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일 잔치

덤프버전 :

[include(틀:다른 뜻1, from=백일, other1=일본 밴드 King Gnu의 음악, rd1=白日
)]
개인 기념일

[ 펼치기 · 접기 ]
1세
첫돌
60세
이순
耳順
61세
환갑
還甲
62세
진갑
進甲
66세
미수
美壽
70세
고희
古稀
77세
희수
喜壽
80세
산수
傘壽
88세
미수
米壽
90세
졸수
卒壽
99세
백수
白壽
100세
상수
上壽
생일
결혼기념일
백일잔치
기일




1. 개요
1.1. 백일 날짜의 계산
2. 탄생 배경
3. 타문화에서



1. 개요[편집]


한국에서 신생아 출산후 100일이 되는 날 하는 잔치. 일종의 전통문화다.

보통 3세 이전의 일은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에 성인들 중 자신의 100일 잔치를 기억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평균적으로 100일을 맞은 아기는 키가 60cm 정도이고 몸무게는 7kg 정도이다.

아기의 100일은 놀라운 비밀이 한 가지 숨어 있다. 아기가 엄마 뱃 속에 있던 280일과 태어난 이후의 100일의 시간을 더한 380일이란 시간에 배란일 15일을 빼면 365일이란 1년의 시간이 나온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기의 100일은 엄마 뱃속에서 만들어진 이후 부터 딱 1년이 된다.[1] 개인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아기들은 이 시기부터 목을 가누고 뒤집기를 하기 시작한다. 드물게 백일잔치를 하기 전에 이민을 간 아기들은 자신이 태어난 나라의 언어를 아예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각종 포털 사이트의 100일 계산기는 아기가 태어난 날을 기준일로 두고 계산하므로 100일 잔치를 하는 날은 보통 아기가 태어난 요일에서 하나 뒤가 된다. 아기가 일요일에 태어났다면 월요일, 월요일에 태어났다면 화요일, 화요일에 태어났다면 수요일, 수요일에 태어났다면 목요일, 목요일에 태어났다면 금요일, 금요일에 태어났다면 토요일, 토요일에 태어났다면 일요일이 100일이 되는 셈이다. 물론 21세기 들어서는 백일이 평일이라면[2] 주말로 당기거나 늦추어서 잔치를 치르는 경우가 많다.

9월 24일~12월 31일에 태어난 아이들은 해를 넘기고 나서 백일잔치를 하게 된다. 예를 들면 10월 31일 할로윈에 태어난 아기는 다음 해 2월 7일, 11월 11일 빼빼로 데이에 태어난 아기는 다음 해 2월 16일,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태어난 아기는 다음 해 4월 3일[3]에 백일잔치를 한다. 또한 11월 22일~2월 28일 사이에 태어난 아기는 평년이냐 윤년이냐에 따라 백일 날짜가 달라진다. 봄에 백일잔치를 한 사람이라면 이런 경우에 해당되며, 크리스마스 이브, 크리스마스, 새해 첫날에 태어난 아기는 부활절에 백일잔치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1939년 10월~1940년에 태어난 사람들은 조선 이름으로 태어났으나 아기 때 창씨개명을 하면서 일본 이름으로 백일잔치를 치렀다. 1950년 3월~1953년 4월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은 6.25 전쟁 도중에 백일잔치를 치러야 했다. 2000년 9월 23일생은 20세기에 마지막으로, 2000년 9월 24일생은 21세기에 최초로 백일잔치를 치른 사람들이다. 추석에 태어난 사람은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다음해에 치르는 경우도 있고, 그 해에 치르는 경우도 있다. 그 해에 치르는 경우 12월[4], 다음 해에 치르는 경우는 1월[5]이 된다. 또한 8월 5일~8월 11일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은 백일잔치를 수능날 치르는 경우도 있다.


1.1. 백일 날짜의 계산[편집]


한국의 국경일, 공휴일, 명절, 주요 기념일[6], 주요 스포츠 행사의 개막 및 폐막일, 주요 학교 개교 또는 주요 시설의 개장, 주요 노선의 개통일, 주요 사고 발생일, 주요 시험의 시행일[7], 유명인의 생일과 그 날 태어난 사람의 백일은 다음과 같다.


2. 탄생 배경[편집]


이 100일 잔치가 생긴 이유는 과거엔 의료 기술의 부족으로 영아사망이 잦았기 때문이다.[14] 그래서 100일을 잘 견뎠으니 하늘이 도우셨다고 해서 잔치를 한것. 의학이 발달한 요즘에는 의미가 없지만 오랜 세월 굳어진 관습이라 아직도 유지되고 있다.

요즘엔 시끌벅적한 잔치 대신 기념사진 촬영이나 아주 가까운 친족과의 식사 등으로 대체되지만 탄생 100일을 축하하는 의미는 여전히 그대로다. 아울러 떡을 맞춰서 주변 지인에게 돌리는 풍습도 이어지고 있다.[15]

3. 타문화에서[편집]


  • 동아시아에는 서구의 의학이 이식되기 전까지 근대적인 의학이 없었기 때문에 불과 150년 전만 해도 영아사망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일본과 중국에도 한국의 백일잔치와 유사한 기념일이 존재한다.
    • お食い初め(오쿠이조메)라고 하여 일본에서도 출생 후 100일째 되는 날을 기념하는 문화가 있다. 아기가 장수하고 많은 음식을 먹을 수 있기를 기원하며 성대한 한상차림을 (주로 아기의 외가 쪽에서) 준비한다. 특히 튼튼한 치아를 기원하며 딱딱한 음식들을 많이 준비한다. 그러나 상징적일 따름이고, 100일 된 아기는 아직 치아가 발달하지 않아 유동식밖에 못먹는다.
    • 중국의 경우 满月(만웨[17])라고 하여 20세기 이전까지는 아기가 태어난 후 첫 보름달 밤을 기념하며 가족이 식사를 하는 문화가 있었는데, 이것은 아기가 태어난 후 30일을 채우지 못하고 사망하는 일이 많아서였다. 현대에 들어와 아기가 한달만에 죽는 경우는 잘 없으므로, 오늘날 중화권에서는 满月를 출생후 100일에 지키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백살 동안 살아라'는 의미가 부여된다. 이때, 배냇머리를 잘라서 그것으로 붓을 만들어주면 공부를 잘한다는 미신이 있어서 이것을 많이 선물한다. 胎毛笔(타이마오비)라고 한다. 만웨는 특히 싱가포르, 홍콩 등에서 많이 지킨다.[18]##
      • 특히 중국의 북방에서는 첫 아기의 만웨를 여성의 처녀성이 완전히 상실되는(쉽게 말하면 빼박 아줌마) 시점으로 본다. 이와 같이 아기의 출생 후 일정 시간이 지난 것과 여성의 속박을 결부시키는 것은 고대 몽골 부랴트족 신화[16]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오늘날 이 지역에서 첫 아기 탄생 100일 잔치의 모습은 결혼식의 모습을 닮아있되, 대체로 신랑 없이 신부와 아기만 사진촬영을 한다.
    • 판다의 경우 다른 곰과 동물과 다르게 미숙아로 태어나기 때문에 갓난아기 때 사망률이 높아 100일을 맞을 때 이름을 지어주는 관례가 있다. 에버랜드 판다월드푸바오(福宝)도 이 때 이름이 결정되었다.

  • 서유럽과 북유럽의 개신교 문화권에서는 100일을 전후하여 아기에게 세례를 준다. 루터교와 성공회가 대표적으로 3개월 혹은 100일을 전후하여 유아세례를 주는 교단이다. 유럽 개신교 문화권에서 100일을 전후하여 세례를 주는 것은 실용적인 이유에 따라서이다. 100일 정도 되면 아기가 어느정도 몸을 가눌 수 있고 몇시간 동안 먹고 싸지 않고 잠을 자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에 세례를 받는 과정에서 진행되는 전례(주로 1시간정도) 동안 '버틸' 수 있다.[20]
    • 반면 다만 가톨릭의 교회법에서는 세례를 최대한 일찍 받도록 하기 때문에 1주일 내지 2주일 된 아기가 세례를 받기도 한다. 제2차바티칸공의회 이전의 가톨릭 교리에서는 아기가 세례를 받지 않고 죽으면 구원이 배제되지는 않지만 확정되지는 않는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영아사망률이 높았던 시기에는 이와같은 '불안한 상태'(limbo)를 피하기 위해 최대한 빨리 영아세례를 주려고 했던 것이고, 이것이 가톨릭 문화와 교회법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19]
  • 지금은 그런 문화가 없어졌지만 옛날에는 레지던트 1년차들이 100일동안 병원 밖을 나가지 못하는 백일당직을 하기도 했다. 일명 "전공의 신고식"이라고 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07:27:18에 나무위키 100일 잔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를 들어 아기 100일이 2005년 12월 31일 토요일인 경우 수정일은 1년전 이날인 것이다. 따라서 수정일은 2004년 12월 31일 금요일이 된다.[2] 즉, 아기가 일요일~목요일에 태어난 경우.[3]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 4월 2일.[4] 성탄절이나 박싱 데이, 12월 31일에 백일잔치를 치렀다면 이 경우를 의심할 수 있다.[5] 추석이 10월인 해일 때 추석에 태어났다면 백일잔치는 무조건 1월에 치른다.[6] 라마단 등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언제든 백일이 될 수 있고, 언제 백일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제외.[7] TOEFL, TOEIC, TEPS, G-TELP, FLEX, OPIc, TOEIC Speaking, TEPS Speaking 등 매달 시행되는 시험과 수시로 시행되는 시험은 제외.[8] 윤년의 경우에만 4월 28일이 나올 수 있음[9] 테라와다 불교에서 기념하는 음력 4월 15일 기준으로는 8월 12일~9월 13일.[10] 어린이날이 5월 첫째 주 월요일로 바뀔 경우 어린이날에 태어난 아기는 8월 8일~8월 14일 사이에 백일잔치를 한다.[11] 현충일이 6월 첫째 주 월요일로 바뀔 경우 현충일에 태어난 아기는 9월 8일~9월 14일 사이에 백일잔치를 한다.[12] 한글날이 10월 둘째 주 월요일로 바뀔 경우 한글날에 태어난 아기는 1월 15일~1월 21일 사이에, 9월 30일로 바뀔 경우 1월 7일에 백일잔치를 한다.[13] 과거 수능 일정이 빨랐던 시절에는 수능날 태어난 아이의 백일이 2월 13일~2월 19일 사이였다. 2010년 수능날 태어난 아기는 2011년 2월 25일에, 2017년 수능날 태어난 아기는 2018년 3월 2일에, 2020년 수능날 태어난 아기는 2021년 3월 13일에 백일잔치를 치렀다.[14] 그 때문에 어르신들의 이름 중에는 '길 영(永)' 등 장수를 기원하는 글자가 많았고, 가장 흔한 이름은 '영수'였다. 이는 영수의 한자 표기 중 永壽가 있는데 장수를 기원하는 글자들이기 때문. 영수 외에도 영호, 영식, 영철, 영길, 영일 등이 인기 이름이었다.[15] 백일떡은 단순한 답례품 이상의 뜻이 담겨 있다. 아이의 장수와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떡을 만들어 이웃과 나누던 풍습이다. 예전에는 떡을 100개 만들어서 100명에게 돌려야 아이가 100세까지 살 수 있다는 미신이 널리 퍼져 있었다. 그리고 떡을 받은 사람은 아이의 부모에게 쌀이나 돈, 명주실을 답례로 보내주는 풍습도 있었다.[16] 한국에서 선녀와나무꾼 설화로 변형되어 이어져온다.[17] 관화 기준. 외래어표기법상으로 만웨라고 적고, 병음으로는 mǎnyuè로 읽는다. '만유에' 혹은 '만위에'에 가깝다[18] 다만 대륙의 경우 이러한 문화가 많이 사라졌고 화교 커뮤니티에서는 이러한 전통이 남아있다.[19] limbo는 한국의 천주교에서는 고성소라고 표현하는데, 가톨릭 교회의 공식 교리가 아닌데도 민간에서 너무 만연하게 신앙하고 있는 것중에 하나이다. [20] 그 이전에 아기는 쉴새없이 먹고 자고 토한다. 만약 모유수유를 한다면 세례식이 진행되는 교회에서 모유수유를 해야한다는 것인데 부모가 원치 않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