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준

덤프버전 :



파일:백인준.jpg

1. 개요
2. 생애
3. 매체에서
4. 참고문헌




1. 개요[편집]


白仁俊, 북한의 작가, 정치인.

2. 생애[편집]


1920년 10월 27일, 평안북도 운산에서 태어났다. 1938년 평양고보를 졸업하고 연희전문에 입학하였으나 2학년 때 중퇴하고 일본에 유학하여 도쿄의 릿쿄 대학에 다녔으며 송몽규, 윤동주와 같은 하숙에서 알게 되었다. 학병으로 일본군에 징집되어 태평양 전쟁에 끌려갔다. 종전 후 살아서 귀국하여 1946년에 다시 고향으로 돌아갔는데, 고향이 북한이라 북한으로 간 것이겠지만 월북작가로 규정되어 남한에선 금기시된 이름이 되었다. 조선대백과사전의 기록에 따르면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지도원, 과장으로 사업했으며 정권기관 및 조선인민군 무화선전부문에서 일했다고 한다. 1947년 <그대를 불러 우리의 태양이라 노래함은>을 발표하여 김일성 우상화에 나섰다. 1947년에 첫 시집 <인민의 노래>를 발표했다.

남한 기록에 따르면 1949년 소련 유학을 간 것으로 되어 있는데, 조선대백과사전에는 6.25 전쟁이 터지자 군관으로 참전했다고 한다. 1952년 서정시 <크나큰 그 이름 불러>를 발표했다. 1953년 두번째 시집 <소박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내놓았다. 1956년 조선작가동맹 작가로 소속되었고, 작가동맹 평안북도 지부장, 영화문학창작사 작가를 역임했으며 1961년 세번째 시집 <벌거벗은 아메리카>를 내놓았다. 1955년 반미 선전선동을 위한 연극 <최학신의 일가>를 만들었는데, 이는 기존의 연극배우 황철, 리영 등으로부터 계급 투쟁의 필요성이 제기되지 않는 안일무사적인 무저항주의 사상이 드러나는 반동작품으로 큰 비판을 받았다. 하필이면 최학신의 일가를 높이 평가한 것이 고려인 기석복, 전동혁, 정률 등이었고 이들은 1955~1956년 사이에 모두 숙청되면서 위기를 맞게 되지만 1966년 12월에 김정일이 개입하여 최학신의 일가를 영화로 만들라고 지시하면 백인준의 편을 들어주었다. 수령 우상화에 열심이라 김일성 및 김정일의 총애를 받았는데, 1969년에는 아예 너무 위대한 김일성을 형상화하는 것은 개인의 힘으로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백두산창작단 창설에 참여, 1969년에 백두산창작단 소속 작가가 되었었으며 1972년 부단장으로 승진, 1973년에 단장으로 승진했다.

1971년 <수령님의 만수무강 축원합니다>를 발표, 1972년 4월 8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리기영, 리면상, 천세봉, 리지찬, 김석형, 리상벽, 전금선, 최익규, 리단, 박학 등과 함께 김일성상의 1차 수훈자로 선정되었다. 12월 29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꽃파는 처녀 창작의 공을 인정받아 박학, 최익규, 서옥린, 황룡수와 함께 로력영웅 칭호 및 마치와 낫 금메달, 국기훈장 제1급 받았다. 1976년 <김정일동지의 건강을 축원합니다>를 발표하는 등 김정일 우상화에도 나섰고 1977년 12월, 6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 1998년 10기까지 5선 대의원을 지내게 된다. 1977년 영화문학 <누리에 붙는 불>을 집필하였으며, 1978년 김정숙 우상화 영화 <사령부를 멀리 떠나서>를 집필했다. 1980년 5월 16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김일성훈장을 받았다. 1980년 10월, 조선로동당 제6차대회에 참석, 문화예술부 당 조직 대표로 토론하였으며, 1982년, 김정일, 김정숙 우상화 송가 및 영화 <장군님은 조선의 운명>, <미래를 꽃피운 사랑>, <친위전사> 등을 발표했다.

1986년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중앙위원장에 선출, 1986년 4월, 천세봉 장의위원을 지냈다. 1986년 12월 27일 조선로동당 6기 12중전회에서 당중앙위원회 위원으로 보선되었다. 1987년 영화 민족의 태양 1부와 려명 전후편를 집필, 1990년 5월, 최고인민회의 9기 1차 회의에서 려연구와 함께 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 부의장 겸 의장에 선출되었다. 부의장 재임 중에도 1991년, 민족의 태양 5부를 집필하였다. 1992년 7월, 홍기문 장의위원을 지냈으며 1993년 최후의 시집 <백인준시선집>이 나왔다. 1993년부터 범민련 북측본부 의장에 선출되어 1998년까지 재임하였으며 1994년 7월, 김일성 장의위원, 1995년 2월, 오진우 장의위원을 지냈다. 1995년,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 조국통일상을 받았다. 1996년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96년 2월, 리승기 장의위원, 1996년 6월, 려연구 장의위원을 지냈다.

1998년 7월, 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 1998년 9월 5일 최고인민회의 10기 1차 회의에서 김일성헌법으로 수정보충이 이루어지면서 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 부의장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얼마 가지 않아 1999년 1월 20일 3시에 78세를 일기로 '불치병'으로 사망했다. 당중앙위원회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연명으로 부고를 발표, "백인준동지는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품속에서 문학예술부문의 일군으로 자라나 우리 당의 주체적인 문예방침을 관철하기 위하여 헌신적으로 사업하였다. (...) 동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와 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중요한 직책에서 인민정권을 강화하고 문학예술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적극 투쟁하였으며 조국통일범민족련합 북측본부 의장으로서 민족의 대단결과 조국의 자주적통일을 이룩하기 위하여 정력적으로 사업하였다. 백인준동지는 생명의 마지막순간까지 당과 수령에게 무한히 충실하였다."라고 좋게 말해주었다. 이후 시신은 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직함으로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오늘날까지 북한에서 대문호로 칭송되고 있다. 2023년 4월 1일자 로동신문은 "주체문학예술발전에 크게 기여한 세계적인 대문호: 전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백인준선생"이란 기사를 게재하여 그의 생애를 기렸다.

3. 매체에서[편집]



4. 참고문헌[편집]


  • 전영선(2009), 백인준의 수령형상화와 계급성 논쟁: <최학신의 일가>를 중심으로, 남북문화예술연구 5.
  • 조선대백과사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7:56:20에 나무위키 백인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