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직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박세직(동명이인) 문서
박세직(동명이인)번 문단을
박세직(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16대 국가안전기획부장
박세직
朴世直 | Park Seh-jik


파일:박세직 안기부장.jpg

출생
1933년 9월 18일
경상북도 칠곡군 인동면 구평리
(現 경상북도 구미시 구평동)
사망
2009년 7월 27일 (향년 75세)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
본관
밀양 박씨

인동(仁東)
재임기간
제2대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1983년 1월 ~ 1985년 2월 19일
제19대 총무처 장관
1985년 2월 19일 ~ 1986년 1월 7일
제4대 체육부 장관
1986년 1월 8일 ~ 1986년 8월 27일
제16대 국가안전기획부장
1988년 12월 5일 ~ 1989년 7월 18일
제23대 서울특별시장
1990년 12월 27일 ~ 1991년 2월 18일

[ 펼치기 · 접기 ]
형제자매
남동생 박세환[1]
배우자
홍숙자
자녀
2남 1녀
친인척
조카사위 한기호[2]
학력
부산사범학교 (졸업)
육군보병학교 (졸업)
육군공병학교 (졸업)
육군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교육학 / 석사)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육학 / 석사·박사)
종교
개신교 (침례회)
의원 선수
2
의원 대수
14, 15
약력
한국전력공사 수석 부사장
국가안전기획부 차장보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제7대 총무처장관
제4대 체육부장관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조직위원장
1988 서울 올림픽 조직위원장
제16대 국가안전기획부장
제23대 서울특별시장
국민대학교 초빙교수
제14대 국회의원 (경북 구미시 / 민주자유당)
제15대 국회의원 (경북 구미시 갑 / 신한국당)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조직위원회 위원장
제31-32대 대한민국재향군인회 회장
건양대학교 석좌교수
군사 경력
임관
육군사관학교 (12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56년 ~ 1981년
최종 계급
소장 (대한민국 육군)
참전
베트남 전쟁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군인 출신 정치인.

박희도[1], 박준병[2]과 함께 하나회 회원이었다. 그리고 박희도, 박준병, 박세직 등을 가리켜 쓰리 박이라고 하였다.


2. 생애[편집]


1933년 9월 18일 경상북도 칠곡군 인동면 구평리에서 태어나 경북 선산군 선산읍 죽장리에서 성장해 부산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육사 12기로 임관하였다.

뛰어난 영어 실력을 바탕으로, 채명신 초대 파월사령관이 미군들과 파병 관련 한국 지원 및 작전 구역 설정, 그리고 지휘체계 설정 협상하는 과정을 지원하며 활약하였다. 이후 1976년 대통령 안보담당 특별보좌관을 지냈고, 1979년 군사정보 참모를 지냈다.

12.12 군사반란 시점에 철원 소재 3사단장으로 나가 있었고, 직후의 논공행상에서도 보직이동을 하지 않는 바람에[3] 박희도나 박준병과는 달리 12.125.17에 가담하지는 않았다. 이 덕에 민주화 이후 문민정부에서 하나회 인사들 상당수가 12.12와 5.18에 연루되어 사법처리될 때 박세직은 사법처리되지는 않았다.

1980년 8월 전두환이 국군보안사령관에서 예편하여 대통령이 되고 제8대 수도경비사령관이던 노태우가 국군보안사령관이 되자 노태우의 뒤를 이어 제9대 수도경비사령관(현 수도방위사령관)에 취임하면서 신군부의 핵심으로 떠오르는 듯 했으나, 1981년 8월 소장 계급으로 예편하였다. 겉으로는 박세직이 육군사관학교 동기의 사업을 도와 준다면서 비리를 저질렀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두환과 허화평, 허삼수 등 측근 세력이 '하나회 출신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권력을 넘보는 자는 용서하지 않겠다'라는 본보기를 보여 주려고 박세직을 내쳤다는 썰이 있다. 당시 박세직은 박준병 국군보안사령관에 의해 조사를 받고 예편하였는데, 박준병은 박세직이 여기저기 “차기 대통령은 나”라고 말하고 다녔다고 밝혔다. 이 사건은 1973년 일어난 윤필용 사건에서처럼 수도경비사령관의 육군사관학교 동기생이 보안사령관인 상태에서 보안사령관이 동기생을 수사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1982년 한국전력공사 부사장을 지냈다. 1983년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에 임명되어 노신영 국가안전기획부장과 함께 그 해 5월에 일어난 중공 여객기 불시착 사건을 해결하였다.

1985년 2월 노신영이 국무총리에 임명되면서 총무처(현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함께 입각하였다. 1986년 제4대 체육부 장관으로 취임하고 제10회 서울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장 겸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파일:external/monthly.chosun.com/1107_428_1.jpg
서울올림픽 개회식에서 조직위원장으로서 환영사를 낭독하는 박세직. 왼쪽은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당시 IOC 위원장

1988년 12월 배명인의 뒤를 이어 국가안전기획부장으로 임명되어 1989년 7월까지 재임하였다. 1990년 12월 서울특별시장으로 임명되었으나 1991년 2월에 사직하여, 2개월의 단명시장에 그쳤다. 1991년 일어난 한보그룹수서비리 사건과 관련하여 여러 모로 루머가 많았는데, 원리원칙으로 저항한 전임 고건 시장이 잘리고 그 자리에 바로 들어와서는 일사천리로 무주택자 배급용 택지를 특별분양하는 데 사인했기 때문. 그러나 수사 대상에 오르지는 않았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경상북도 구미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한국당 후보로 구미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자유민주연합 박재홍 후보를 꺾고 재선되었다.

김대중 정권이 출범한 후 1998년 4월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여 부총재가 되었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월드컵조직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06년 재향군인회 회장으로 취임하여 재임하던 중 2009년 급성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신임 회장이 선출되기 전 까지는 김홍열 전 해군참모총장이 직무대리를 맡았다.


3. 기타[편집]


  • 본의아니게 작고하고 8년 후인 2017년 10월 10일 다시 큰 관심을 끌게 되었는데 박세직의 손녀와 수영선수 박태환의 교제 사실이 인스타그램을 통해 알려졌기 때문. 축하한다는 반응도 많지만 교제 상대의 조부가 하나회 출신 주요 인사라는 것 때문에 한편으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도 많았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59,098(72.89%)
당선 (1위)
초선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 갑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0,415(45.47%)
재선[4]


5.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1:58:44에 나무위키 박세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79년 12월 12.12 군사반란 당시 제1공수여단장이었으며, 1985년 12월부터 1988년 6월까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였다.[2] 1979년 12월 12.12 군사반란 당시 제20기계화보병사단장이었으며, 이후 국군보안사령관, 서울올림픽지원사령관과 국회의원(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소속)을 지냈다.[3] 이와 반대로 전두환의 하나회 동기인 정호용은 대구에서 50사단장으로 복무중이라 반란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으나, 12.12 직후 특전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며,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강경 진압에 앞장섰다.[4] 1998 한나라당 탈당, 자유민주연합 입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