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수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이름을 사용하는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박희수(동명이인) 문서
박희수(동명이인)번 문단을
박희수(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1군
70 박진만 [[코치(스포츠)#s-2.1|

]] · 75 손주인 · 76 타치바나 · 77 배영섭
· 78 강봉규 · 79 이병규 · 87 박희수 · 89 이정식
· 94 권오준 · 97 강명구 · # 이진영 · # 정민태 · # 정연창'''

2군
71 조동찬 · 74 박한이 · 90 박찬도 · 91 다바타
· 98 채상병 · # 정대현 · # 강영식 · # 김지훈


육성군
85 김정혁 · 88 정현욱 · 92 정병곤


컨디셔닝
72 나이토 · 80 황승현 · 81 권오경 · 82 김현규 · 83 윤석훈
86 한흥일 · 93 윤성철 · 95 박승주 · 96 류호인 · # 김용해 · # 염상철 · # 허준환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입대선수등록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박희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박희수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2 KBO 리그 홀드왕

SK 와이번스 등번호 58번
지훈
(2004~2005)

박희수
(2006)


이명기
(2007~2008)
SK 와이번스 등번호 47번
최정
(2005~2006)

박희수
(2007)


이상훈
(2008)
김태훈
(2009)

박희수
(2010~2020)


오원석
(2021~)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87번
김용달
(2020~2021)

박희수
(2023~)


현역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삼성 박희수.jpg

애들레이드 자이언츠 No.
삼성 라이온즈 No.87
박희수
朴熙洙|Park Hee-Soo

출생
1983년 7월 13일 (40세)
대전광역시 서구
국적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학력
대전유천초 - 한밭중 - 대전고 - 동국대[1]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2][3]
프로입단
2002년 2차 6라운드 (전체 43번, SK)
소속팀
SK 와이번스 (2006~2020)
지도자
상무 피닉스 야구단 투수코치 (2021~2022)
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투수코치 (2023)[4]
삼성 라이온즈 1군 불펜코치 (2023)[5]
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투수코치 (2024~)

애들레이드 자이언츠 투수코치 (2023/24)

대한민국 U-23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코치 (2022)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7년 11월 26일 ~ 2009년 10월 22일)
등장곡
Motorhead - The Game[6]
1. 개요
3. 지도자 경력
4. 피칭 스타일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이자 現 삼성 라이온즈의 코치.

선수 시절에는 KBO 리그SK 와이번스원클럽맨 좌완 투수이자 2010년대 초중반 팀의 불펜진의 핵심을 담당하는 선수였다.

볼끝이 좋고 제구력도 수준급인데 특히 하체 활용이 좋은 투수이다. 2011년 전까지 왜 이 선수가 2군에만 있었는지 알 수 없을 정도. 주무기는 투심으로, 바깥쪽으로 찔러넣는 130km대 초중반의 체인지업성 투심은 대다수의 타자들이 손도 못대고 루킹 삼진을 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의 별명중 하나도 투심 마스터.


2. 선수 경력[편집]


통산 426⅓이닝 21승 22패 79세이브 60홀드 ERA 3.00



3. 지도자 경력[편집]



3.1. 상무 피닉스 야구단 코치[편집]



파일:박희수 상무 코치.png

박치왕 상무 피닉스 야구단 감독에게서 코치 제안을 받고 현역 은퇴와 동시에 상무 피닉스 야구단 투수코치로 부임했다.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박희수는 상무에서 자신감을 얻어 SK에서 행복한 시간을 보낸 것처럼, 후배들에게도 상무가 인생의 도약대가 됐으면 한다. 열심히 돕겠다는 소감을 전했다.

상무에서 코치 역할을 잘 해내고 있는 듯 하다. 특히 자신과 똑같은 좌완투수를 키워내는 데 일가견이 있는데, 상무에서 전역한 후 훌륭한 성적을 내고 있는 김기훈[7]이상영[8]이 그 방증. 이승민도 상무 입대 이후 구속이 늘어나고 안정적인 제구력을 갖추면서 박희수 코치의 지도력이 더 주목 받고 있다. 이에 박희수가 현역 시절 뛰었던 SSG 랜더스의 팬들은 당장 코치로 모셔와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할 정도.[9]

2022년 9월 5일 WBSC U-23 야구 월드컵을 앞두고 대표팀 코치로 선임되어 대한민국 U-23 야구 국가대표팀에 합류하게 됐다. U-23 대표팀은 이 대회 사상 처음으로 결승에 올랐으나 일본에 패하면서 아쉽게 귀국하게 됐다. 한편 이상영, 한승주, 김기중, 노운현 등 선발진이 좋은 활약상을 보여줬고 불펜에서도 위기 상황마다 올라와 무실점으로 상황을 정리했던 이기순이나 강속구로 이닝을 잘 처리한 셋업맨 김규연, 마무리 성동현 등 전체적인 투수진이 제 역할을 톡톡히 해내면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는 데에 성공했다.


3.2. 삼성 라이온즈 코치[편집]


2023 시즌을 앞두고 박진만 신임 감독이 선임된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코치로 합류했다. 공식 발표는 빠르게 나오지 않았지만, 질롱 코리아에 집중한다는 얘기라도 나온 이병규 수석 코치 후보와는 달리 사실상 확정이라는 기사만 나오다가 아예 계약 발표 전에 경산 볼파크 훈련에 합류했다는 오피셜이 먼저 떴다. 역할은 투수 육성으로, 2군 투수코치 또는 육성군 투수코치로 예상되고 있다. 팬들은 팀의 좌완 유망주인 이승현허윤동 등을 잘 키워내줬으면 하는 바람이 많다.

그러다가 2023년 8월 4일 코칭스태프 개편 과정에서 1군 불펜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이 소식에 팬들은 환호 중이다.

시즌 후에는 육성군 코치로 다시 복귀한 것으로 보여지며 애들레이드 자이언츠로 파견되었다. 박권후, 이승현, 이병헌과 함께 가며, 팬들은 올해 폼이 완전히 무너졌던 이승현을 잘 조련해주길 바라고 있다.

4. 피칭 스타일[편집]




스트라이크 존 낮은 코스를 파고드는 투심 패스트볼
vs 이대호 (2011.10.19 / 2011년 플레이오프 3차전)
좌완 오버핸드 투수로서 공이 빠르지는 않지만 구위와 핀포인트 제구가 뛰어나며, 팔 스윙이 빠르고 디셉션 동작이 좋다.

구사구종은 투심 패스트볼, 서클 체인지업, 슬라이더, 커브이다. 속구의 구속은 최고 140km/h 중후반대였으나 2012 시즌 무지막지한 혹사로 140대 초반으로 떨어져 2015년도 평균 구속은 135 km/h이었다가 2016 시즌 7월 12일 최고구속 145 km/h까지 회복했다. 체인지업의 제구 높이는 시즌 평균이 56cm로, 좌완 오버핸드 평균(64cm) 보다 8cm 낮다. SK를 거쳐간 김상현은 "공을 놓는 타깃이 좋다"는 평가를 덧붙였다.

무엇보다 박희수를 대표하는 주무기는 투심 패스트볼. 팬들은 "바키 투심" 이라고 부르고 SK의 동료들은 "악마의 투심" 이라 평가했다. 눈으로만 봐서는 투심인지 서클 체인지업인지 포크볼인지 구분이 안되는 특이한 속도와 궤적을 그리는데, 다른 투수들의 체인지업이 완만한 각을 그리며 떨어지는 반면 박희수의 체인지업성 투심은 홈플레이트 근처에서 급격하게 꺾이기 때문에 타자 입장에서는 배트의 중심에 공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단점은 11, 12시즌의 혹사와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무리한 것 때문에 이후 이닝 소화력이 다소 떨어진 점. 그럼에도 팀의 필승조로 제 몫을 해주었다.


5. 여담[편집]


  • 팬카페가 없다가 2010년부터 팬카페가 네이버에 생겼다. 2010년엔 아직 그가 유명세를 타기 전이란 것을 생각하면 제법 일찍 생긴 편이다.

  • 키가 184cm정도 되는데 190cm가 넘는 윤희상보다 앉은키가 크다. 별명이 상체가 길다고 상길이다.


  • 본래 구속이 147km까지 나왔으나, 2012년 이후 130 중후반에 형성되고 있다.[10]

  • 은퇴 시점 기준 만 37세의 베테랑 투수였지만 나이에 비해 비교적 어려보였다. 그래서인지 머리숱이 없는 정우람보다 나이가 어린 줄 아는 사람들이 꽤 있다. 거기다 정우람보다도 뒤늦게 유명해진 대기만성 케이스니 그런 생각이 드는 건 당연한 듯.

파일:attachment/박희수/2014-03-28-21-08-37.jpg
  • 마구마구2014에서 2014년 3월 28일 업데이트 후 12 박희수의 엘리트 카드가 추가되었다.[11] 그리고 실제 마구마구에서도 12시즌 박희수의 엘리트 카드가 추가되었다.

  • 우승 반지가 없기 때문에 이를 안타까워하는 팬들이 많다. SK왕조 시절엔 아직 풋내기였던 데다 군복무로 엔트리에 들지 못했고, 2011시즌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만개했더니 이번엔 팀이 주춤하면서 우승과 인연이 없었고[12], 오랜만에 우승을 거머쥔 2018 시즌에는 그간의 혹사로 인해 떨어진 구위로 엔트리에 승선하지 못했다. 이듬해인 2019 시즌에는 플레이오프 엔트리에 들었으나 팀이 3연패를 거두고 창단 첫 플레이오프 패배라는 불명예 기록을 남겼고, 2020년[13]을 끝으로 은퇴하면서 끝내 우승 반지와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 SK 와이번스 시절 스승이었던 이만수 감독과 성준 코치와는 정반대로 선수 생활은 SK에서, 지도자 생활은 삼성에서 하게 되었다.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333><width=20%><colcolor=#09539D,#ddd>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9539D,#61ABF6> 1 손승락 · 11 박희수 · 17 유원상 · 18 노경은
21 오승환 · 23 차우찬 · 26 서재응 · 28 윤석민
38 정대현 · 48 장원삼 · 57 장원준 · 66 윤희상 ||
|| 포수 || 20 진갑용 · 47 강민호 ||
|| 내야수 || 7 김상수 · 8 정근우 · 13 손시헌 · 25 이대호
14 최정 · 16 강정호 · 36 이승엽 · 52 김태균 ||
|| 외야수 || 9 전준우 · 15 이용규 · 31 손아섭
35 이진영 · 50 김현수 ||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양상문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한용덕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박정태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6 김한수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동수
수비·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
||<-3><bgcolor=#09539D>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333><width=20%><colcolor=#09539D,#ddd>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9539D,#61abf6> 1 우규민 · 11 이대은 · 12 임창용 · 19 심창민
21 박희수 · 23 차우찬 · 26 오승환
28 장원준 · 29 장시환 · 45 임창민
46 원종현 · 48 이현승 · 54 양현종 ||
|| 포수 || 25 양의지 · 42 김태군 ||
|| 내야수 || 3 김재호 · 7 김하성 · 10 이대호 · 13 허경민
14 서건창 · 18 박석민 · 24 오재원 · 52 김태균 ||
|| 외야수 || 15 이용규 · 31 손아섭 · 34 최형우
37 박건우 · 49 민병헌 ||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7 김인식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6 김동수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이순철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김평호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4 송진우 ||



[1] 체육교육과(2002학번, 2006년 졸업)[2] 좌완 투수지만 오른손잡이이다.[3] 좌투우타로 알려져있었으나, 2016년 4월 17일 kt wiz와의 경기에서 11회초 2아웃 상황에 지명타자 소멸로 타석에 섰는데 우타가 아닌 좌타로 확인되었다.[4] ~8월 3일[5] 8월 4일~[6] WWE에서 트리플 H의 등장곡, 한현희와 등장곡이 같다.[7] 올스타전에서 무려 148km/h까지 나오면서 제구도 안정된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전역 후 1군에 합류한 뒤에는 최고 150km/h까지 찍었고, 제구력 역시 입대 전에 비하면 상당히 좋아졌다.[8] 상무 입대 후 박희수 코치의 조언에 따라 팔 각도를 내려서 던지고 있고, 퓨처스 탈삼진 최상위권을 달리고 있다.[9] 특히 2022 시즌 팀 불펜진이 허약한 데다 불펜코치 이대진이 썩 평가가 좋지 않기 때문에 박희수를 코치로 데려오자는 SSG 팬들의 여론이 있는 편.[10] 2016년 마무리캠프에서 구속 145km를 되찾기 위한 노력중이라 한다. 그리고 2017년 부진하자 구속을 높이기 위해 2군도 다녀왔다.[11] 다른 추가 엘리트는 05 손민한(가명:김세준), 90 김태원(가명:안영준), 02 장성호, 07 이종욱, 13 최정.[12] 2011, 2012 시즌에는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으나 삼성 라이온즈에 패하면서 준우승.[13] 심지어 마지막인 2020 시즌에는 팀이 최하위를 전전하며 9위를 기록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0:06:50에 나무위키 박희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