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적기

덤프버전 :

분류


방적의 과정[1]




1. 개요[편집]


紡績機[2] / Spinner

동물식물에서 추출된 섬유를 가공해 을 만드는 기계. 의복 산업의 3대 축 중 하나다.[3]

가장 초보적인 방적기는 가락바퀴로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존재했다. 하지만 이때부터 무려 수천 년간 발전이 정체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기원 10세기 무렵에 아랍 지역 혹은 인도에서 물레가 발명되어 방적의 첫 기계화가 진행된다.

18세기의 산업혁명기에 직조의 자동화가 가능해지면서 실에 대한 수요도 폭등했다. 자연스럽게 한 번에 여러 가닥의 실을 뽑을 수 있는 제니 방적기가 개발됐고, 이를 수차와 연결해 자동화시킨 신형 방적기가 개발됐다. 이에 따라 실의 생산량이 급등하자, 여기에 맞춰 또 다시 신형 직조기가 개발됐다. 이런 식으로 방적기와 직조기가 서로 영향을 미치며 개량되는 순환이 전개됐다. 그 결과, 섬유/의복산업은 산업혁명의 핵심적인 한 축이 됐다.

2. 종류[편집]


  • 물레
최초의 기계화 된 방적기. 오래된 물건 같지만 기원 10세기 무렵에 나왔고 한국에도 고려시대 말기에나 도입된 물건이다. 그 이전에는 신석기 시대에서부터 사용한 가락바퀴를 이용한 방적을 수천년이나 계속했다.

  • 제니 방적기
영국의 방적업자 겸 목수였던 제임스 하그리브스가 만든 방적기.[4] 한 사람이 한번에 8가닥의 실을 뽑아낼 수 있도록 고안된 기계. 이 기계의 탄생으로 방적 효율은 8배로 올랐으며, 이렇게 시작된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은 산업 혁명의 신호탄이 되었다.[5] 정작 하그리브스는 제니 방적기의 영향으로 실의 가격이 하락해 다른 방적업자들로부터 원한을 샀고, 쫓겨나듯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야 했다.

  • 수력 방적기
가발제조공이었던 리처드 아크라이트가 개발한 방적기. 제니 방적기의 경우, 실의 대량생산은 달성했지만 동력을 인간의 신체로 확보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에 아크라이트가 만든 신형 방적기는 인력이 아닌 수력으로 가동됐다. 따라서 한 번에 뽑을 수 있는 실의 개수는 제니방적기보다 적었지만, 그 차이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 실을 뽑아내는 속도가 빨랐다.

  • 뮬 방적기
발명가 새뮤얼 크롬턴이 개발한 방적기. 제니 방적기와 수력 방적기의 장점을 합쳤다. 이라는 이름부터가 두 기계에서 비롯된 잡종이라는 뜻으로 지었다고 한다.[6]

3. 여담[편집]


  • 1700년대 초 영국의 원면 수입은 500톤 정도에 불과했었지만, 제니 방적기를 시작으로 여러 방적기가 개발되고, 그 방적기를 이용한 공장들이 대량으로 건설되면서 1800년대에 들었을 때 원면수입은 25,000톤까지 늘어났다.

  • 사실 수력방적기를 최초로 발명한 지역은 서구가 아니라 중국이다. 원나라 때 작성된 <왕정농서>라는 책에 축력과 수력으로 움직이는 방적기에 대한 기록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만 중국에서는 발달된 방적기가 생산하는 실의 생산량에 조응할 직조 기술까지는 마련되지 않았던지라, 근대적인 섬유/의복산업이 탄생하지 않았다.

  • 방직기와 자주 혼동된다. 방적기는 실을 뽑아내는 기계이고, 방직기는 실로 직물을 짜는 기계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5:18:45에 나무위키 방적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수작업으로 로프를 만드는 작업. 방적의 과정은 동일하다.[2] 적(績)은 섬유를 가공해 실을 잣는다는 의미. [3] 의복은 방적기가 실을 뽑고, 직조기가 천을 짠 후, 재봉기가 용도에 맞게 옷을 재봉하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4] 일화에 따르면 어느날 하그리브스의 딸이 물레를 넘어뜨렸는데 그 이후에도 온전히 작동하는 것을 보고 하그리브스가 여러 개의 방추를 사용한 기계를 고안해냈다고 한다. 그래서 딸의 이름인 제니를 붙였다고...[5] 이 점으로 말미암아, 카를 마르크스는 제니방적기를 산업혁명의 핵심요소 중 하나로 높게 평가했다.[6] 하지만 크롬턴은 이 방적기로 그렇게까지 큰 돈을 벌지 못했다고 한다. 이유는 당시에는 이 방적기에 대한 특허를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인데, 그 때문에 크롬턴은 이 방적기를 공개하지 않고 파괴하는 것도 고민했지만 몇몇 제조업체가 이 방적기를 사겠다는 제안을 해서 방적기를 공개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고 한다. 그렇게 방적기를 산 업체들에 의해 뮬 방적기의 양산이 이뤄지게 되었는데, 정작 크롬턴은 이들로부터 뮬 방적기에 대한 로열티를 단 한 푼도 받지 않는 것을 선택했기 때문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