 고종이 즉위하자마자 안동 김씨의 세도가 순식간에 무너졌던 것 자체가 그대로 반증한다. 본질은 비대화된 왕권에 비해 암울한 왕들이 계속 즉위했고 왕권에 기생하는 인척 세력들이 설쳤던 것이지 왕권 자체는 한반도 역사상 어느 시기보다도 강력했던 시기이다. 신권의 왕권 견제가 사실상 전혀 작동하지 않았던 시대였던 것이다. 그러한 전제 왕권은 물론 정조와 같은 현군이 집권하면 르네상스로 평가될 만큼 일시적으로 좋은 체제일지 모르지만 계속해서 현군이 등장하리라는 보장이 없고 동시대의 서양에서 절대 왕정이 무너지고 민주주의가 급격히 발달하고 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오히려 퇴행적인 사태라고 평가할 수도 있다.[5] 하지만 저 행보를 현대적 민주주의적 관점으로 보는 건 옳지 않다. 당시 조선의 시대상을 봤을 때, 세도가문을 쳐내려면 왕권의 강화는 필수적이었다. [6] 통역을 맡은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 목사는 조선말을 해서 말은 통하는데 정확하게 뜻을 알지 못했다.[7] 특히 박규수는 그의 조부가 실학/북학파였던 박지원이라는 점에서 조선 후기 실학파에서 개항기 개화파를 잇는 중요한 고리라는 의의가 있다.[8] 사실 조선뿐만 아니라 홋카이도, 오키나와, 만주, 대만, 필리핀까지 먹자고 주장했다. 젊은 날의 혈기로 정복 전쟁에 미친 근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