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0)
1. 개요[편집]
하나의 한자 표기에 대하여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를 설명하는 문서이다.
발음이 달라져도 뜻은 달라지지 않는 경우와, 발음이 달라지면 뜻도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2. 목록[편집]
2.1. 뜻이 달라지지 않는 경우[편집]
2.1.1. 한국어[편집]
- 거마/차마(車馬)
- 뇌쇄(惱殺▽)뇌살
- 맹세(盟誓▽)맹서
- 인경/인정(人定)
- 인임(仍▽任)잉임
- 폐렴(肺炎▽)폐염
- 해자(解座▽)해좌
2.1.2. 일본어[편집]
- じゅうふく/ちょうふく(重複): 중복
- にほん/にっぽん(日本): 일본
2.2. 뜻이 달라지는 경우[편집]
2.2.1. 한국어[편집]
- 방새/방색(防塞, 逄塞)
- 일절/일체(一切)
- 항렬/행렬(行列)
2.2.2. 일본어[편집]
- じんがい/にんがい(人外)
2.3. 공통[편집]
2.3.1. 한국어[편집]
- 갱신/경신(更新)
更은 '다시 갱'과 '고칠 경'이라는 서로 다른 두 훈음이 있다. '기존의 내용을 수정함', '법률관계의 기간을 연장함'의 뜻으로는 '갱신'을, '종전의 기록을 깨뜨림'의 뜻으로는 '경신'을 써야 한다. 단, '이미 있던 것을 고쳐 새롭게 함'의 뜻으로는 '갱신'와 '경신' 모두 가능하다.
- 금슬/금실(琴瑟)
2.3.2. 일본어[편집]
- さほう/さくほう(作法)
さほう는 '예의범절', '관례'라는 뜻이 있으나 さくほう에는 이런 뜻이 없다. '작법'이라는 뜻으로는 さほう와 さくほう 둘 다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