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어

덤프버전 :

파일:hangukeojok_little.png
한국어족

[ 펼치기 · 접기 ]
파일:hangukeojok_hanguk_little.png 한국어
고대 한국어
[[부여어족|

부여어
]]
[[고구려어|
고구려어>
]]
[[백제어|
백제어
]]
[[신라어|
신라어
]]
중세 한국어
근대 한국어
현대 한국어
[[대한민국 표준어|

한국 표준어
]]
[[한국어의 방언|
한국어 방언
]]
[[문화어|
문화어>
]]
파일:hangukeojok_jeju_little.png 제주어*
파일:Flag_of_Hamgyeong-pukto_little.png 육진어*
: 고어
* 한국어의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함.








1. 개요
2. 발해문자
3.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발해어는 발해에서 쓰였던 언어로, 고구려어를 기반으로 하며 말갈, 거란족 등이 사용한 언어에서도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제대로 된 문자 기록이 적은 까닭에 연구가 많이 진척되지는 못했으며, 계통 정도만 유추할 수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발해어로는 국왕을 뜻하는 가독부가 유일하다.

2. 발해문자[편집]


특이하게도 독자적인 문자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관한 일화로는 당나라 대에 발해에서 문서를 보내왔는데, 그 문서를 신하들이 "초서도 전서도 아닌 기괴한 문자가 적혀 있다."라며 해독하지 못해 황제인 현종이 시인 이백을 불러 해독하게 했더니 발해의 문자라 하며 금방 한문으로 부본을 만들었다는 고사가 있다.[1] 그러나 현전하는 문자가 적힌 발해 유물의 80% 가량이 한자로 적혀 있고, 나머지는 한자의 변형 또는 알아볼 수 없는 것인 관계로 그 뜻을 알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당나라의 일화와 구 발해 영역에서 출토되는 금석문 유물의 양상으로 보아 서하 문자, 거란 문자, 여진 문자처럼 한자를 베이스로 해서 발해식으로 변형한 문자를 사용했거나 독자적으로 개발한 국자 혹은 구결이나 차자 표기를 말하는 것이었을 가능성도 있으나 아직까진 관련 기록, 자료, 연구 등 모든 것이 부족해서 정확한 내용은 알기가 어렵다. 일단, 현재 학계에선 발해기와에 특이한 서체로 새겨진 한자의 사례들 위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알렉산더 보빈은 발해문자가 한자의 변형체이며 여진 문자의 모태일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3. 같이 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4:29:23에 나무위키 발해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일화는 아마 과장되어 서술되었을 것이다. 당장 이백의 출신만 보더라도 발해의 영토와 반대편에 있는 사천 출신의 사람이며, 그는 벼슬을 아주 잠깐 동안만 했으므로 발해의 언어와 문자를 익혔을 리가 없다. 다만 발해에 독자적인 문자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일화임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