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일(종교인)

덤프버전 :

박정일 미카엘 주교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2대 천주교 제주교구
제6대 천주교 전주교구
제3대 천주교 마산교구
박정일 미카엘
朴正一 | Michael Pak Jeong-il
파일:external/cathms.kr/87c00604db0effdc75ac156532ece244.gif
출생
1926년 12월 28일 (97세)
평안남도 평원군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재임기간
제주교구
1977년 5월 31일 ~ 1982년 6월 23일
전주교구
1982년 6월 24일 ~ 1988년 12월 27일
마산교구
1988년 12월 28일 ~ 2002년 11월 11일
파일:external/cathms.kr/e42a505c1ecfa4402bfc102b20878abb.gif
충성과 온유
(In Fide Et lenitate)
(마산교구장 취임 이후의 문장)[1]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1926년 12월 28일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4남 3녀 중 셋째로 출생.

대한민국 가톨릭 교회의 제6대 전주교구장 및 제3대 마산교구장, 제2대 제주교구장. 그리고 전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1999~2002). 세례명은 '미카엘'이다. 역대 한국 가톨릭 교구장 주교들 중 유일하게 온전한 3개 교구의 교구장을 역임하였다. [2]

2. 생애[편집]


무종교인 집안에서 자랐고, 20대 초반에 보통학교 교사로 잠깐 일했다가, 1945년에 만 22살의 나이로 덕원신학교에 입학한다. 신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박 주교는 무신론자였던 어머님과 무려 3년여를 싸웠다고 한다. 하지만, 덕원신학교에 입학한 지 얼마 안 되어 원산 베네딕토회 수도원과 덕원신학교가 인민군에 의해 점령되어 평양교구로 자리를 옮길 수밖에 없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평양교구의 교구장이었던 홍용호 주교까지 인민군에 끌려갔다는 이야기를 듣고, 다시 목숨을 걸고 월남해 서울과 대구를 거쳐 부산까지 갔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부모님과 세 여동생들도 월남에 성공했지만, 나머지 가족들은 이북에 남아 생사를 영영 알 수 없게 되었다고.

부산으로 임시로 이전한 서울 대신학교에서 당시 학장 신부가 박 주교와 동기들에게 로마 유학을 명했고, 그들은 신학 공부를 교황청립 우르바노 대학교에서 제대로 다시 시작할 수 있었다. 이국 땅에서의 신학생 생활은 고되었지만, 박 주교는 부모님이 부산에서 세례성사를 받으셨다는 소식과 여동생이 편지로 전해주는 소식들을 듣고, 이를 위안 삼으며 버텨냈다. 1958년에 로마에서 사제품을 받고, 1962년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에서 종교사회학 석사를 취득한 박 주교는 종교사회학 박사과정까지 공부하고 싶어했지만, 당시 부산교구 최재선 주교가 "교구에 사제가 부족하니 와서 도와달라."고 귀국을 명하여 본격적인 사목 일선에 뛰어들게 되었다. 부산교구에서 마산교구가 분리되자 마산교구 소속이 되었고, 주교 수품 직전에는 대건신학대학(현 광주가톨릭대학교)에서 잠시 교수신부로 일하기도 했다.

1977년 4월 15일 제주지목구의 교구 승격에 따라 제2대 제주교구장에 임명되어, 1977년 5월 31일 주교 서품식 및 교구장 착좌식을 했으며, 1982년 6월 24일 전주교구장을 거쳐, 1988년 12월 28일부터 마산교구 제3대 교구장을 역임한 후 2002년 11월 11일 은퇴하였다. 은퇴 후에는 한국천주교주교회의의 시복시성 특별위원장을 10년 넘게 맡으며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의 시복에 큰 역할을 했다.

2021년 기준 만 94세의 고령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정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2021년 3월 14일 선종한 이문희 대주교를 위한 미사에서는 직접 강론을 담당하였다.


3. 여담[편집]


파일:박정일 주교님 문장(제주교구).jpg 파일:박정일 주교님 문장(전주교구).jpg
제주교구 교구장 시절의 문장(왼쪽)과 전주교구 교구장 시절의 문장(오른쪽)은 각각 위와 같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박정일 문서의 r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박정일 문서의 r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1:04:32에 나무위키 박정일(종교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집회서 45장 4절. 박 주교는 교구를 옮길 때마다 새로 문장을 만들었고, 3개의 문장은 모두 서울대 교수를 역임한 강찬균 공예가가 그렸다. 현재의 3번째 문장은 제주교구장 시절(돛단배)과 전주교구장 시절(태극문양 합죽선)에 쓰던 문장을 합쳐서 만들었다.[2] 자세한 내용은 주교 문서의 한국 주교들의 여러 기록 항목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