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찌

덤프버전 : r20230302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조하세요.

  • 발음이 비슷한 물건인 배지(뱃지): 배지
  • 前 항저우 스파크 소속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現 온 슬레이어스 소속의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 박준기
  • 미국의 가수: Bazzi
  •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프로게이머: 이준석(2001)

크레이지 파크

[ 시리즈 일람 ]
메인
파일:external/s.nx.com/ca_logo.png
크레이지 아케이드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svg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파일:1511019520642.png
크레이지슈팅 버블파이터

파일:151F2F174A4C488A3A017B.png
크레이지레이싱 에어라이더


서비스 종료

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svg[[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 W.svg
모바일
파일:cabnb2011.jpg
크아 BnB 시리즈
파일: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webp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파일:crazyarcadelive2.png
크아 BnB Live

서비스 종료

파일:cabnbm.png
크아 BnB M

서비스 종료

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svg[[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 W.svg
미디어믹스 (게임)
BnB 어드벤쳐
크레이지 아케이드 대모험 2: 지옥불마왕의 부활
미디어믹스 (기타)
코믹 크레이지 아케이드
미스터리 어드벤쳐
사이언스 카드캡터
다오 배찌 붐힐 대소동


[ 등장인물 ]
주연
다오 · 배찌 · 디지니 · 마리드· 우니 · 케피 · 모스 · 에띠
악역
로두마니 투탑
조연
· 후우 · 루시 모비 · 티이라 레오 · 라비 · 두찌 · 레아 · 리리
ⓐ: 크레이지 아케이드 전용 | ⓚ: 카트라이더 전용 | ⓑ: 버블파이터 전용
등장인물 모아보기



}}} ||



파일:배찌1.png
이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찌 (Bazzi)
파일:중국 국기.svg

宝宝 (Bǎobǎo)[1]
파일:대만 국기.svg

睏寶 (Kùnbǎo)[2]
파일:일본 국기.svg

ベッチ (벳치)
성별
나오는 매체/상황마다 다름[3]
생일
4월 1일 (크레이지 아케이드 BNB M)
2월 8일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4]
9월 24일 (다오 배찌 붐힐 대소동)
이미지 컬러
빨강
담당 성우
김선혜(TVA)[5]
김율(카트라이더)[6]
양정화(모바일, 에어라이더)[7]
미셸 노츠
관계 인물
다오 - 친구, 아들[8]
두찌 - 사촌

1. 개요
2. 특징
2.1. 성별
4. 기타



1. 개요[편집]



넥슨크레이지 파크 시리즈의 등장인물.


2. 특징[편집]


크레이지 파크의 마스코트격 캐릭터다.

다오와는 친한 친구 사이로, 언제나 귀여운 인형 옷[9]을 입고 작은 하트가 그려진 가방을 매고 있다. 게으르고 잠이 많으며 항상 눈이 반쯤 감겨 있다.[10] 디지니와 살짝 보이는 앞머리가 비슷하게 생겼다. 다만 색깔은 디지니보다 연한 편이고 초기 일러스트 땐 헤어스타일이 약간 달랐다. [11]

원작과 코믹스판의 성격 차이가 극과 극을 달리는 캐릭터 중 하나. 카트라이더의 경우 게임에서의 배찌는 수준급의 라이딩 실력으로 반쯤 졸면서도 트랙을 달리는 수준의 운전 능력을 가진 반면, 코믹북의 배찌는 항상 다오의 하위호환급의 라이딩 실력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캐릭터 설명에도 "잠재적인 능력은 뛰어 나나 노력이 부족"하다고 적혀있다. 마찬가지로 코믹북 한정으로 케피 못지 않게 먹을 것을 좋아하는 먹보로 묘사되지만 실제 게임에서 먹보 기믹은 묘사되지 않는 편. 또 게임에선 무심한 성격이지만, 만화책에서는 상당히 다혈질로 나온다. 카트라이더 게임 스토리 상 크게 접점이 없었던 노르테유 테마의 타키와 친한 친구관계 설정도 있었다.

유독 화장실과 관련된 개그 기믹이 많이 섞여서 개그 캐릭터로 전락할 때도 있다. 이 기믹은 주로 카트라이더에서 쓰이는 편인데 뭔가 긴장하거나 갑작스러운 일을 당하면 배가 꼬여서 화장실을 들락거린다던가[12] 자기 집 화장실의 변기를 뜯어 내 루루 시리즈를 만든다던가[13] 브로디 시나리오에서는 친구들과 브로디를 찾는 도중에 방귀를 뀌는 등[14] 의 모습도 가끔이지만 보여준다. 코를 틀어막고 질색하는 친구들과 달리 부끄럼도 없이 무덤덤한 배찌 코믹북에서는 먹보 속성과 제대로 결합하여 화장실 개그의 끝을 보여준다.

크레이지 파크 시리즈의 주연 8인방 중 모든 작품을 통틀어 이미지 컬러가 단일인 유일한 캐릭터이며[15], 에띠와 함께 시리즈 전체를 통들어 럭셔리 버전이 존재하지 않는 둘뿐인 캐릭터다.[16]

버블파이터, 카트라이더 세계관 한정으로 두찌라는 사촌동생이 있다.[17]

크레이지아케이드 BNB M에서는 성격이 다혈질이라고 나왔으나 게임 안에서는 배찌가 화를 내는 것은 꽤나 보기가 드물다. 기껏해야 튜토리얼 초반에 다오 팀의 다오가 공격을 했을때 약간의 짜증을 내는 정도.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의 시나리오 모드에서는 마지막에 토크쇼 진행자로서 스토리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해준다. 또한 한 스테이지의 설명에 의하면 배찌는 툴툴대지만 속마음은 따뜻하다고 한다.


2.1. 성별[편집]


성별이 모호한 캐릭터인데, 이는 버블파이터나 일부 만화에서는 확실한 남자로, 초기 크레이지 아케이드나 일부 만화에서는 확실한 여자로 나오며 현 크레이지 아케이드나 카트라이더에서는 여성 캐릭터 중 배찌를 제외한다면서 훈남 배찌라는 호칭을 사용하거나 남성 캐릭터 복장을 입으면서도 치마 교복을 입고, 모바일에서는 성별 표시가 없는 등 굉장히 모호하게 대응한다.

심지어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서는 여성 간호사복, 여학생 치마, 조개껍질 브라에 나뭇잎 치마를 한 하와이안 비키니 등 여성복 코스튬을 많이 입으면서도 공작 배찌, 월하문주 배찌 등 남성 캐릭터 코스튬도 여성복 코스튬만큼 많이 입는다. 아무래도 카트라이더 시리즈 인게임 내에선 운영진들이 밝힌 대로 성별을 정해 놓은 캐릭터가 아닌 듯 하다. 다만 카트라이더를 제외한 게임과 만화 애니메이션에서 남성으로 나오고 공식적으로 성별 불명인 카트라이더에서도 구준표를 패러디하는 등 은근슬쩍 남성인 듯한 뉘앙스를 풍기는 다른 크레이지 파크 시리즈와는 달리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서는 그러한 뉘앙스를 거의 풍기지 않기도 하며, 남성인 듯 한 뉘앙스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에서 다소 보였던 것과 달리 크리스를 화장실에서 봤다는 묘하게 상황 설정에 따라 여성인 듯 한 대사를 쳐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보단 여성 쪽의 뉘앙스가 살짝 있다.[18]

정리하면 크레이지 아케이드 출시 당시와 초기 및 기획 단계의 배찌는 분명히 크레이지 아케이드 일러스트에서 다오와 커플링이 자주 보이는 등 확실한 여성 캐릭터로 기획되었으나, 출시 이후 겉모습이 남자 같다며 남성으로 생각하는 유저가 많은 것이 원인으로 추측되는데 이 때문일지는 몰라도 크레이지 아케이드 제작진은 남성 캐릭터로 정착시키기 시작했다. 그 결과, 크레이지 아케이드는 코디 부문에서만 불명이라고 답변하고 호칭을 형 등의 남성 호칭으로 바꾸며 일러스트도 다오가 아닌 마리드와 커플링을 잇는 일러스트가 생기며 남성으로 사실상 정착되었으나 카트라이더는 크레이지 아케이드처럼 남성 설정을 유지하다가 여성으로 생각하는 유저도 상당함으로 추측되는 원인 때문에 남성 설정을 유지하려 했던 기존 개발진과 달리 바뀐 개발진의 배찌에 대한 성별 설정 노선이 변경되어[19]카트라이더 시리즈에서는 성별 자체를 정하지 않고 남ㆍ여 (여ㆍ남) 호칭을 같이 쓰는 캐릭터로 만든 것으로 추측된다. 남성 호칭을 쓰는 경우가 포착되지만 교복 유니폼을 입을 때 교복 치마를 입는 경우가 카트라이더 시리즈에서만 자주 발견되기 때문.[20][21]
거기에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의 시나리오 모드에서는 여성인 크리스를 화장실 안에서 봤다고 하는 점과 카트라이더 질의응답 당시에 배찌가 남성 캐릭터가 맞냐는 질문이 거짓인 것을 보았을 때 최소한 카트라이더 계열 게임에선 확실한 남성은 절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성 중립이거나 공용 화장실일 수도 있다 공식적으로는 카트라이더의 2D 원화가가 NDC 2021에서 배찌를 중성으로 언급, 실질적으로 배찌의 설정을 쥐고 있는 원화가가 직접 말한 부분이므로 다른 부분보다 이를 우선적으로 판단하는게 합당하다.[22][23] 즉 공식 설정을 따르자면 배찌는 일종의 성 소수자 캐릭터라고 볼 수 있다는 것. 자료1자료2

버블파이터 및 기타 출판작과 미디어 믹스의 경우 모두 남성으로 묘사된다. 그 예시로 버블파이터는 남성 캐릭터 패키지에 배찌를 넣고 크레이지 파크 코믹스에서는 형 호칭이 사용되며,다오 배찌 붐힐 대소동 애니메이션에서는 마리드를 짝사랑하며[24]로두마니에 의해 기억을 잃었을 때 아들이라고 불린다.
크레이지 아케이드에서는 본래 여성으로 나오고 디지니가 남성이었다. 그러나 출시 이후에 유저들이 둘의 성별을 혼동하고 반대로 인식하는 바람에 배찌를 남성으로 바꾸고 디지니를 여성으로 바꾸었는데 이 때 둘의 능력치도 변경되었다. 본래 물풍선을 2개 쏘던 배찌가 1개를 쏘는 것으로 바뀌었다. BnB는 남성 캐릭터가 보통 물풍선을 1개 쏘는데 배찌가 이에 해당한다. 반대로 디지니는 물풍선을 하나 쏘다 두개 쏘는 것으로 바뀌었고.[25] 그러나 이 설정 변경이 카트라이더로 넘어오며 문제가 생겼는데, 디지니의 경우에는 이렇게 귀여운 아이가 남자일 리 없잖아 같이 여캐 그려 놓고 남캐라 우긴 수준이었기 때문에 설정 변경에도 개발진들의 혼동이 없었으나 배찌는 설정 변경이 개발진들에게도 혼동을 주면서 카트라이더에서의 성별이 모호해진 것.
크레이지 아케이드 BnB M의 경우, 타 크레이지 파크의 게임과 다르게 의상이나 시나리오, 패키지 등에서 특정 성별 또는 불명이라고 정의할만한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다.

사실 위의 성별 논란과 별개로 크레이지 파크의 원년 캐릭터들 자체가 성별이 크게 상관 없는 캐쥬얼하고 단순한 귀여운 디자인이라 성별을 정할 필요성은 그렇게 크지 않다. 또한 농담을 배제하고 좀 더 무거운 주제로 파고들어 보면, 애초에 처음부터 여성스러운 남성 내지 중성성, 혹은 유동적인 성별의 컨셉으로 제작된 캐릭터를 굳이 이분별적 성별중 한 가지로 나누는 것 자체가 캐릭터성을 해칠 위험성이 있기도 하다. 드리프트를 통해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하게 된 현재로서는 해당 이슈에 게임계가 더 민감해진 추세이기도 하고. 이제는 중성성이라는 특성을 굳이 이분화하지 않고 배찌의 온전한 개성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적합할지도 모른다.

성별 정체성과는 별개로 성적 지향은 여성애자였던 듯 하나, 더 이상 카트라이더 내에서 다오 디지니 빼고는 다른 커플링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이도 애매해졌다.

3. 작중 행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배찌/작중 행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기타[편집]


  • 김택환의 닉네임이 "PlayTheBazzi"[26]이다. 때문에 김택환을 배찌라 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 2010년에 SBA에서 주관한 한국 국가대표 캐릭터 인기 투표를 한적이 있었는데 배찌가 무려 게임 부문에서 1위를 하였다. 그리고 다오는 4위를 하였다.

  • 학습만화 사이언스카드캡터 5권에서는 배불뚝이라는 이름도 있는 것으로 나온다. 카드킹 탄탄의 주최로 레이싱이 펼쳐 졌을때 선수 소개하는 사람이 배불뚝이라고 소개하자 왜 본명으로 부르냐고 화를 내는데 배찌의 본명은 배불뚝인듯 하다. 다만 이는 학습만화에서 나온 설정인 만큼 확실하지 않다.

  • 최근 카트라이더에 추가된 신화 테마의 시나리오에서 미즈 토르[27]가 자신이 신이라고 하자 "너가 신이면 난 이다! 으하하하"라며 비꼬는 인상 깊은 장면을 남겼다. 추가로 토르만 몰 수 있는 묠니르 X를 잘만 몰고 다녀 토르에게 "무슨 신이냐"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카트의 신 또한 카멜롯 테마 시나리오에서는 엑스칼리버를 건드리고 카멜롯 왕국으로 오자 아서 일행에게 붉은 용사로 불리며 최종보스인 모드레드에게 단신으로 맞서는 대활약을 보였다.[28] 마지막엔 현실로 돌아온 뒤 배찌의 가방에서 강아지펜드레건이 머리를 내밀었는데 앞으로도 배찌의 펫으로 출연할지 주목된다.

  • 성별 논란이 일어나는 인게임과 달리 학습 만화나 애니메이션은 남성 고정으로 출현한다. 게임 광고나 넥슨 트위터에서는 카트라이더의 배찌 성별이 불명임을 이용해 해당 상황에 맞게 성별[29]이 바뀐다. 영상의 스토리 및 컨셉에 따라서 배찌가 다오의 여자 친구로 나오는 영상과 다오의 동성 친구로 나오는 영상이 공존하는게 그 예.

  • 카트 패스의 럭셔리 패스로 가장 많이 나온 캐릭터이다.


[1] 바오바오, 아기라는 뜻이다.[2] 반쯤 감긴 눈 때문에 '졸린 아이'로 명명하였다.[3] 제작사에서 중성이라고 하긴 했지만 버블파이터는 남성, 초기 설정에서는 여성, 크레이지 아케이드에서는 남성에 가까운 중성, 최근 카트라이더 시리즈에서는 크리스를 화장실에서 봤다는 언급이 나오거나 김홍도 민화의 패러디에서 여성으로 나오는 등 여성에 가까운 중성이지만, 사실 공식 매체와 크레이지 아케이드&카트라이더에서 보면 상황과 필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남성으로도 그리고 여성으로도 그리고 있다. 물론 이 상황에 따라 성별을 다르게 그린다는게 중성이라는 의미면 중성이 맞다.[4] https://forum.nexon.com/kartrush/board_view?thread=52970[5] 통상의 우니와 성우가 같다. 이후 모바일판에선 첸첸을 맡는다.[6] 해변 테마 애니메이션. 해변 테마 캐릭터 중 하나인 레나도 맡았다.[7]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도 동일할 것으로 추정.[8] 현 시점에서는 밑의 배찌 소개 영상에서도 볼수 있듯이 사실상 폐기된 설정에 가깝지만 원래 배찌는 현 모습이 아줌마가 된 상태고 젊었을땐 예뻤다는 설정이였다.[9] 크레이지 아케이드 한정으로 동그란 꼬리가 달려 있다.[10] 이는 마리드도 마찬 가지. 단, 놀라면 눈을 완전히 뜨기도 한다.[11] 아프로펌에 가까운 곱슬머리에서 일자형 뱅 스타일로 변경되었다.[12] 네모 시나리오 막바지엔 긴장해서 화장실을 여러 번 들락거렸다.[13] 아는 사람들은 알겠지먼 루루 X와 같은 루루 시리즈는 변기가 모델인 카트바디다[14] 여기 또는 여기 참고.[15] 나머지 캐릭터들은 초대작 크레이지 아케이드나 미디어 믹스 BnB 어드벤쳐, 혹은 카트라이더 초기 버전에서의 이미지 컬러가 다르다. 단, 메인시리즈 4부작과 애니매이션만 놓는다면 다오마리드도 컬러가 바뀌지 않았다.[16] 크레이지 아케이드에서 럭셔리 에띠랍시고 나온 캐릭터는 에띠 본인이 아니다. 그의 여동생.[17] 버블파이터에 먼저 등장했고 이후 카트라이더에서 버파 콜라보 이벤트로 등장했다.[18] 이 외에도 남성형에 가까운 코스튬도 있지만 간호사 복 배찌나 교복 치마 배찌 등 사회 관념 상 여성형에 가까운 코스튬이 먼저 나오거나 상시 판매되는 경우가 많아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선 비교적 여성 쪽으로 보이게 하려는 묘사가 많다.[19] 그 예로 본래 카트라이더 배찌의 치마 교복 착용은 옛날 개발진 문의 답변에 의하면 남자이지만 이스터에그로 치마 착용을 넣었다는 여장 남자 설정이였으나 개발진 변경 이후로는 퀴즈에서 배찌가 남자가 아님을 공식적으로 보여 주었다.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문단에서 후술.[20] 이 부분을 좀 더 자세히 예를 들자면 시나리오 모드에서 배찌가 여성을 보고 호감 있어하는 묘사가 꽤 나오며 1번은 대 놓고 구준표를 패러디 한 적이 있어 남성으로 추측되는데, 이는 일러스트에서 여성 간호복을 입고 하트를 만들어내며 다오를 챙겨주는 커플링같은 묘사가 나오며 교복 치마도 입고 나온다. 때문에 행동으로 남성이나 여성으로 확정짓기에는 애매하다.[21] 현실에서도 타고 난 신체의 성별과 관련 없이 스스로를 남성이나 여성으로 구분 짓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일종의 제3의 성으로 취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치마를 입는 것이 젠더 룰을 따른 것이 아닌 그냥 배찌 본인의 패션 기호일 수도 있다는 것.[22] 다만 이 경우도 신체적인 것까지 포함되는 건지 아니면 정신적으로만 그렇다는 건지는 불명확하다.[23] 배찌가 중성이라는 답변은 재리 식사권 중간의 질의 응답 시간에도 나온 바 있다.[24] 배찌가 확실한 남성으로 묘사되는 미디어이기 때문에, 해당 작품 안에서 묘사되는 배찌는 성 소수자로 볼 수 없다.[25] 성별 문제와 별개로 밸런스 자체가 안 맞아서라는 말도 있다. 무지막지하게 빠른데 물풍선도 기본 2개이기 때문.[26] 말 그대로 배찌가 주캐라는 뜻. 근데 맨날 디지니만 쓴다 배찌 삭제빵 전에도 디지니만 쓰고 있었다.[27] 토르의 여체화 버전. 로키의 장난으로 붐힐 마을로 순간 이동 되면서 여자가 되었다. 한마디로 TS물.[28] 그러나 같이 동행한 다오, 디지니, 에띠는 멀린이 카멜롯 성의 옛날지도를 주는 바람에 길을 헤매느라 비중이 줄었다.[29] 정확히는 성 역할. 디자인 자체는 중성적이거나, 상황에 맞도록 유동적인 컨셉을 지키기 때문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07 15:33:32에 나무위키 배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