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준 만화회사

최근 편집일시 :





박태준 만화회사
PTJ COMICS


파일:박태준 만화회사 로고 화이트.png

[ 사옥 전경 펼치기 · 접기 ]
파일:.박태준 만화회사 외간2.webp

법인명
더그림엔터테인먼트
설립일
2017년 6월 26일
대표
박태준
업종명
웹툰 스튜디오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11길 29 3~6층[1]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박태준 만화 아카데미
3. 관련 웹툰유니버스 목록
3.3. 현재 연재작
3.3.1. 제작 보조
3.3.2. 프로듀싱
3.3.3. 에이전시
3.4. 연재 예정작
3.5. 연재 종료작
3.5.1. 박태준 개인명의
3.5.2. 박태준 만화회사 프로듀싱
3.5.3. 에이전시
3.6. 유튜브
3.7. 미디어 믹스
4. 비판 및 논란
4.1. 일진물 양산형 작품들
4.2. 표절 작가 섭외
5. 여담



1. 개요[편집]


박태준이 설립한 대한민국웹툰 스튜디오.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본래 박태준 작품을 제작 보조하는 스튜디오였는데 2021년 8월 31일 기점으로 공식 홈페이지를 공개하면서 웹툰 스튜디오로서의 행보를 시작했다. 퀘스트지상주의를 기점으로 와이랩의 운영방식처럼 자사 아카데미 출신들을 뽑아서 내부 테스트 후 데뷔시킨다.[2]

웹툰 유니버스인 박태준 유니버스(가칭)를 운영중이다.


2. 박태준 만화 아카데미[편집]


#


3. 관련 웹툰유니버스 목록[편집]



3.1. 박태준 유니버스[편집]


박태준 유니버스
PTJ UNIVERSE


[ 작품 목록 ]
주요 작품

파일:외모지상주의 로고.png

파일:인생존망로고.png
파일:싸움독학로고.jpg
스핀오프
파일:퀘지주로고.png
파일:김부장 로고.png
파일:촉법소년 로고.jpg
회색 바탕은 완결 작품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20px; display:inline-block">
[ 관련 문서 ]


연재중인 웹툰간 연계 세계관인 박태준 유니버스를 전개하고 있다.

3.2. 민백두 유니버스[편집]




네이버 웹툰으로 연재처를 옮긴 이후의 민백두 유니버스의 파생인 백두버스의 에이전시도 담당중이다.


3.3. 현재 연재작[편집]



3.3.1. 제작 보조[편집]


  • 외모지상주의[3]

3.3.2. 프로듀싱[편집]


글 작가[4]와 그림 작가[5]를 구성해서 집단 제작 체제로 제작하거나 타 업체와 함께 제작을 하고 있는 작품들 목록.

  • VS
  • 김부장
  • 궤짝[6]
  • 먹뀌싸[7]
  • 백XX
  • 얼짱시대[8]
  • 인생존망2[9]
  • 좋아? 죽어!
  • 퀘스트지상주의
  • 체탐자[10]
  • 촉법소년

3.3.3. 에이전시[편집]


작품 제작 외에도 자사와 연관이 있거나 연재처를 이적한 웹툰의 관리도 겸업하고 있다.

  • 매지컬 급식:암살법사[11]
  • 보스였음
  • 왕따가 격투기를 너무 잘함
  • 욕망일기Deep[12]
  • 유쾌한 왕따[13]
  • 진주[14]
  • 캐슬2:만인지상[15]


3.4. 연재 예정작[편집]


  • 그리스
  • 냉동무사
  • 사로카[16]
  • 0세대(가칭)
  • 빅딜 스핀오프(가칭)
  • 서성은 스핀오프(가칭)
  • 크루 전쟁(가칭)[17]
  • 최악의 세대[18]

3.5. 연재 종료작[편집]



3.5.1. 박태준 개인명의[편집]


  • 본격금연권장만화[19]
  • 쇼미더럭키짱![20]
  • 우리반 아이돌[21]
  • 인생존망[22]
  • 한남동 케이하우스

3.5.2. 박태준 만화회사 프로듀싱[편집]


  • 사형소년
  • 싸움독학[23]
  • 신림/남/22
  • 욕망일기[24]
  • 존망코인

3.5.3. 에이전시[편집]



3.6. 유튜브[편집]




3.7. 미디어 믹스[편집]





4. 비판 및 논란[편집]



4.1. 일진물 양산형 작품들[편집]


장르가 바뀌고 스토리 작가가 바뀌고 그림 작가가 바뀌었지만 박태준 만화회사의 신작은 놀라울 정도로 박태준의 방식을 거의 그대로 답습한다.

웹툰의 트렌드 이끄는 박태준 신작 퀘스트지상주의와 김부장의 명암

박태준 만화회사는 네이버 웹툰의 주요 수요 층인 10~20대 남자가 좋아할 법한 자극적이고 비슷한 내용의 일진물을 쏟아 내는 중이다. 사실 외모지상주의가 대박을 치고 현재까지 연재된 시점에서 이미 박태준식 학교폭력물은 많은 비판을 받고 있었고, 네이버 웹툰 플랫폼 문제 중 하나인 양산형 학교폭력물들이 상위권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은 오랫동안 존재했다.

만화회사 설립 이전에도 싸움독학 1화의 반응 등을 보면 박태준식 일진물에 비판적인 독자도 많았다. 그러나 만화회사 설립 이후 네이버 웹툰에는 박태준 만화회사라는 로고를 달고 여러 작품들이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다. 대다수 기존의 학원물 장르에 약간 변형했지만 찐따가 일진에게 복수하는 플롯은 그대로였고 퀘스트지상주의는 박태준 만화회사의 작품이라는 이유로 쉽게 정식 연재 되고 있는게 아니냐는 의견과 더불어 학원물 원툴 내지 네이버 플랫폼을 학원폭력물들로 물들이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작품이 괜찮아도 문제지만 대부분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양산형 학교폭력물에 지나지 않으니 다양성이 결여됐다는 지적이 있다. 결국 신림/남/22[25] 네이버 웹툰에 정식 연재되고 나서 그 비판이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었다. 19금 작품이라 주요 수요층인 10대 팬층은 댓글에 난입하지 못했고 덕분에 신림/남/22의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었으며 엄청난 비판 여론[26]이 형성되었다. 대다수의 반응은 정식 연재는 커녕 베도 입성도 못할 작품이 박태준 만화회사의 작품이라는 이유만으로 정식 연재를 하게 된 것이 아니냐는 의견[27]이 있다.

간혹 학교폭력 액션물에 대해 "장단점이 존재하는 장르일 뿐이다.", "재밌으면 그만이다.", "잘 팔리니까 그런 거지 비단 네이버나 박태준의 문제는 아니다"는 의견도 있었다. 박태준 이전에도 왕따 혹은 찐따 주인공이 일진을 쓰러뜨리는 작품이 없는 건 아니었다.[28] 그러나 찐따가 일진에게 복수하는 방식의 학교 폭력물을 네이버 웹툰에 대중적으로 유행시킨 것은 박태준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있다. 거기에 그치지 않고 만화 회사를 설립해서 그 똑같은 장르를 비슷한 전개로 상당수 만들어 낸 시점에서 비판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본인들 말대로 박태준의 문제만은 아니지만 박태준의 문제가 없는 건 아닌 걸 팬덤 또한 인정[29]하는 셈이다.

같은 학원물이라도 연애나 드라마 등 세부 장르의 다양화를 추구한다면 학원물을 즐기는 팬층에게 더 많은 즐거움을 가져다 준다는 긍정적인 면이라도 있겠지만 박태준 만화회사 작품들에는 항상 폭력과 성적 요소 등 자극적인 소재들이 고정적으로 등장[30]하며, 스토리나 캐릭터 등 다른 구성들은 제쳐 놓고 이것들만 강조하는 작품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31]

박태준의 첫 인기작이자 박태준식 학원물의 원조라고 볼 수 있는 외모지상주의가 작품성과 자극적인 소재로 수많은 비판을 받고도 전혀 나아지지 않는 모습을 보면, 여기서 파생된 소속회사 작품들이 개선되는 걸 기대하긴 어려워보인다.[32]

게다가 퀘스트지상주의는 작중 히토미 드립이 사용되었는데 성인인증도 없는 무법지대이자 밤토끼 부류의 불법 스캔 사이트[33]를 대중적인 웹툰사이트에서 언급하여[34] 선을 넘는다는 반응이 있다.


4.2. 표절 작가 섭외[편집]


부적절한 작가 섭외도 논란에 올랐다. 김부장, 촉법소년의 그림 작가인 정종택은 과거에 트레이싱을 한 작가임에도 아무런 제약 없이 다시 섭외되었다. 또한 김성모 작가도 고교생활기록부로 트레이싱 논란을 일으켜 퇴출되었기 때문에 여론이 좋지 않다.


5. 여담[편집]



  • 씨네21에서 진행한 더그림엔터테인먼트[35]의 안형수 이사 인터뷰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박태준 만화회사는 웹툰 공정 과정을 총괄하는 CP(Chief Producer)를 중심으로 작가나 PD, 채색이나 배경 등을 만드는 제작 인력들이 구성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고. 작가나 PD급 선에서 괜찮은 아이디어가 나오면 총괄 책임자인 CP급 인력들이 결정을 내리고, 이후 그에 맞는 인력을 내외부에서 수급해서 팀을 구성해 연재를 진행하는 상당히 유동적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인터뷰가 진행된 23년 기준 CP주재의 작업실은 약 5개, 전체 직원이 120명 정도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실제 제작인력은 80명정도라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3:42:07에 나무위키 박태준 만화회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517-27[2] 일반인중 일정 인원을 뽑아서 내부 테스트를 돌린 후 긍정적 반응을 얻은 작품순으로 순차데뷔. 단, 와이랩의 경우 신인들은 대부분 바로 데뷔가 아닌 다른 프로 작가들의 어시스턴트 활동을 하며 키운 뒤 데뷔시킨다. 정글쥬스의 스토리 작가 형은이 그 예.[3] 박태준의 개인 작품, The Grimm(더그림엔터테인먼트) 명의[4] 이 경우 "남자의 이야기"라는 필명을 쓴다.[5] 주 소속 작화가는 정종택[6] 시니 컴퍼니와의 협업작[7] 프리 프로듀싱 이전 제목 먹귀싸[8] 작화검수에 전선욱, 프로듀싱에 박태준만화회사.[9] 인생존망의 후속작[10] 시각특수효과(VFX) 덱스터 자회사 덱스터픽쳐스와 협업작[11] 내부 모집자를 통한 1회 클로즈 베타테스트를 거친 작품[12] 신림/남/22로 논란을 일으킨 김꿀빨(김주인)작가의 욕망일기 후속작.[13] 네이버 이적 후 에이전시[14] 네이버 이적 후 에이전시[15] 2부부터 에이전시를 맡게 되었다.[16] 에이전시중인 캐슬의 외전작[17] 꼬마 장현이 등장하는 외지주 미래시점[18] 파일:박만사 최악의 세대.jpg[19] 브랜드 웹툰[20] 작화를 김성모가 속한 카르만, 스토리 및 콘티를 박태준이 맡았다. 절대 반대가 아니다[21] 브랜드 웹툰[22] 작화 전선욱, 스토리/콘티 박태준[23] 박태준/김정현의 개인 작품에서 135화 기점으로 박태준만화회사/김정현스튜디오 명의의 프로듀싱작으로 변경됨.[24] 김꿀빨 작가의 본명인 김주인 명의 작품[25] 주인공 강혁이 아는 형에 의해 익명 채팅방에 참가하여 모임을 즐기다가 같이 모임에 참여한 세 명에게 납치당하고 그들이 살인까지 저지르고 있다는 사실까지 알아내어 탈출하려는 에피소드다. 지존파 같은 연쇄 납치 살인사건을 바탕으로 하는 작품이며 자극적이거나 정신적으로 불쾌한 요소가 많다.[26] 아예 박태준 만화회사 전용 플랫폼을 만들어 그곳에서 연재하라는 여론까지 있다.[27] 심지어 별점이 1.95를 찍어 헬퍼 2의 247화, 덴마의 마지막화보다 더 낮은 별점을 기록하고 말았다.[28] 예) 최강왕따[29] 그래서 그런지 웹툰 계열의 커뮤니티에선 연일 박태준 및 박태준 만화회사에 대해 비판을 한 적이 있다.[30] 데뷔작인 외지주부터 지적되었지만 다양한 등장인물에 대한 성적대상화가 심하다. 게다가 대상화를 당하는 등장인물들 대부분이 미성년자이다.[31] 퀘스트지상주의가 그 예 중 하나다. 물론 구성의 차별화를 위해 나름 노력하긴 했지만 상대적으로 뻔한 스토리와 평범한 작화로 작품의 수준이 그렇게 높지 않음에도 오로지 팬층이 많은 학원물인 덕택에 다른 작품들을 다 밀어내고 월요웹툰 상위권에 안착할 수 있었다는 분석이 있다.[32] 그래서 그런지 퀘지주의 경우는 기존의 박태준 유니버스 팬덤이 유입되어 인기가 있을 뿐 팬덤을 제외한 여러 커뮤니티나 박태준 작가의 만화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독자들에겐 작품에 대한 평가는 양산형 형태의 스토리라는 평가를 받는다. 문제는 네이버 웹툰이 그 자극적인 면에만 심취하기 쉬운 저연령층의 청소년 독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이고, 그로 인해 비판 이상으로 만화는 수요를 얻는다. 박태준의 만화가 개선되기 어려운 이유 중에선 이러한 탓도 있을 것이다. 작가들과 회사는 공짜로 돈을 얻는 것이 아니고, 자연스럽게 독자들의 취향을 충족시켜 수요가 있을 시장을 공략해야 하기 때문이다.[33] 국내를 포함한 일본과 서양의 동인작가나 일러스트레이터들의 유료작품을 무분별하게 퍼날라 사실상 세계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다. 히토미가 인터넷에서 으로 쓰일 정도로 유명한 것과는 별개로 상당히 민감한 사이트다.[34] 단, 정식연재분에서는 해당 표현이 라노벨로 수정되었다.[35] 박태준 만화회사의 법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