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이소

덤프버전 :



박이소
朴異素 | Mo Bahc



출생
1957년 6월 23일 부산광역시
사망
2004년 4월 26일 (향년 48세)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본명
박철호 → 박이소(개명)
별칭
박모(미국 활동명)
직업
개념미술가, 설치미술가, 화가
학력
홍익대학교 서양화과
미국 뉴욕의 프랫 인스티튜트
1. 개요
2. 생애
3. 작품
3.1. 단식 퍼포먼스
3.2. 무제-1994
3.3. 자본=창의력
3.4. 호모 아이덴트로푸스
3.5. 정직성
3.6. 당신의 밝은 미래
3.7. 우리는 행복해요
4. 관련 동영상
5. 여담



1. 개요[편집]


“시간이 지날수록 다음 세대들은 그의 존재를 한국 현대미술에 있어 하나의 사건으로 이해할 것”

이영철 〈정오의 예술가 - 탈속의 코미디〉[1]

대한민국의 개념미술가, 설치미술가. 90년대 한국 미술계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 중 한 명.

국내 미술계에 포스트모더니즘을 소개했고 비주류 미술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 광범위한 사회의식을 기저에 둔 후기개념미술을 주로 하였으며, 어떤 기호가 한가지 뜻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이기도 저것이기도 한 '이중성'과 '모호함'을 통해 무한한 해석의 세계를 시도한 개념미술가로 평가받는다.


2. 생애[편집]


박이소의 예술 활동은 미국유학길에 오른 1982년과 귀국한 1995년을 기준으로 뉴욕시기와 서울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박이소는 뉴욕 프랫 인스티튜틀를 졸업한 후 '박모'라는 이름으로 작품 활동과 사회적 활동을 활발히 펼쳐나갔다. 특히 브루클린에 대안공간 '마이너 인저리'를 설립한 후 뉴욕 미술계에서 소외된 이민자, 소수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젊은 리더로서 주목 받았다. 또한 왕성한 집필활동으로 미국 미술계의 최신동향과 이론적 흐름을 국내에 소개하는 한편 〈민중미술〉, 〈태평양을 건너서〉 등 한국미술을 뉴욕에 소개하는 주요 전시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1995년 새로 설립된 삼성디자인교육원의 교수직을 맡아 귀국한 후에는 '박이소'라는 이름으로 개명하고 새로운 방식의 미술교육을 정립하고자 애쓰는 한편 작품 활동 또한 활발히 전개했다. 광주비엔날레, 요코하마 트리엔날레를 포함한 국내외 주요 미술전시에 참여하였고 2002년 에르메스 코리아 미술상을 수상하고 이듬해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대표 작가로 선정되는 등 국내외 미술계에서 한창 활약하던 중 2004년 돌연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그전까지 작가들의 주된 관심사는 '어떤 소재나 어떤 주제를 가지고 어떻게 표현해낼 것인가?' 였다. 박이소는 기존의 이런 관심사에서 벗어나 '나는 미술을 왜 할까?'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던져 이 '개념'을 미술 작품으로 끌어들인,(이는 포스트모더니즘 작가들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한국미술계의 전환점이 되는 개념미술 작가로 기억될 것이다.


3. 작품[편집]



3.1. 단식 퍼포먼스[편집]




3.2. 무제-1994[편집]




3.3. 자본=창의력[편집]




3.4. 호모 아이덴트로푸스[편집]




3.5. 정직성[편집]




3.6. 당신의 밝은 미래[편집]




3.7. 우리는 행복해요[편집]




4. 관련 동영상[편집]


}}}


5. 여담[편집]


  • 생전에 약 200여 개의 재즈 테이프를 직접 편집하고 만들었는데, 언제부터인가 ‘난 이제부터 남은 생애 동안 이것만 들을 생각’이라고 공공연히 밝힐 정도로 재즈에 대한 작가의 애정이 남달랐다고 한다.

  • 박이소가 1998년 인터뷰에서 한 말이 한국 미술계에서 한동안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지금도 회자되고 있다.) "백수건달이면서 미술을 취미활동으로 했으면 좋겠다. 작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안 받으며 살고 싶다는 뜻이다. 그런데 그 취미활동의 수준이 프로들을 훨씬 능가하면서 유명해지고 작품도 팔려서 돈까지 잘 벌었으면 좋겠다"

  • 자기 작품을 PR해 달라는 기자의 말에, 박이소는 자기작품을 "부족함과 미완성을 긍정하면서 답답한 한계를 시원하게 넘어서려는 자포자기적인 희망같은 것" 이라고 말했다.

  • 박이소는 자기 작품에서 유머를 즐겼는데, "인간이 가장 고귀해지는 순간이 고차원의 유머를 구사하고 이해하는 때"라고 말했을 정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1:31:16에 나무위키 박이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탈속의 코미디 - 박이소 유작전》(전시도록) 로댕갤러리 2006 p.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