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병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에 대한 내용은 박준병(프로게이머) 문서
박준병(프로게이머)번 문단을
박준병(프로게이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충북 제3선거구)
제11대
박유재
이동진

제12대
박준병
이용희

선거구 개편
박준병[1]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충북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 개편
박준병[A]
이용희[A]

제13-14대
박준병


제15대
어준선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아이콘.svg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사무총장
제4대
박구일

제5대
박준병

제6대
김현욱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보건사회위원장
제12대 전반기
이찬혁

제12대 후반기
박준병


제13대 전반기
신상우





대한민국 제12-14대 국회의원
박준병
朴俊炳 | Park Jun-byung


파일:박준병 대장.jpg

출생
1933년 6월 21일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한곡리[2]#
사망
2016년 7월 3일 (향년 83세)
경기도 성남시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2묘역-383호
본관
태안 박씨[3]

청산(靑山)
재임기간
제22대 국군보안사령관
1981년 7월 14일 ~ 1984년 7월 6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
김혜정
자녀
1남 1녀
학력
청산국민학교 (졸업)
대전중학교 (졸업)
대전고등학교 (졸업 / 31회)
서울대학교 (사회학 / 학사)
육군보병학교 (졸업)
육군포병학교 (졸업)
육군기갑학교 (졸업)
육군대학교 (졸업)
국방대학교 (행정학 / 학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사학 / 석사[1])
종교
개신교 (침례회)
의원 선수
3
의원 대수
12, 13, 14
경력
육군사관학교 역사학 교수[2]
제19대 제20보병사단장
대한민국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제22대 국군보안사령관
제12대 국회의원 (충북 영동군·보은군·옥천군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국책조정위원회 위원장
민주정의당 중앙집행위원
제12대 국회 후반기 보건사회위원회 위원장
민주정의당 사무총장
제13대 국회의원 (충북 영동군·보은군·옥천군 / 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사무총장
제14대 국회의원 (충북 영동군·보은군·옥천군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당무위원
자유민주연합 사무총장
자유민주연합 부총재
군사 경력
임관
육군사관학교 (12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56년 ~ 1984년
최종 계급
대장[3] (대한민국 육군)
참전
베트남 전쟁

1. 개요
2. 생애
3. 대중매체에서
4. 여담
5. 선거 이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군인(예비역 대장), 정치인.


2. 생애[편집]


파일:attachment/국군기무사령부/사령관/박준병.jpg

1933년 6월 21일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한곡리에서 아버지 박종호(朴鍾昊, 1915. 11. 7 ~ 1994. 4. 5)와 어머니 경주 김씨 김지순(金知順, 1916. 3. 16 ~ 1995. 5. 3)[4] 사이의 6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청산'이라는 호가 바로 태어난 곳의 지명을 딴 것. 육군사관학교를 12기로 졸업했으며 하나회[5]의 멤버로 동기 박희도, 박세직과 '3박'으로 불렸다. 박세직과 더불어 동기 중 선두 주자였으며[6] 대령 시절 81보병연대장을 역임했다. 1979년 소장 진급 후 수도권 충정부대를 지휘하는 요직인 제20사단장에 임명되었다.

재임 중 12.12 군사반란이 일어났고 당시 경복궁에 모였던 가담 멤버 중 1명이었으나 본인은 사전에 모임의 목적이 반란인지 모르고 갔었다고 말했다. 당시 전두환은 사전에 노태우, 황영시 등 반란군 멤버 중에서도 핵심 멤버에게만 계획을 알려주었다고 하니 사실일 가능성이 있다. 본인은 전두환의 20사단을 서울로 출동시키라는 지시를 거부한 점을 들어 쿠데타에 크게 가담하지 않았다고 하나 전두환이 정승화 육군참모총장 강제 연행 사실을 밝힌 이후에도 사건이 끝날 때까지 그 자리를 계속 지켰으니 반란에 가담한 것은 빼박이다. 훗날 국방부대한민국 육군본부 장악을 위한 전두환 병력 요청 동원은 거부한 덕에 12·12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1980년 5.18 민주화운동 중에 진압군으로 투입된 20사단을 지휘해 항쟁을 무참히 짓밟은 전과가 있다.

이후 육군본부 인사운영감, 인사참모부장 등을 거쳐 1981년 노태우의 뒤를 이어 국군보안사령관에 임명되었는데 보안사령관으로 재직하면서 녹화사업을 기획하고 시행했다. 12.12 군사반란에서 공을 세운 박희도가 서서히 약진하기 시작했으나 당시에도 육사 12기의 최선두는 군사정권의 두 핵심 요직[7]을 꿰찬 수도경비사령관 박세직과 국군보안사령관 박준병이었다. 그런데 임명 직후 동기 박세직 수도경비사령관이 술자리에서 2인자를 자칭했다는 제보에 격노한 전두환의 지시에 따라 박세직을 조사 후 예편시키게 된다. 그야말로 윤필용 사건 시즌 2. 박세직이 이렇게 아웃되고 12기 선두 주자는 박준병과 박희도가 남게 되었으나 박준병은 총선을 위해 정치권으로 차출되게 되고 12기의 참모총장은 박희도가 하게 된다.[8] 전역 전 전두환은 박준병을 대장으로 명예 진급[9]시켜준 후 예편시켰다.

1985년부터 제12대, 13대, 14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을 지냈다. 충청북도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였으며 중선거구제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한국당 이용희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제13대 국회에서 여소야대 정국을 타개하기 위해 노태우의 지시를 받아 민주정의당 사무총장으로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접촉해 3당 합당을 성사시킨다. 14대 국회의원 재임 중 김영삼이 박준병을 포함한 민정계에 압박을 강화하자 반발하여 민주자유당을 탈당하고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한다. 1996년 12.12 군사반란 중 반란 중요 임무에 종사했다는 이유로 구속 기소되자 지역구를 어준선에게 물려주고 정계 은퇴를 선언한다. 1997년 무죄 선고 이후 정계에 복귀해 자민련 사무총장을 맡고 15대 대선에서 DJP연합에 참여해 김대중 후보를 지지했고 연설회에서 이회창 후보를 비난하기도 했다. 1998년 7월 21일 서초갑 재보궐 선거에 자민련-새정치국민회의 여권 단일 후보로 출마하나 한나라당 박원홍 후보에 밀려 낙선한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옛 지역구였던 충청북도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심규철 후보에 패배하자 다시 정계를 은퇴하였다.

2016년 7월 3일 경기도 성남시에서 별세하였다. 사후 그의 유해는 2016년 7월 5일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2묘역에 안장되었다.


3. 대중매체에서[편집]


  • 2023년 영화 '서울의 봄에서는 배우 공재민이 연기했다. 극중 배역명은 김병준.


4. 여담[편집]




5.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85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영동·보은·옥천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88,047 (64.70%)
당선 (1위)
초선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9,449 (49.16%)
재선[10]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53,084 (50.87%)
3선[11]
1998
7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서울 서초 갑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9,093 (36.16%)
낙선 (2위)
[12][13]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영동·보은·옥천
23,263 (25.70%)
낙선 (3위)



6. 둘러보기[편집]


12·12 군사반란 주동자

[ 펼치기 · 접기 ]
#fff
||<tablewidth=100%><tablebgcolor=#03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hnh.jpg|width=100%]]}}} ||
||<bgcolor=#141414> {{{-2 1979년 12월 14일 12·12 군사반란 성공 기념사진}}}
{{{-3 [[국군보안사령부|{{{#FFF 국군보안사령부}}}]] 청사 앞}}} ||
|| [[준장|{{{-2 {{{#FFF 준장}}}}}}]] [[남웅종|{{{#fff 남웅종}}}]] · [[중령|{{{-2 {{{#FFF 중령}}}}}}]] {{{#ccc 김호영}}} · [[중령|{{{-2 {{{#FFF 중령}}}}}}]] {{{#ccc 신윤희}}} · [[중령|{{{-2 {{{#FFF 중령}}}}}}]] {{{#ccc 최석립}}} · [[대령|{{{-2 {{{#FFF 대령}}}}}}]] {{{#ccc 심재국}}} · [[대령|{{{-2 {{{#FFF 대령}}}}}}]] [[허삼수|{{{#fff 허삼수}}}]] · [[대령|{{{-2 {{{#FFF 대령}}}}}}]] [[김진영(군인)|{{{#fff 김진영}}}]] · [[대령|{{{-2 {{{#FFF 대령}}}}}}]] [[허화평|{{{#fff 허화평}}}]] · [[대령|{{{-2 {{{#FFF 대령}}}}}}]] [[이상연|{{{#fff 이상연}}}]] · [[대령|{{{-2 {{{#FFF 대령}}}}}}]] {{{#ccc 이차군}}} · [[준장|{{{-2 {{{#FFF 준장}}}}}}]] [[백운택|{{{#fff 백운택}}}]] ||
|| [[소장(계급)|{{{-2 {{{#FFF 소장}}}}}}]] [[박준병|{{{#fff 박준병}}}]] · [[대령|{{{-2 {{{#FFF 대령}}}}}}]] [[이필섭|{{{#fff 이필섭}}}]] · [[대령|{{{-2 {{{#FFF 대령}}}}}}]] [[권정달|{{{#fff 권정달}}}]] · [[대령|{{{-2 {{{#FFF 대령}}}}}}]] [[고명승|{{{#fff 고명승}}}]] · [[대령|{{{-2 {{{#FFF 대령}}}}}}]] {{{#ccc 정도영}}} · [[준장|{{{-2 {{{#FFF 준장}}}}}}]] [[장기오|{{{#fff 장기오}}}]] · [[준장|{{{-2 {{{#FFF 준장}}}}}}]] {{{#ccc 우국일}}} · [[준장|{{{-2 {{{#FFF 준장}}}}}}]] {{{#ccc 최예섭}}} · [[대령|{{{-2 {{{#FFF 대령}}}}}}]] [[조홍(군인)|{{{#fff 조홍}}}]] · [[대령|{{{-2 {{{#FFF 대령}}}}}}]] [[송응섭|{{{#fff 송응섭}}}]] · [[대령|{{{-2 {{{#FFF 대령}}}}}}]] [[장세동|{{{#fff 장세동}}}]] · [[대령|{{{-2 {{{#FFF 대령}}}}}}]] {{{#ccc 김택수}}} ||
|| [[준장|{{{-2 {{{#FFF 준장}}}}}}]] {{{#ccc 이상규}}} · [[준장|{{{-2 {{{#FFF 준장}}}}}}]] [[최세창|{{{#fff 최세창}}}]] · [[준장|{{{-2 {{{#FFF 준장}}}}}}]] [[박희도|{{{#fff 박희도}}}]] · [[소장(계급)|{{{-2 {{{#FFF 소장}}}}}}]] [[노태우|{{{#fff 노태우}}}]] · [[소장(계급)|{{{-2 {{{#FFF 소장}}}}}}]] [[전두환|{{{#fff 전두환}}}]] · [[중장|{{{-2 {{{#FFF 중장}}}}}}]] [[차규헌|{{{#fff 차규헌}}}]] · [[중장|{{{-2 {{{#FFF 중장}}}}}}]] [[유학성|{{{#fff 유학성}}}]] · [[중장|{{{-2 {{{#FFF 중장}}}}}}]] [[황영시|{{{#fff 황영시}}}]] · [[소장(계급)|{{{-2 {{{#FFF 소장}}}}}}]] [[김윤호(군인)|{{{#fff 김윤호}}}]] · [[소장(계급)|{{{-2 {{{#FFF 소장}}}}}}]] [[정호용|{{{#fff 정호용}}}]] · [[준장|{{{-2 {{{#FFF 준장}}}}}}]] {{{#ccc 김기택}}} ||
||<bgcolor=#141414> {{{#DDD {{{-2 ※ 사진 인물 배치 순서상 표기}}}}}}
{{{#DDD {{{-2 ※ 단 우국일 [[준장|{{{#FFF 준장}}}]]은 군사반란 주동자로서 사진을 찍은 것이 아니라 [[국군보안사령부|{{{#FFF 국군보안사령부}}}]] 참모장 자격으로 사진을 찍은 것이다.[*A 비 하나회 였던 우국일 준장이 12.12 군사반란 당시 한 일은 연희동 요정에서 접대업무를 맡았을 뿐 접대를 제외한 모든 상황에서 그는 결백한 인물이었다.]}}}}}} ||
||<bgcolor=#141414> {{{-2 
[ 각주 보기 ]
[각주]
}}} ||



5.18 민주화운동

[ 펼치기 · 접기 ]
전개
5.17 내란 · 배경 및 전개 · 계엄군의 학살
관련 인물
및 단체

진압 및
왜곡 관련

전두환 · 노태우 · 정호용 · 황영시 · 이희성 · 최세창 · 박준병 · 하나회 · 주영복 · 신군부 · 지만원 · 김대령 · 이주천 · 서석구 · 김진태 · 이종명 · 김순례
저항 관련
윤상원 · 박남선 · 정상용 · 조비오 · 박관현 · 윤한봉 · 김완섭 · 광주시민 · 투사회보 · 시민군
목격자
위르겐 힌츠페터 · 헤닝 루모어 · 인요한 · 김영택 · 김사복 · 조갑제 · 정동영 · 서청원 · 서정갑 · 심재철
피해자
사상당한 경찰과 시민 · 김경철
사건 사고
5.18
관련

주남마을 버스 총격 사건 · 광주교도소 습격 조작 사건 ·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
일반
임을 위한 행진곡/논란 · 광주 폭격 시도 논란 · 전두환 손자 폭로 사건 (전우원)
왜곡 관련
5.18 민주화운동/왜곡 (북한개입설 · 무장폭동설) · 광주민주화운동 진보편향 명칭설 · '5.18 광수' 날조 논란
5.18 연고대생 북한간첩설 · 5.18 북한개입설 보도사건 (채널A · TV조선) · 자유한국당 공청회 5.18 망언 논란 · 전두환 회고록
기타
창작물에서의 묘사 · 5.18 사적지 · 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특별위원회 · 5.18 특별법 · 5.18 관련 의문점 · 임을 위한 행진곡 · 화려한 휴가 · 택시운전사 · 오월의 노래 · 오월의 청춘 · 검정 고무신과 함께 하는 기영이의 5.18 여행 · 관련 자료김남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2:22:50에 나무위키 박준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A] A B 충북 제3선거구(보은군·옥천군·영동군)의 제12대 국회의원이다.[2] 인근의 신매리와 함께 태안 박씨 집성촌이다. 전 국회의원 박유재도 이 마을 출신이다.[3] 청산파(靑山派) 29세 병(炳) 항렬.[4] 김제경(金濟經)의 딸이다.[5] 본인은 하나회의 멤버가 아니라고 부인했고 전두환도 법정에서 박준병은 하나회의 멤버가 아니라고 말한바 있지만 증언의 신빙성이 모호한만큼 여전히 하나회 핵심 멤버 중 1명으로 꼽힌다.[6] 당시 박희도는 박세직, 박준병보다 진급이 1년 늦는 후발 주자였다.[7] 기무사령관과 수방사령관은 군사정권에서 최고 핵심 요직들로 꼽힌다.[8] 총선 전략 외에도 전두환은 박준병보다 무골인 박희도가 참모총장에 어울린다고 판단한 이유도 있었으며 자질은 차처하더라도 박희도는 전두환의 막대한 신임과 12.12 군사반란에서 세운 공으로 이미 박준병을 앞서가기 시작해 먼저 대장에 진급했다.[9] 보안사령관은 중장 직위다. 전임 전두환과 노태우도 전역 전 명예 대장 계급장만 달고 정치계로 이적한 바 있다.[10] 1991년 3당합당[11] 1995.10.14 탈당
자유민주연합 입당
[12] 전임자 최병렬 서울특별시장 선거 출마로 사퇴[13] 여권단일후보
(DJP 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