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철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뻐꾸기 둥지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백철(뻐꾸기 둥지) 문서
백철(뻐꾸기 둥지)번 문단을
백철(뻐꾸기 둥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백철(1956) 문서
백철(1956)번 문단을
백철(1956)#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백철
白鐵


파일:백철.jpg

본명
백세철(白世哲)
창씨개명
시라야 세이테츠
白矢世鐵
시라야 테츠오
白矢鐵雄
시라야 테츠
白矢鐵
출생
1908년 3월 18일
평안북도 의주군 월화면 정산동#
사망
1985년 10월 13일 (향년 77세)
서울특별시
본관
태인 백씨
직업
시인, 문학평론가, 교수
학력
신의주고등보통학교 (졸업)
도쿄고등사범학교 (영문학과 / 졸업)

1. 개요
2. 생애
3. 휴머니즘론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본명은 백세철(白世哲)로, 백철은 필명이다.


2. 생애[편집]


1908년 평안북도 의주군 월화면 정산동#에서 소지주 백무근(白茂根)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렸을 때는 한동안 향리 서당에서 수학하다가 1921년 평안북도 용천군의 입성학교 4학년에 입학했다가 중퇴하고 1922년 5월 에 입학하여 1926년 수석으로 졸업했다. 1927년 3월 일본 도쿄고등사범학교 영문과에 입학한 후 1931년 졸업하였다.

일본 유학시절 '일본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NAPF)'에서 활동하였으며, 귀국 후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KAPF) 에서 활동한다. 이 시기 <농민문학문제>, <문예시평>, <창작방법문제> 등 농민문학과 창작방법론에 대한 평론을 발표하였으며, 해외문학파와의 논쟁에 참가하여 카프의 입장을 대변했다. 또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처음 문단에 소개하여 이와 관련된 논쟁에 불을 지폈다. 카프 2차 검거사건 때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기소되었으며, 카프 해산 이후 전향하였다.[1]

전향 후 그는 카프시절의 도식성을 비판하며, 휴머니즘론[2]을 제창하고 이에 기반을 둔 리얼리즘론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40년대에 접어들면 <낡음과 새로움> 같은 평론을 통하여 본격적인 친일반민족행위자 활동을 시작한다.[3]

해방 이후에는 『문학개론』(1947)이라는 이론서와 『조선신문학사조사』(전 2권, 1947~1949).[4]이라는 한국 근현대문학사를 편찬하였다. 그리고 서울대학교, 중앙대학교 등의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1957년 미국 예일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에 교환교수로 가면서 뉴크리티시즘(신비평주의)을 접하고 이를 한국에 소개하였다.

평론가 백철과 관련하여 김윤식 교수는 『백철 연구』에서 "어떤 이데올로기라도 금세 받아들이고 내팽개쳤던 ‘웰컴주의’ 평론가"였다고 평가하였다. 아울러 해방 전 그의 글쓰기에 대해서 "참을 수 없이 조급한 글쓰기"라고 명명하고, 해방 이후 그의 글쓰기에 대해서 "한 없이 지루한 글쓰기"라고 명명하였다.


3. 휴머니즘론[편집]


휴머니즘론이란 1935년 파리에서 파시즘에 맞서 문학가들이 제창한 문학 사조로, 주로 국내에서는 중간파작가들이 많이 받아들였는데 백철은 이런 휴머니즘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사람중 한명이었다.

그의 휴머니즘론이 가장 체계적으로 설명된 글은 「지식계급의 변호」(1937)이다. 그는 이 글에서 휴머니즘을 ‘코뮤니즘적 휴머니즘’, ‘국민주의적 휴머니즘’ 그리고 ‘지식계급의 휴머니즘’의 세 가지로 나눈다. 코뮤니즘적 휴머니즘이 주로 ‘최하층의 계급’, 국민주의적 휴머니즘이 ‘최상층의 계급’에 그 계급적 기반을 두고 있다면, 지식계급의 휴머니즘은 ‘중간계급’을 자신의 계급적 기반으로 한다고 정의한다. 그 중 백철은 지식계급의 휴머니즘이 조선의 휴머니즘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는데, 그 까닭은 조선의 지식계급은 지식계급의 휴머니즘을 내세운 프랑스의 지식계급과 동일한 상황에 처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백철은 지식계급의 휴머니즘을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한다. 첫째, 지식계급의 휴머니즘은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입각해야 한다. 파시즘이 창궐하고 좌익세력이 급속히 퇴각하고 있는 위기상황에 적극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것은 자유주의 이데올로기밖에 없다는 것이다. 둘째, 지식계급의 휴머니즘은 문화를 자신의 고유한 영역으로 삼는다. 이는 지식계급의 역할이 문화의 지도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백철의 휴머니즘론이 내세우는 탈정치주의의 근거가 여기에 있다. 셋째, 지식계급의 휴머니즘은 “분열된 개인을 종합하고 분열된 자아의 지성을 종합하여 지성을 재생하려는 태도요 또 행위”이다. 이러한 백철의 휴머니즘론은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입각하고 중간층을 계급적 기반으로 한 탈정치적이고 지식인 중심적인 문화주의의 한 표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프로문학측은 거센 비판을 가하면서 반파시즘 문학전선의 통일을 위한 휴머니즘론을 수립하려는 모색을 벌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8:55:00에 나무위키 백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래서 북한에서의 평가는 변절자로 낙인찍혔으며. 그렇기에 친일문학을 한 건 당연하다는 식으로 기술한다.[2] 다만 이건 좀 잘못된 설명인게 휴머니즘론은 유럽의 작가들이 파시즘에 대항하기 위해 제창한 사조이고, 백철은 이를 들여온 것이다. 전향한 이후에 한 친일활동은 아니다. [3] 이로 인하여 친일인명사전에 그 이름이 등재되었다.[4] 주로 외국 문학사조의 유입과 이를 수용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