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멸망/의자왕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문서는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유즈맵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국사의 사건에 대한 내용은 백제멸망전 문서
백제멸망전번 문단을
백제멸망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백제 멸망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백제 멸망/백제팀

1. 개요
2. 전체적인 플레이방법
3. 영웅 운용법
4. 초보라면?


1. 개요[편집]


백제팀의 기본 전략을 의자왕이 정하고 나머지 백제팀원들이 이 의자왕이 정한 전략에 맞추어서 게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의자왕은 그 어떤 백제팀원보다 가장 중요하다.

의자왕은 계백과 더불어 극초반부터 보유한 성들이 죄다 적들로부터 공격을 받는 위치에 있는데, 사비, 웅진 등의 의자왕이 보유한 성들은 나주를 제외하고는 하나같이 버리면 안되는 중요한 성이기 때문에, 이 요새들을(맨 처음에는 사비성) 극초반부터 지키기 위해 방비를 해야 하며 적과 싸워야 한다. 여기에 백제멸망 중 의자왕 다음으로 중요한 영웅인 부여풍까지 무사히 임존으로 보내야 한다.[1]

이상의 임무를 게임 시작부터 짊어진다. 그리고 백제팀 전체가 협동해서 하는 극초반 전략들에서도 의자왕의 비중은 크며 할일이 제일 많다.[2] 그렇기에 백제팀에서 의자왕의 비중은 어마어마하다.

백제 멸망을 해본 사람들은 이걸 알고 있기에 다른 역할은 몰라도 의자왕만큼은 그 플레이어의 실력을 파악하고 게임을 시작한다. 백제멸망의 방에서 '의자왕만큼은 텟을 봐야 한다' 라고 말하는 유저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이는 의자왕이 못하면 방이 1~3분만에 깨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의자왕이 못하면 캐리가 매우 힘들며, 초반의 의자왕이 비중은 게임 중에 해야 할 일을 알려주는 것만으로 어떻게 해볼 수 있는 수준의 비중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의자왕은 백제팀 중에서도 가장 고수가 해야 하며 절대로 초보가 잡게 해서는 안된다. 의자왕은 계백, 흑치상지, 연개소문과 달리 아무것도 안하면 시작한지 1~2분만에 털리기 시작한다. 초보가 잡으면 당연히 멘탈이 나가며, 백제팀이 게임을 할 의욕을 잃고 리방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으니 가급적이면 초보에게 이 역할을 주지 말자.

  • 의자왕 - 페닉스(드라군). 이 영웅은 4개의 병력소환 이벤트가 있다. 1.서쪽의 금강 위에 가면 다수의 히드라가 생긴다. 2.당항성에 가면 질럿이 생긴다. 3.금성서쪽의 돌기둥에가면 대량의 군사가 생성된다. 4. 관산성에 가면 벌처가 생성된다
  • 부여풍 - 리버. 스캐럽을 일일이 채워야 한다. 이 영웅은 1개의 병력소환 이벤트가 있다. 1. 흑치상치가 있는 임존성 안쪽 배럭으로 이동시키면 부흥운동 이벤트로 병력과 함께 계백 플레이어의 도침 영웅, 흑치상지 플레이어의 복신 영웅이 소환된다.
  • 부여효 - 다크 아칸. 마엘스트롬으로 적 유닛을 일시 마비시킬 수 있다. 의자왕 플레이어의 영웅 중 가장 활용성이 높은 영웅이다.
  • 성충 - 태사다르. 스톰을 지질수 있고 직접 전투도 가능한 고위 기사 태사다 영웅.
  • 흥수 - 앨런 셰자르 골리앗
  • 부여태 - 시즈 탱크 시즈 모드를 풀 수 없는 탱크. 사비성에 배치되어 있다.

의자왕 트리거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


2. 전체적인 플레이방법[편집]


첫턴 황산의자나 3분 금성트리거 전략이 아니라면 의자왕은 게임 시작하자마자 2분 안[3]에 이걸 다 해야 한다.

  • 의자왕은 금강트리거를 발동.
  • 부여풍은 임존으로 빨리 내달릴 것
  • 사비성의 성문과 병력을 정리 및 생성하여 배치하여 사비성을 방비. (자세한 방어법은 백제 멸망/백제팀 항목 참고)
  • 나주 병영을 가능한 한 빨리 띄워서 살려주자.[4]
  • 술천 성문을 띄워 트리거를 위해 내려오는 흑치상지, 연개소문의 길을 확보해주고 임존으로 향하는 부여풍이 술천성을 도는 일이 없게 할 것
  • 웅진 성문을 빠르게 띄워 백제를 지원하기 위해 남진하는 연개소문의 병력의 통로확보
  • 금강트리거 병력을 사비성 수비에 쓸지, 아니면 공격받는 웅진성 수비에 쓸지, 혹은 극초반 의자왕의 금성트리거 발동, 부여풍 테러 의도 확인시 테러방지 등을 위해 사용할지 결정하고 이들을 신속히 배치.[5]
  • 부여효, 성충, 흥수도 고구려 궁병과 비슷한 이유로 사비성 수비에 동원할지 말지는 선택이다. 그러니 이들은 극초반에 어떻게 쓸지 결정한 후 이들을 배치한다. 만약 이들을 사비성 수비에 쓰기로 결심하였다면 이는 각 성 수비요령의 사비성 항목을 참고하기 바란다.
  • 만약 소정방이 사비 트리거를 발동시키고 부여풍을 테러하러 한다면 부여풍을 사수할 것.

보면 알겠지만 다른 역할과 달리 극초반에 할 일이 매우 많다. 당장 각 성 수비요령의 사비성 항목을 보면 사비성 방비만 해도 할 일이 어마어마하게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모두 할 자신이 없다면 사비성 수비, 금강트리거, 부여풍 존버 이 3개를 우선적으로 해주자. 초보는 저 3개, 특히 사비성 수비만으로도 벅차다.

시작한지 약 2분이 지난 후에는 이걸 해야 한다.[6]

  • 부여풍이 안전하게 임존까지 배달. 이때 신라팀이 부여풍을 테러하려는 의도가 없는지 유심히 확인해라.
  • 사비성이 뚫리지 않았다면 사비성의 수비를 강화하고 슬슬 술천성이나 웅진성도 방비준비. 이때 관산성, 당항성 트리거 병력을 잘 활용할 것.
  • 모든 성문은 상황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곳에 배치[7]. 나주 병영을 살리는 데 성공했다면 나주 병영을 올려서 적합한 곳에 배치시킨다.
  • 11시 병영은 평양쪽에 내려서 연개소문의 수곡성 수비를 도와주어야 한다. 의자왕은 병영이 무려 5개인데 11시 병영을 제외한 4개 병영은 임존으로 투입이 쉽기 때문에 11시의 1병영은 연개소문을 지원하는 것이 좋다. 단 연개소문의 세력이 너무 일찍 밀려서 가망이 없거나 흑치상지가 임존성을 본인이 수비하지 않거나 잘 수비하지 못한다면 11시 병영도 임존성 수비를 위해 투입할 수도 있다. 이는 선택이다.
  • 금성트리거는 초반이 아니면 시도하지 말자. 신라가 조금이라도 할줄 알아도 김춘추는 이미 기벌포에 들어갔고, 금성을 털어봐야 별 소득도 없다. 오히려 눈치빠른 소정방에게 싸먹힐 수도 있다.
  • 종합적인 상황판단[8]을 통해 어떤 전략을 할 때 가장 유리한지를 결정. 특히 임존의자를 할지의 여부는 늦어도 게임시간 40분이 되기 전까지 정하고 그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오더를 해야 한다.[9]

실제로 의자왕을 플레이해 보면 초반에 채팅칠 여유조차 없다. 직접 해보면 왕관의 무게가 실로 어마어마함을 몸소 느끼게 될 것이다. 초중반이 지나가면 결국 의자왕의 영역은 죄다 함락되기 마련이기 때문에 중후반부터는 극초반이나 초중반에 비해서 매우 널널해진다. 만약 저 위의 플레이들을 모두 할 자신이 없다면 최소 부여풍 임존배달, 웅진성 수비, 의자왕 존버거점 선택 이 3개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자.

중후반부터는 평양의자의 경우 대부분의 병력을 수곡성에 배치하여 수곡성을 필사적으로 방비한다. 여기에 임존의자의 경우에는 임존성 1층 언덕 왼쪽 위 구석[10]과 마당쪽, 임존 안 등에 틈이 나면 병영을 내려 놓아 흑치의 수비를 도와준다.


3. 영웅 운용법[편집]


부여효는 상대방의 영웅을 잡기에 매우 좋은 영웅이다. 따라서 극초반부터 적극적으로 활용해주어야 한다. 부여효로 적의 영웅이나 책사를 묶고가끔 잡고있는걸 도와주겠답시고 같이 마엘 거는 의자들이 있는데 매우 빡친다 계백, 연개소문 등과 연계하여 적의 영웅이나 책사를 자주 노려주면 좋다. 임존의자나 황산의자인 경우 부여효+도침의 조합은 해당 성들을 수비해준다. 영웅이나 책사 뿐만이 아니라 임존 등에서 적의 트리거에 대처할 때도 사용해주자.

흥수는 의자왕 진영에서 의자왕을 제외한 유일한 원거리 딜러 유닛이다. 상대방의 영웅을 견제해주자.

성충은 태사다르지만 맵 자체 스톰 효율이 별로라(...) 몸빵용으로 더 많이 쓰게 된다.

부여풍은 임존의자 때 가장 유용한 유닛이다. 다만 2층에 놔둘 경우 필시 밀집대형을 흐트러트려서 성안 유닛들이 꼬이게 되니 회복로만 확보해두고 1층 언덕에 배치한다.


4. 초보라면?[편집]


의자왕이 해야 할 일은 매우 많은데 그것들을 매우 신속하게 해야 해서 손도 빨라야 하며 잘하는 플레이어의 말을 듣고 행동을 하면 이미 늦는다.[11] 따라서 초보이면 가능한 한 의자왕을 하는 것을 가급적 피해야 하나 만약 하였다면 아래의 것들만이라도 기억해라.그냥 의자를 초보한테 안 주는게 제일 편하다

  • 극초반 - 부여풍 임존으로 존버, 의자왕의 금강트리거, 사비성수비
  • 초중반 - 부여풍 안전하게 배달, 의자왕 존버위치 정하기, 웅진성 수비[12]

초반에 황산의자가 아닌 이상은 절대로 사비성과 웅진성을 버리면 안된다.
이후에는 수곡성 등에 꾸준히 병력을 지원해주고, 부여효를 잘 써주자. 이것들만 잘해도 초보소리는 듣지 않을 수 있다.

[1] 부여풍이 임존 트리거 전에 죽으면 병력지원 트리거 3개 + 계백의 도침 + 흑치상지의 복신의 소환이 불가능하게 되어 백제팀이 크게 불리해지게 된다. 여기에 부여풍 트리거로 나오는 병력과 도침, 복신 트리거로 나오는 병력을 합치면 대략 7~9부대 정도는 되는데 이 병력들 소환도 불가능해지는건 덤이다.[2] 당장 3분 금성트리거 항목과 극초반 소정방봉쇄 항목에서 의자왕이 해야 할 일들을 봐보자. 다른 역할에 비해 할일과 판단해야 할 게 비교가 안된다.[3] 게임시간은 실제 시간보다 빠르게 흘러가기 때문에 실제시간으로 환산하면 약 80~90초 정도이다.[4] 소정방이 작정하면 못 살릴수도 있다.[5] 단 소정방이 3분 사비 전략을 했을 때 이들이 사비성 수비에 동참해주지 않으면 사비성이 3분 안에 뚫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고구려 궁병의 상성이 소정방 병력에 좋지 않다는 점과 극초반 고구려 궁병은 부여풍 테러나 웅진 3분 함락, 금성트리거에 동원 등 사비성 사수 외에 다른 중요한 일에 쓸 수도 있기에 금강트리거로 나온 고구려 궁병을 극초반에 어떻게 쓸지는 의자왕의 선택이다.[6] 황산의자 시에는 황산의자 부분을 참고[7] 술천성이 제일 무난하다 성 자체가 소정방 진격하는 길목을 적절히 막고 입구가 좁아서 스웜이 없으면 뚫기 어렵기 때문 무엇보다 사비 방어를 하게 될 경우엔 사비가 반쯤 뚫렸을 때 성문 배치를 해도 늦지 않아서 여유롭게 가능하다 [8] 게임 상황, 백제팀과 신라팀의 실력 등[9] 왜냐하면 그 시간대가 되면 보통 술천성과 거물성이 버티지 못하고 털리며, 이는 즉 웅진성 함락도 얼마 남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10] 신경써서 관리하자 아차하면 검샷에 배럭 피가 간당간당해진다[11] 2분 안에 5가지 이상의 일을 해야 하며 특히 사비성 수비를 위해서만 해야 할 일도 엄청 많다. 말을 듣고 차근차근 하나씩 할 시간이 매우 부족하다.[12] 술천은 버려도 웅진은 무조건 사수하자. 웅진이 술천보다도 더 중요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8:02:58에 나무위키 백제 멸망/의자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