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만대군

덤프버전 :

분류

1. 100만 명의 병력을 갖춘 군대
3. 실제 전쟁에서 백만대군을 동원한 경우


1. 100만 명의 병력을 갖춘 군대[편집]


병력 수가 진짜 100만 명 이상인 군대를 의미한다. 물론, 병력 수가 많다고 해서 국방력이 강하다는 얘기는 아니다. 아무리 백만대군이어도 전투 방식이 반자이 돌격이라면 갈대 넘어가듯 쓰러진다.[1]

상비군이 100만 이상일 경우 등재되며, 해체되거나 100만 이하로 내려간 군대는 취소선 표시.

  • 소련군
    • 제 2차 세계대전 기간 중: 약 3,400만 명 동원.
    • 냉전 말기: 약 425만 8,000명.
  • 독일 국방군: 나치 독일이 패망할 때까지 약 1,800만 명이 복무했다.[2]
  • 러시아 연방군: 현재 약 150만 명.[3] 소련 해체 이후 대규모 군축을 겪었지만 여전히 백만대군을 유지 중이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사자가 너무 많이 발생해, 백만대군을 유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 중국 인민해방군: 약 260만 명.[4]
  • 국민혁명군: 약 200만 명 ~ 300만 명.[5]
  • 1980년대 베트남 인민군: 약 160만 명 ~ 200만 명.[6]
  • 인도군: 약 145만 5,550명.[7]
  • 미군
    • 제 2차 세계대전 기간 중: 약 1,600만 명 동원.
    • 현재: 180만명.
  • 조선인민군: 약 128만 명.[8]
  • 사담 후세인 정권 시기 이라크군: 약 100만 명.[9]


2. 호왈백만[편집]


그냥 병력이 많다는 것을 자랑하기 위해 부르는 호칭. 호왈백만 항목 참조.

3. 실제 전쟁에서 백만대군을 동원한 경우[편집]


  • 고대 중국의 수많은 대규모 전쟁들: 대부분은 호왈백만이었지만 기원전에 그 대부대를 편성한다는 것 자체가 대단한 것이다. 기원후까지 포함하면 고구려-수 전쟁처럼 호왈은 200만에 달하는, 실제로 백만 이상을 동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전쟁도 있다.

  • 몰락 작전: 미군 한정으로만 봐도 107만 4,600명의 초 대규모 부대가 참여할 예정이었다. 이건 호왈백만이 아니라 진짜 미군이 제대로 계획하고 실행 준비까지 들어갔다[10]. 그전에 일본이 항복하면서 계획으로만 끝나게 되었지만. 대신 소련군은 어느 정도 일본의 일부를 공격했다.

  • 독소전쟁: 양쪽 모두 수천만 명의 병력을 동원한,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의 단일 전쟁이다. 그야말로 두 국가의 모든 걸 쏟아부은 총력전으로서 전투 목록에 포함된 유사 이래 모든 전투들의 규모를 매기면 상위 10개 중 7개, 1~5위는 전부 아래의 독소전쟁에서 벌어진 전투였다.
    • 바르바로사 작전: 역사상 가장 많은 규모의 병력을 투입한 전투. 양측의 규모만 소련군 290만 명, 독일군은 400만 명으로 그야말로 최대급이다.
    • 베를린 공방전: 베를린 공방전에 동원된 소련군의 규모만 250만 명에 달한다.
    • 쿠르스크 전투: 규모적으로 세계 최대의 전투로서, 소련군만 191만 명, 양측의 병력을 포함시 200만이 넘는 대규모 병력과 6,000대의 전차, 4,000대의 항공기가 동원되었다.
    • 모스크바 공방전: 양측의 동원된 병력 규모만 독일군 190만 명, 소련군 120만 명이 동원되었다. 참고로 독일이 이 병력을 투입할 정도면 국력 전체를 갈아넣은 것이나 다름없다.
    • 스탈린그라드 전투: 역사상 최대 규모의 사상자를 낸 전투. 방어전에 소련군170만 명이 동원되었는데, 이 전투는 사상자도 백만을 넘겼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7:04:51에 나무위키 백만대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 이런 군대를 상대하라고 만든 게 바로 기관총.[2] 다만 이 수치는 독일군에 입대했던 병력의 총수로 전역하거나 전사, 또는 새로 입대하는 등의 변수가 있어 병력 수는 유동적이었다. 그래서 대전 직후 소련의 천만대군처럼 동시기에 1,800만 대군을 운용한 것은 아니다.[3] 러시아 국가근위대를 포함한 병력이다.[4] 무장경찰 포함 425만 명. 그래도 인구수 대비 0.5%도 안 된다는 게 함정. 사실 시기에 따라 군대 규모가 오락가락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지금보다 훨씬 많은 군대를 유지했었는데(물론 당시에 군대가 얼마 없는 좋은 직장이다보니 징병제를 시행 안 해도 인원 모집은 되었다.) 6.25 전쟁티베트 전쟁이 발발하였던 1950년 중반에는 513만 명이나 되었으며 중월전쟁 당시에 수백만이 넘는 대군을 동원하고도 문화대혁명의 여파로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덩샤오핑을 위시한 상층부에서 군인 수를 대폭 줄이고 그 대신에 남는 예산을 기계화에 집중하는 식으로 전략을 변경하며 병력수가 줄기 시작했고 이후로 걸프전쟁의 충격까지 겹쳐 지속적으로 기계화를 통한 전력향상에 집중하다보니 시진핑대까지도 지속적으로 감군을 한것이다. 물론 근본적으로 워낙 인구가 많다 보니 모병제를 시행해도 여전히 수백만이긴 하지만.[5] 휘하 군벌 소속 병력 포함. 국민당 직속 병력은 30만 명 선이었다. 물론 당시에도 인구는 세계 1위였다.[6] 현재는 482,000명의 병력을 유지 중이다.[7] 이쪽도 인구가... 애초에 이 나라는 중화민국 국민정부 시절부터 국부천대, 대륙 공산화 이후 74년간 1등이었던 중국을 꺾은 나라이니.[8] 사실상 징병 한계점에 도달한 병력 숫자이다. 국민 숫자가 25,887,045명인 상황에서 백만대군이기 때문에 사실상 노약자와 어린이 이외에는 대부분 군복무를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수치상으로는 백만대군이라 상당히 위협적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 가용 가능한 병력수는 적다. 과반수가 청년돌격대인데 이건 그냥 건설 노동자로 군대를 만든 것이다. 하는 일은 공병 건설 노동 뿐이다.[9] 현재는 193,000명의 병력을 유지 중이다.[10] 작전에 참여한 사상자에게 지급하는 훈장인 퍼플하트도 수십만 개를 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