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최근 편집일시 : (♥ 5)



버락 오바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평화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1901 ||<-2> 1902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40]]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40]] || || [[앙리 뒤낭]] || 프레데리크 파시 || [[엘리 뒤코묑]] || [[샤를 알베르 고바]]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03 || 1904 || 1905 || 1906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width=40]] || || 윌리엄 크리머 || 국제법학회 || [[베르타 폰 주트너]] || [[시어도어 루스벨트]]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1907 ||<-2> 1908 ||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40]]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40]] || || 에르네스토 모네타 || 루이 르노 || 클라스 아르놀드손 || 프레데리크 바예르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1909 || 1910 || 1911 ||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40]] || -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width=40]] || ||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 국제평화국 || 알프레트 프리트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11 || 1912 || 1913 || 1917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40]] || [[파일:적십자 기.svg|width=40]] || || 토비야스 아서르 || 일라이휴 루트 || 앙리 라퐁텐 || [[국제적십자위원회]]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19 || 1920 ||<-2> 1921 ||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40]]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40]] || || [[우드로 윌슨]] || 레옹 부르주아 || [[얄마르 브란팅]] || 크리스티안 랑에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22 ||<-2> 1925 || 1926 ||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 [[프리드쇼프 난센]] || [[오스틴 체임벌린]] || [[찰스 G. 도스]] || [[아리스티드 브리앙]]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26 ||<-2> 1927 || 1929 || ||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 페르뒤낭 뷔숑 || 루트비히 크비데 || [[프랭크 켈로그]]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30 ||<-2> 1931 || 1933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 나탄 쇠데르블룸 || [[제인 애덤스]] || 니콜라스 버틀러 || 노먼 엔젤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34 || 1935 || 1936 || 1937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40]]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 아서 헨더슨 || [[카를 폰 오시에츠키]] || 카를로스 라마스 || 로버트 세실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38 || 1944 || 1945 || 1946 || || [[파일:국제연맹 기.png|width=40]] || [[파일:적십자 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난센 국제난민 사무국 || [[국제적십자위원회]] || [[코델 헐]] || 에밀리 발치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9 || 1950 ||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Quaker_star-T.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 [[존 모트]] || [[퀘이커(종교)|퀘이커 봉사협회]] || 보이드 오어 || 랠프 번치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51 || 1952 || 1953 || 1954 ||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UN기.svg|width=40]] || || 레옹 주오 || [[알베르트 슈바이처]] || [[조지 C. 마셜|조지 마셜]] || 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57 || 1958 || 1959 || 1960 ||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width=40]]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40]] || || [[레스터 피어슨]] || 도미니크 피르 || 필립 베이커 || 앨버트 루툴리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61 || 1962 || 1963 || 1964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파일:적십자 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다그 함마르셸드]] || [[라이너스 폴링]] || [[국제적십자위원회]] || [[마틴 루터 킹]]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65 || 1968 || 1969 || 1970 || || [[파일:유니세프 로고.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국제노동기구 로고.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유니세프]] || 르네 카생 || [[국제 노동 기구]] || [[노먼 볼로그]]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71 ||<-2> 1973 || 1974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40]]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40]] || || [[빌리 브란트]] || [[헨리 키신저]] || 레득토 || [[사토 에이사쿠]]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74 || 1975 ||<-2> 1976 ||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40]] ||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 숀 맥브라이드 || [[안드레이 사하로프]] || [[베티 윌리엄스]] || [[메어리드 코리건]]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77 ||<-2> 1978 || 1979 || || [[파일:국제앰네스티 로고.svg|width=40]] ||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width=40]]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40]] || [[파일:인도 국기.svg|width=40]] || || [[국제사면위원회]] || [[안와르 사다트]] || [[메나헴 베긴]] || [[테레사 수녀]]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80 || 1981 ||<-2> 1982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40]] || [[파일:UN기.svg|width=40]]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40]]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 아돌포 에스키벨 || 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 || [[알바 뮈르달]] || 알폰소 가르시아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83 || 1984 || 1985 || 1986 ||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40]]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40]] ||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레흐 바웬사]] || [[데즈먼드 투투]] ||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 [[엘리 비젤]]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87 || 1988 || 1989 || 1990 ||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40]] || [[파일:UN기.svg|width=40]] || [[파일:티베트 국기.svg|width=40]] || [[파일:소련 국기.svg|width=40]] || || [[오스카르 아리아스]] || [[유엔 평화유지군]] || [[달라이 라마 14세]] || [[미하일 고르바초프]]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91 || 1992 ||<-2> 1993 || || [[파일:미얀마 국기(1974-2010).svg|width=40]]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40]]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40]]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40]] || || [[아웅산 수치]] || [[리고베르타 멘추]] || [[넬슨 만델라]] ||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1994 || 1995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40]]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40]]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40]]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40]] || || [[이츠하크 라빈]] || [[시몬 페레스]] || [[야세르 아라파트]] || 조지프 로트블랫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95 ||<-2> 1996 || 1997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40]]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40]]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퍼그워시 회의 || 카를로스 벨로 || [[조제 하무스오르타]] || [[조디 윌리엄스]]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97 ||<-2> 1998 || 1999 || || -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국경없는의사회의 로고.svg|width=40]] || || 지뢰금지국제운동 || [[존 흄]] || [[데이비드 트림블]] || [[국경없는의사회]]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0 ||<-2> 2001 || 2002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40]] || [[파일:UN기.svg|width=40]] || [[파일:가나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김대중]] || [[유엔]] || [[코피 아난]] || [[지미 카터]]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3 || 2004 ||<-2> 2005 || || [[파일:이란 국기.svg|width=40]] || [[파일:케냐 국기.svg|width=40]] || [[파일:국제원자력기구 깃발.svg|width=40]]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40]] || || [[시린 에바디]] || [[왕가리 마타이]] || [[국제원자력기구]] ||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06 ||<-2> 2007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40]]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 || [[무함마드 유누스]] || [[그라민 은행]] || [[앨 고어]] ||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패널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8 || 2009 || 2010 || 2011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40]]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40]] || || [[마르티 아티사리]] || [[버락 오바마]] || [[류샤오보]] || [[엘런 존슨 설리프]]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11 || 2012 || 2013 ||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40]] || [[파일:예멘 국기.svg|width=40]]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40]] || [[파일:화학무기금지기구 로고.svg|width=35]] || || [[리마 보위]] || [[타우왁쿨 카르만]] || [[유럽연합]] || [[화학무기금지기구]]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14 || 2015 || 2016 ||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40]] || [[파일:인도 국기.svg|width=40]]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40]]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40]] || || [[말랄라 유사프자이]] || [[카일라시 사티아르티]] || [[튀니지 국민4자대화기구]] || [[후안 마누엘 산토스]]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17 ||<-2> 2018 || 2019 || || -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width=40]]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40]]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40]] || || [[핵무기 폐기 국제 운동]] || [[드니 무퀘게]] || [[나디아 무라드]] || [[아비 아머드]]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20 ||<-2> 2021 || 2022 || || [[파일:UN기.svg|width=40]]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40]]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40]]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40]] || || [[세계식량계획]] || [[마리아 레사]] || [[드미트리 무라토프]] || [[안드레이 사하로프|메모리알]]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22 || 2023 ||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40]]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4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40]] || || || [[시민자유센터]] || [[알레스 발랴츠키]] || [[나르게스 모하마디]] || ||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올해의 인물 (201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2010's
||



파일:미국 대통령 문장.svg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주요 후보
[ 펼치기 · 접기 ]

정당대통령 후보순위
부통령 후보비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공화당존 매케인2위
세라 페일린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민주당버락 오바마1위
조 바이든당선
[ 역대 선거 | 펼치기 · 접기 ]
1789 · 1792 · 1796 · 1800 · 1804 · 1808
1812 · 1816 · 1820 · 1824 · 1828 · 1832
1836 · 1840 · 1844 · 1848 · 1852 · 1856
1860 · 1864 · 1868 · 1872 · 1876 · 1880
1884 · 1888 · 1892 · 1896 · 1900 · 1904
1908 · 1912 · 1916 · 1920 · 1924 · 1928
1932 · 1936 · 1940 · 1944 · 1948 · 1952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파일:미국 대통령 문장.svg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주요 후보
[ 펼치기 · 접기 ]

정당대통령 후보순위
부통령 후보비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민주당버락 오바마1위
조 바이든당선1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공화당밋 롬니2위
폴 라이언
1 현직 미국 정·부통령
[ 역대 선거 | 펼치기 · 접기 ]
1789 · 1792 · 1796 · 1800 · 1804 · 1808
1812 · 1816 · 1820 · 1824 · 1828 · 1832
1836 · 1840 · 1844 · 1848 · 1852 · 1856
1860 · 1864 · 1868 · 1872 · 1876 · 1880
1884 · 1888 · 1892 · 1896 · 1900 · 1904
1908 · 1912 · 1916 · 1920 · 1924 · 1928
1932 · 1936 · 1940 · 1944 · 1948 · 1952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파일:시사저널 화이트 로고.svg
2010년대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 국제 인물
[ 펼치기 · 접기 ]

※ 2010년대의 각 해마다 시사저널이 각 분야의 전문가 1000명에 칸타퍼블릭과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을 움직이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을 선정했으며, 최대 3명까지 중복응답이 가능하였다. 해당 틀에는 1위만 기재함.
20102011201220132014
오바마
20152016201720182019
오바마트럼프미조사
같이 보기: 한국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종합) / 여권 정치인 / 야권 정치인 / 법조인 / 경제인 / 언론인 / 문화예술인 / 연예인 / 스포츠 스타 / 종교인 / 국제 인물 / NGO 지도자 / 잠재력 있는 정치인 / 대통령에 영향력 있는 인물 / 언론매체





미합중국 제44대 대통령
버락 오바마
Barack Obama
파일:버락 오바마.png
본명Barack Hussein Obama II
버락 후세인 오바마 2세[1]
출생1961년 8월 4일 (63세)
하와이 주 호놀룰루 카운티 호놀룰루 카피올라니 병원
재임기간제44대 대통령
2009년 1월 20일 ~ 2017년 1월 20일
서명
파일:버락 오바마 서명.svg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버락 오바마 시니어[1](1934-1982)
어머니 스탠리 앤 던햄[2](1942-1995)
배우자미셸 오바마
자녀장녀 말리아 오바마[3]
차녀 사샤 오바마[4]
학력컬럼비아 대학교 (정치학 / B.A.)
하버드 대학교 로스쿨 (법학 / J.D.)
종교개신교 (침례회)[5]
신체187cm, 79kg, AB형(Rh-)
소속 정당

의원 선수1 (상원)
의원 대수109

[1] 국적은 케냐이다. 위키백과.[2] 위키백과.[3] 1998년 출생. 26세.[4] 2001년 출생. 23세.[5] 버락 오바마의 성장 과정에서 지대한 역할을 한 그의 어머니 앤 던햄은 개신교 신자였으나 종교적인 생활을 거의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앤 던햄의 지인들도 "그녀는 무신론자거나 불가지론자와 더 가깝다"고 증언했다. 버락 오바마는 "어머니가 개신교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나, 사회참여에 매진하는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고, 어렸을 때부터 친했던 본인 어머니를 따라서 본인을 개신교 신자로 여겨왔다고 대답했다. 또한, 아래에 나와있듯 아버지가 무슬림 집안 출신이어서 미들네임이 후세인이고, 이로 인해 무슬림으로 오해받기도 했다. 어릴 땐 성공회를 다녔고 이후 그리스도연합교회를 20년간 출석했으나 2008년 대선 캠페인에서 교회의 담임목사인 제레미아 라이트 목사와 불화가 생기면서 교단을 떠났다. 대통령 당선 이후에는 침례회를 다녔고 퇴임 이후에는 주로 감리회에 출석하는 듯 보인다. 오바마는 "현재 개신교인이지만 특정 종파에 고정해서 출석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

파일:Barack-Obama-official-whitehouse-portrait.jpg
백악관 공식 초상화[3]

1. 개요
2. 약력
5. 여담
5.1. 개관
5.2. 인종
5.3. 오바마 징크스
5.4. 노벨평화상 수상
5.5. 추천 도서, 영화, 드라마, 노래
6. 가족 관계
7. 선거 이력
8. 소속 정당
9. 어록
10. 방송 활동
11. 대중 매체에서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제44대 미국 대통령 취임 선서[4]

Yes, We can! Yes! We did it!

8년의 대통령 임기를 마치며 대중 앞 고별 연설에서. 2008년 대통령 선거 당시 내걸었던 슬로건 "Yes, We can!"에, 모든 국정업무 종료 후 이를 회고하는 "Yes, We did it!"을 덧붙여 언급한 말. 미합중국 제44대 대통령 버락 오바마의 처음과 끝을 상징하는 표현이다.

미국의 제44대 대통령.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흑인 대통령이다.[5]

풀네임은 버락 후세인 오바마 2세이며, 이 이름 자체가 다양한 배경을 암시하고 있다. 버락은 스와힐리어로 "신의 축복을 받은 자" 라는 의미이며 후세인은 무슬림인 그의 조부 이름을 딴 것이다. 오바마라는 이름은 케냐 루오족남자 이름이다. 사족으로 그의 조부는 케냐에서 독립운동 혐의로 영국에서 체포되어 고문을 받아 불구가 되었고 아버지도 미국으로 유학을 왔을 때 외국에 유학간 케냐 인재라고 따로 명단이 만들어져 있었다. 즉 오바마는 케냐 무슬림 집안 출신이고 케냐 경제학자 출신의 아버지를 두었으나[6] 미국 한부모 가정에서 자라 본인은 무슬림이 아닌, 꽤나 복잡한 성장 환경의 소유자인 셈이다.

미들네임인 후세인 때문에 사담 후세인과 겹쳐서 무슬림으로 오해받고 이를 노린 악성 동영상이 돌아다녔다. 심지어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공화당에서도 이를 이용한 유세를 펼쳤었는데, 그에 대한 지지를 표명한 콜린 파월 전 국무장관의 "그는 물론 기독교인입니다. 하지만 무슬림이면 어떻습니까?" 발언으로 전화위복되었다.[7] 이후로 공화당은 저 유세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직도 미국인의 12% 정도는 오바마가 무슬림이라고 믿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있다.[8][9]

오바마의 경우엔 148년 전 에이브러햄 링컨이 취임식에 쓴 성경으로 선서를 했다. 노예제 폐지를 부르짖다 쓰러진 링컨이 사용했던 성경을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 취임식에 썼다는 것 자체가 또 다른 드라마틱한 역사이다. 오바마의 정치적 기반마저도 링컨의 주 일리노이인지라, 드라마틱함을 더한다.

재임 시절 시크릿 서비스가 경호 시 사용한 코드 네임은 이단자(Renegade)로 시스템에 역행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아내 미셸은 르네상스(Renaissance), 큰딸 말리아는 광휘(Radiance), 작은딸 사샤는 장미봉오리(Rosebud)이다.


2. 약력[편집]


  • 1979.6 푸나후 고등학교 졸업



  • 1985.6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DCP) 감독 (1985.6 ~ 1988.5)



  • 1992.4 일리노이 주 투표 프로젝트(Project Vote) 대표 (1992.4 ~ 1992.10)


  • 1993 데이비스, 마이너, 반힐 & 갤런드(Davis, Miner, Barnhill & Galland) 로펌 변호사 (1993 ~ 1996)

  • 1995 시카고 애넨버스 챌린지(Chicago Annenberg Challenge) 이사 (1995 ~ 2002)

  • 1995 시카고 애넨버스 챌린지(Chicago Annenberg Challenge) 초대 이사회 의장 (1995 ~ 1999)

  • 1996.9 시카고 대학교 로스쿨 헌법학(Constitutional Law) 상임 강사 (1996.9 ~ 2004.8)

  • 1996 데이비스, 마이너, 반힐 & 갤런드(Davis, Miner, Barnhill & Galland) 로펌 법률자문 변호사 (1996 ~ 2004)

  • 1997.1 일리노이 주 의회 상원의원 (1997.1.8 ~ 2004.11.4)

  • 2005.1 일리노이 주 연방 상원의원 (2005.1.3 ~ 2008.11.16)



  • 2014 쇼아재단 인류대사상 수상

3. 생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버락 오바마/생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 버락 오바마 행정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버락 오바마가 당선되면서 구성된 행정부다.


4. 평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버락 오바마/평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여담[편집]



5.1. 개관[편집]


  • 엄청난 독서광이었으며, 미셸이 연애당시 그의 자취방에 가보니 세간은 추레하고 거의 없다시피한데 책만 가득 쌓여있었다고 한다. 책을 신성시하고 돈만 생기면 책을 사모았다고. 또 오바마는 그때부터 자기 책을 쓰려고 원고를 준비 중이었다.

  • 대통령이 된 후 여러 공식 석상에 3, 40분 지각은 기본으로 지각을 자주 해서 빈축을 샀다.

  • 나이에 비해 꽤 동안이었는데 대통령 8년 동안 굉장히 머리가 희게 변하고 늙었다. 대통령이 얼마나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직업인지를 보여주는 일례로 꼽힌다.[10] 그리고 2023년이 된 지금은 딱 그 나이대로 보인다.

파일:attachment/koreastudent.jpg

  • 임기 초기 대한민국 교육을 본받자는 이야기를 했다. 부실한 미국 공교육과 수업일수에 관련된 내용으로 미국의 고등학교 졸업률은 75% 정도밖에 안 되며 공립학교의 경우 50%에 불과하다.[11] 반면 한국은 2008년 OECD 보고서에 의하면 97%로 세계에서 가장 높다. 한국이나 일본의 수업일수를 본받자는 이야기는 미국 교육계에서 매우 오랫동안 논의되어온 제안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일부 한국과 미국의 교육전문가들은 "오바마가 제대로 잘못 알고 있다"고 했고 "한국 교육은 미국의 100년 전과 같다" 라고 평한 칼럼니스트도 있었다. 그러나 유념할 것은 오바마는 교육 전문가가 아니란 점이다. 즉 미국의 낮은 교육열을 고치자는 의미에서 엄청나게 높은 고등학교 졸업률과 대학 진학률을 갖고 있는 한국을 언급한 것. 실제로 한국의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그 어떤 정책적 움직임도 없었다. 한 마디로 "옆집 한국은 공부 잘하던데 우리 미국은 왜 이러니"정도의 훈계.

  • 2009년 아시아 순방 도중 아키히토 천황에게, G20 정상회의 도중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에게 90도 인사를 해 반대파들에게 미국의 자존심을 구겼다고 빈축을 샀다. 하지만 이는 지극히 정치적 제스처라는 반응이 있다. 오바마가 겉으로는 친아시아적 외교를 진행함으로서 각국의 친미파들의 호감을 사고 배타적 정책을 펴려는 정부들을 자제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12] 실제로 중국의 경우가 어느 정도 그러하고 일본의 경우는 결국 후텐마 기지의 후폭풍이 심해지면서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이 실각했다.

  • 전임후임해리 S. 트루먼의 집권기 출생자이자 또한 동갑이다.[13]

  • 아내 미셸 오바마 외에도, 큰딸 말리아 오바마와 작은딸 사샤 오바마도 훗날 정계에 진출할 예정이라는 소문이 워싱턴 정계에 퍼져 있다. 말리아, 사샤 자매가 어려서부터 이미 오바마의 각국 순방에 참여하였으며 이미 세계 각국 정상들의 눈도장을 찍어뒀다.

  • 미국의 코미디 프로그램인 SNL에서는 오바마가 열받으면 "더 락 오바마"가 된다고 한다.[14]

  • 한미동맹친선협회라는 단체가 G20차 한국에 오는 오바마 대통령에게 한국 이름을 지어주려고 하는데 이름이 # 오한마

  • 2011년 도호쿠 대지진 때 "I'm confident the Jap, uh, Japan will recover and rebuild"(저는 쪽발... 아니, 일본이 재건하리라 확신합니다) 라고 인터뷰한 게 플짤로 돌아다니고 있다. 해당 영상 링크 실제로 일본인을 비하하려 했다기 보다는 the Japanese people(일본인들)이라고 하려다 Japan(일본)으로 말을 바꾸며 일어난 일일 가능성이 높다. 말실수가 워낙 교묘하기에 농담거리가 된 것.[15]

  • 2010년 2월부터 오바마는 원자력 발전소 2기를 건설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려 하고 있었다. 1973년에 마지막으로 착공한 원자력발전소(완성은 1990년)를 근 40년 만에 다시 착공하려는 오바마 행정부의 가장 중요한 정책 중의 하나였다. 이는 8,000억 달러를 투입하는 대 계획으로 주목적인 탄소배출권 문제 해결을 통한 친환경 이미지 구축과 당시의 불황 극복을 위한 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노린 야심찬 계획이었다.[16] 재선을 위해 기획한 좀 규모 작은 뉴딜 정책이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이 모두를 날려버리는 병크를 일본이 저질렀으니 그게 바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한국에서는 오바마가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추진했다는 것을 별 비중없이 다루었으나 실질적으로 원자력발전소 사업은 오바마의 재선의 발판이 되는 가장 중요한 정책이었다. 오바마는 사고 이후 한동안 발전소 건설에 대해 함구하다가 한 해가 지난 후에야 다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공언했다.

  • 도널드 트럼프가 "오바마가 실은 케냐 출생인데 미국에서 태어난 것처럼 조작해서 대통령이 되었다"고 오바마의 숨겨진 출생의 비밀에 대한 이야기를 펼치자,[17] 백악관 기자단 연례만찬(White House Correspondents' Dinner)[18]에서 "저번엔 제 출생 증명서를 공개했죠? 이번엔 제 출생 비디오를 공개하도록 하죠" 라고 말하고는 라이온 킹심바 탄생 장면을 틀었다. 그리고 한 말이 바로 아래에 있다.

"…사실 이 발표를 제일 기뻐하고 있는 건 그일 거라 생각합니다. 이제 그는 좀 더 중요한 문제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달 착륙은 조작됐는가? 로스웰에서 실제로는 무슨 일이 있었나? 비기2Pac은 어디에 있나? 같은 것들 말입니다."[19][20]

파일:attachment/800px-Obama_and_Biden_await_updates_on_bin_Laden.jpg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는 마셜 웹 문서 참고)

  • 2011년 5월에 단행한 넵튠 스피어 작전을 모니터링하는 자리에서 작전 지휘관인 마샬 웹 공군 준장에게 상석을 내주고 그 옆자리에 앉았는데, 이 사진은 타임지가 선정한 '인류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100장의 사진'에 선정되었을 만큼 중요하고 뜻깊은 순간으로 언급되었다. 대통령이 준장을 상대로 국군통수권자라는 지위를 앞세우기보다 작전 총지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배려해준 모습이었기에 많은 주목을 받은 것. 근데 사실 데브그루 대원들이 헬기를 타고 파키스탄까지 날아가는 시간 중에 지루하다며 카드 게임 하고 오기도 했다고 한다.

  • 2011년 5월 대통령 전용차가 주아일랜드미국대사관을 나서다가 문턱을 넘지 못하고 멈춰섰다. 백악관 경호실은 황급히 '그 차에는 대통령께서 탑승하시지 않았다. 그건 예비차다' 라고 발표. 물론 이건 딱히 차에 고장이 있는 것보다는 VVIP용 차량은 겉만 자동차고 속은 탱크라고 해도 좋을 만큼 방탄이 잘 되어있으며, 무게도 탱크만큼 무겁다. 문턱을 못 넘은 것은 아마도 그 때문.

  • 2011년 5월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영토를 할양하고 공존해야 한다는 연설을 하여 이스라엘로부터 강력한 비난을 받고 있다. 물론 이는 미국의 국익에 대한 현실적 손익계산이 개입된 것으로 연속적인 중동의 체제이행 이후 들어설 정부들의 반미감정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중동의 평화무드를 조성하려는 시도라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아니요, 하지 마세요. 그냥 저 청년은 이 자리에 있게 해 줍시다. 가족을 걱정하는 저 청년의 열정을 존중합니다. 하지만 민주주의 국가에는 절차라는 게 있고, 그 절차라는 건 여기서 소리지르는 것과는 달리 그리 쉬운 게 아닙니다.

파일:external/2.bp.blogspot.com/B43EwVSCUAAX4gn.jpg
2014년 크리스마스 사진
  • 오바마의 가족들은 전부 장신이다. 오바마 자신의 키부터 187cm인데 그의 아내인 미셸 오바마의 키가 5피트 11인치(180cm)이다. 오바마는 루오족 계통인데 루오족이 포함된 나일로트계 민족들이 키가 큰 편이라고 한다. 2011년에 큰딸 말리아 오바마(1998년생)[21]은 6 피트에 육박했고 2020년 현재 구글 프로필에는 185cm로 기록되어 있는 엄청난 장신이다. 작은딸 사샤 오바마(2001년생) 역시 2015년을 이후로 175cm가 다 되어간다. 심지어는 미셸 오바마의 오빠인 크레이그 로빈슨의 키가 198cm로, 말리아와 사샤 자매는 부계, 모계 양쪽 다 키가 크다.

  • 2014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듣자 오바마는 "기쁠 때나 슬플 때나 상관없이 미국과 대한민국은 우방국가이며, 미국은 대한민국이 어려울 때 도와줘야 할 의무가 있다."고 말하며 사고 희생자들을 애도하며 구조 작업에 미국이 적극적으로 도와주도록 조치했다.

  • 오바마 집권기는 한국의 이명박근혜 콤비(이명박&박근혜) 시기와 겹친다. 또한 퇴임하기 1달 전에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통과로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였다.[22] 북한의 기준으로 김영남(말기 ▶ 몇 년 뒤에 권한대행) 그리고 김정일 & 김정은 부자.

파일:attachment/NISI20120325_0006092374_web.jpg
파일:attachment/2012032517325432031_1.jpg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방문 기간 동안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방문한 모습

  • 임기 중 2009년, 2010년, 2012년, 2014년에 한국을 방문했다. 2012년 방한 때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 방문해 명예동문 자격을 수여받으며 화제가 되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2014년 방한 때는 박근혜 대통령이 질문에 대한 오바마의 답변이 끝난 후에 당황하며 머뭇거리자 "Poor president Park doesn't even remember what the other question was"(불쌍한 박 대통령이 다른 질문이 뭔지조차 기억을 못한다) 라는 농담인지 조롱인지 애매한 발언을 했다. 영상을 보면 알듯이 말 자체의 어투는 단순한 장난이라고 봐줄 수 있으나, 그 뒤 박 대통령이 머뭇거리는 게 부각되어 조롱의 의미로 부각되는 듯 하다. 오바마 정도나 되는 사람이 미치지 않은 다음에야 일부러 대놓고 깠을 리는 없겠으나, 이는 외교적 결례로 비춰질 수 있는 부분이라 백악관에서는 이 부분을 삭제하거나 자막처리하는 등 수습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한국 정부, 그리고 언론에서는 특별한 언급이나 조치가 없다. 일부에서는 "조롱당했다는 사실조차도 모르고 있다"며 비판하고 있다. 다만 이쪽에서 잘못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그냥 넘어간 것일 수도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기자들의 질문을 전혀 듣고 있지 않았다는 의심을 살 수도 있는 장면이라…[23] 뿐만 아니라 2010년 서울에서 열렸던 G20 정상회의 폐막 기자회견에서는 회의를 주최한 한국에 대해 감사를 표하며 한국 기자들에게 우선권을 주었음에도 질문하는 기자가 하나도 없어, 결국 질문권은 중국 기자들에게 넘어갔고, 한국 기자들은 "기자라면서 질문도 하나 할 줄 모르는 것들"[24]이라는 망신을 당했다. 자리에 한국 기자가 많지 않았다. 예정에 없는 질문 기회였다. 통역이 준비가 되어있지 않아서 그랬다 등 해명이 나오기는 했지만 여론은 대부분 변명 취급할 뿐. ##### 기안84복학왕에서 이걸 패러디해서 깠다. #

  • 2014년 5월 북한은 오바마의 방한에 대해 비난하면서, 인종차별적 발언을 쏟아냈다. 구체적으로는, '혈통마저 분명치 않은 잡종', '인간의 초보적인 면모도 갖추지 못한 추물', '아프리카 동물원의 원숭이 무리 속에 끼워 구경꾼들이 던져주는 빵 부스러기나 핥으면서 사는 것이 제격', '못돼먹은 새까만 잰내비(원숭이)를 찜쪄먹을 미국 상전' 등으로 표현했다.[25]

  • 2015년 1월 25일에는 "북한은 결국 무너진다"고 발언했다. 오바마는 "북한 따위 가만 내버려 둬도 알아서 무너진다"는 발언을 하면서 "북한같이 폐쇄적이고 고압적이며 인권을 유린하는 나라는 오래 못간다"는 말을 덧붙였다. 이에 북한 당국은 머리끝까지 열폭했다. 이 말을 깊게 생각해본다면 굉장히 뼈 있는 발언으로 "우리 미국은 나라를 똑바로 운영하기 때문에 멸망할 일이 전혀 없지만, 너네 북한은 나라를 똑바로 못 운영하고 너무 국민들을 가혹하게 굴려서, 가만히 냅둬도 시민혁명으로 정권이 붕괴될 것이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 오바마는 블랙베리 마니아이다. 자신이 블랙베리를 워낙 좋아하고 중독되어있다고 밝힌 상태. 백악관에 입성해서도 블랙베리를 사용하겠다고 고집을 부려 결국 쓰게 됐지만. 나쵸도 굉장히 좋아한다. TV쇼에 출연했을때 코미디언 제리 사인 펠드한테 나쵸는 내가 가장 큰 죄악 중 하나라고 밝힐 정도이다.

  • 2012년 8월 캠프 데이비드에서 클레이 사격을 하는 오바마. 한참 위에 언급한 총기 사건 때문에 NRA의 로비, 언플이 발생하는 중 찍힌 장면이다. 그런데 백악관에서는 규정때문인지 이 사진에 절대 포샵 하지 말 것이라는 경고문을 넣었다. 그러자 백악관에서는 질 수 없었는지 백악관 만찬회에서 더 화려하게 약을 빤 합성짤을 공개해버렸다…[26]



  • 국내 가격비교 사이트인 에누리닷컴에서 오바마 닮은꼴 모델인 레지 브라운이 김정은 닮은꼴 UIUC 한인 학생인 김민용과 함께 광고모델로 출연했다.

  • 임기 중에는 관용차로는 THE BEAST라고 이름붙여진 캐딜락을 탔다. 차체는 강철/세라믹/알루미늄 복합장갑으로 강화되었고 문은 20cm 두께 강철 / 복합장갑[27]으로 보호되며 가장 취약한 창문조차도 소총 철갑탄을 막아낸다.

파일:external/s3.caradvice.com.au/cadillac-the-beast-obama.jpg

파일:external/images.thecarconnection.com/president-obamas-limousine_100350545_l.jpg

  • 베어 그릴스의 Running Wild with Bear Grylls에서 2015년 12월 24일 방영분에 출연했다.

  • 카카오톡에는 ‘오바마 버전’ 알림음이 있다.

  • 세계자연유산으로 유명한 파파하노모쿠아키아 해양국립기념물이 현재의 4배 면적인 150만㎢로 늘릴 계획을 발표한 데 환경보호에 관심이 많아서 감사를 표시하는 뜻으로 2016년9월하와이에서 발견한 물고기에 붙여 토사노이데스 오바마로 명명했다. 물고기에 오바마 대통령의 이름을 붙인 것은 이번이 2번째라는 점이다.[28]

  • 2016 할로윈 파티에서 임기 막바지인 레임덕으로 분장한 어린이가 나타나 화제를 모았다.#

  • 퇴임을 앞두고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발간하는 과학학술지 사이언스미국 대통령으로서는 최초로 미국의 기후정책에 관한 글을 기고했다. #

  • 오바마가 《미국의학협회저널》(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 투고한 논문 "United States Health Care Reform: Progress to Date and Next Steps" 는 학술문헌의 SNS 상의 인기를 측정하는 지표인 알트메트릭스(Altmetrics)에 의해 2016년의 인기 과학논문 1위로 선정되었다. 신문기사 315건, 트위터 8,943건, 페이스북 200건, 레딧 14건이 이 논문을 인용 및 언급, 공유하고 있었다고. #

  • 이처럼 의료보험 개혁에 관심이 많던 오바마였는데, 의료보험에 대해서는 부통령과의 일화도 있다. 직업군인이던 미국 부통령 조 바이든의 큰아들 보 바이든이 뇌종양에 걸려 투병하다 세상을 떠나자 한국 돈으로 억대의 병원비가 나왔고, 돈이 부족했던 바이든은 집을 팔려고 했으나 오바마가 만류한 뒤 돈을 빌려주었다.


  • 퇴임 후 가족들과 함께 2017년 7월 2일에 한국을 재방문하였다. 조선일보 초청으로 방한하였으며 3일 서울특별시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리는 행사에서 대통령 재임 기간의 경험과 리더십에 대해 연설했다. 또한 이명박 전 대통령과도 약 30분간 면담해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갤럽에서 실시한 가장 존경받는 인물 투표에서 계속 1위로 뽑혔다. 퇴임한 이후인 2017년, 2018년에도 1위를 했으며 2018년에는 아내인 미셸 오바마 또한 가장 존경받는 여성으로 뽑혔다. 다만 2019년과 2020년에는 도널드 트럼프에 밀려 2위로 내려갔다.


  • 가끔씩 유튜브 추천영상에 오바마 당선 당시 세계가 환호하는 영상이 올라오는데, 이로 인해 유튜브가 트럼프를 싫어하는게 아니냐는 반응이 많다. #

  • 2023년, 도널드 트럼프가 오바마의 주소지를 공개해자. 인근에서 흉기를 든 남성이 난동을 부린 사건도 있었다. #

  • 혈액형RH-AB형이다. 이 때문에 대통령 집권 당시 백악관 경호실에서는 여분의 RH-AB 혈액을 보관해두고 있었다. 참고로 아시아에서는 AB형의 비중이 10% 정도지만, RH-가 0.5% 이하로 매우 드물기 때문에 희귀 혈액형이며, 반대로 서양에서는 RH-가 20% 정도로 나름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대신 AB형의 비중이 3~4% 가량으로 상당히 드물기 때문에 희귀 혈액형이다.

  • 음악을 엄청 좋아해서, 대통령 재임시절 켄드릭 라마를 백악관으로 초대한적 있고, 휴가 기간 들었던 음악들의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하기도 했다. 퇴임 이후에도 릴 나스 엑스에게 앨범 발매 축하 메세지를 보내기도 했다. 영화도 좋아하며, 오바마의 추천작 리스트를 보면 꽤 시네필적인 요소가 있다.

  • 스포츠 특히 구기종목을 엄청 좋아한다. 농구는 아예 본인이 원래 농구선수 출신이었으며 이 외에도 배구, 축구, 야구를 엄청 좋아한다. 축구의 경우 역대 미국 대통령 중 가장 FIFA 월드컵의 열렬한 팬이며 유명 축구 선수 중에서는 리오넬 메시의 광팬이다. 등번호 10번인 유니폼을 선물받았을 때는 메시와 같은 번호다라며 엄청 좋아했으며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서 아르헨티나가 우승하자 크게 기뻐하며 메시에게 축하 메세지를 남겼다.

  • 역대 미국 대통령들중 가장 최근에 태어난 대통령이다(1961년생). 후임자인 트럼프보다 15살 어리고, 후후임자이자 본인의 부통령이었던 바이든보다는 19살 어리다.[29]

  • 태어난 시기와 장소는 1961년 8월 4일 하와이에서 태어났는데, 이 때는 우리나라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4.19 혁명으로 인해 물러나고 나서 하와이에서 지내던 시기였다.[30]

  • 21세기에 취임한 미국 대통령 중 현재까지는 재임기간 중 전임 대통령의 죽음 및 장례식을 경험하지 않은 유일한 대통령이다. 조지 W. 부시 재임 기간에 로널드 레이건제럴드 포드, 트럼프 재임 기간에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이 서거했다. 현재 생존해있는 전직 대통령들중 지미 카터가 현재 98세라 차기 대선 시즌 이전에 서거한다면 현직인 바이든도 전임 대통령의 죽음 및 장례식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오바마 재임 기간에 사망한 부통령도 하나도 없다.

  • 김대중과 닮은 점들이 매우 많다. 첫번째는 서로가 민주당계 소속이라는 점과 야당 후보로서 자국의 경제위기가 닥친 해의 선거에서 집권 보수여당에 대한 심판론으로 정권교체에 성공했다는 것이 있다. 또 두 사람 모두 각각 무슬림, 종북좌파라는 의혹에 시달렸지만, 그러한 의혹을 감수하고 각각 이슬람 국가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해제북한에 대한 대북 지원을 감행했다는 점도 유사하다. 둘 다 노벨평화상 수상자이며, 임기 대부분동안 입법부가 여소야대 정국이었다는 점도 공통적이다. 두 사람을 상대한 야당들 또한 각각 흑인인 오바마와 전라도 출신인 김대중에 대한 백인경상도의 전반적인 반감을 이용한 것도 유사하다. 또 두 사람 모두 한차례 더 정권을 연장시키는 데에는 성공하지만,[31] 그 다음 대선에서는 기업인 출신의 보수 후보에게 정권을 내어주었다는 점도 동일하다.

  • 현재 아내 미셸 오바마와 결혼하기 전, 1980년대에 쉴라 미요시 재거(Sheila Miyoshi Jager)와 동거했었다. 일본과 네덜란드 혼혈로 한국과 동아시아 분야의 전문 학자이자 교수다. 1986년 오바마는 그녀에게 첫 프로포즈를 했으나 그녀의 부모님은 그녀가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반대했고[32] 이후 오바마가 하버드 로스쿨에 들어간뒤 다시 청혼했지만 이번엔 그녀가 논문과 공부를 위해 한국으로 갈 계획이어서 거절해 결국 헤어지게 되었다. 이후 오바마는 인턴으로 들어간 법률회사에서 미셸을 만나 연애를 시작했고, 쉴라는 미육군 베테랑이자 역사 교수인 한국계 미국인 김지율과 결혼했다. 그녀는 네 명의 자녀를 낳았으며, 부부는 현재 오하이오에 살고 있다. 오바마가 두 번이나 청혼할만큼 깊이 빠졌던 여인이지만 그들의 관계는 오바마의 2선 임기가 끝나고 나서 2017년 5월에야 공개되었다.[33]

5.2. 인종[편집]


아버지가 케냐 출신 흑인이고 어머니는 백인인 1세대 혼혈이다. 절반은 백인인지라 첫 흑인 대통령이라기보다는 첫 유색인종 대통령이라고 해야 맞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있지만, 오바마가 흑인이라는 데에 이견을 제시하는 것은 지극히 일부의 의견이고 일단 본인 스스로가 미국 흑인이라고 하고 있으므로 사실상 논외. 미국의 경우 혼혈이더라도 외견상 흑인이고 본인의 인종 정체성이 흑인이라면 흑인으로 인정한다.[34]

이런 식의 흑인 분류는 원래 악명 높은 한방울 원칙에서 시작되었다. 흑인의 피가 한 방울이라도 섞여 있다면 흑인이라는 것으로 '순수하고 고귀한' 백인의 피에 유색인종의 피가 섞일 경우 피가 잡종화되어 '더럽혀지는' 것으로 보는 인종차별적인 법칙이다. 오바마의 경우에는 부모님이 이혼한 다음에 백인 어머니와 백인 외조부모[35]에 의해 길러졌다는 것도 '반쪽 흑인'의 이미지에 한몫하는 듯.

사실 오바마 정도라면 흑인이냐 아니냐를 두고 논란이 있을 정도의 외모나 혈통은 아니다. 왜냐하면 오바마는 그냥 딱 봐도 흑인이기 때문.[36] NBA 선수들을 분류할 때도 흑인이냐 백인이냐를 논하지, 하프 흑인이라고 하진 않는다. 백인처럼 보일 정도의 외모인 제이슨 키드, 블레이크 그리핀, 잭 라빈이나, 흑인 피가 1/4이라서 사실상 백인처럼 보이는 머라이어 캐리라면 이런 논란이 생길 수 있지만, 오바마같은 사람은 누가 봐도 그냥 흑인이라고 받아들인다. 당연하지만 미국 내에서는 오바마가 흑인이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을 오히려 더 이상하게 본다. 미국부터가 일단 여러 인종이 섞인 혼혈들이 흔한 나라이기도 하고.

그럼에도 오바마의 '반쪽 흑인' 논란이 나온 것은 피부색 때문이 아니라 오바마가 백인 집안에서 백인들의 손에 자랐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실제로 오바마는 평소 말투에 흑인 영어의 흔적이 전혀 없고 고학력자 백인 말투를 쓴다. 오히려 마틴 루터 킹의 이미지를 불러 일으키기 위해서 흑인들 앞에서는 일부러 인위적으로 '남부 흑인이 교육을 받아서 교정한 말투'를 만들어 쓰기도 했다. 오바마의 부모는 어렸을 때 이혼했을 뿐 아니라 그의 아버지는 케냐로 돌아가 살다가 오바마를 딱 한번, 10살 때 방문했을 뿐이었다.[37] 즉 오바마의 아버지는 그에게 흑인 유전자만 물려줬을 뿐, 어머니와의 이혼으로 인해 오바마에게 문화적, 정서적 영향을 주지는 못했기에 자연스럽게 오바마도 흑인 문화와 거리가 생길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어머니가 재혼한 남자는 인도네시아인이었으니... 비유하자면 한국계 인물이 미국인 부모에게 입양되어 평생 자랐다면 당연히 미국인의 마인드를 갖게 되는 것처럼, 같은 미국이라도 흑인과 백인의 문화가 판이하게 다른데 흑인들과 문화적 공통분모가 거의 없는 오바마를 흑인이라고 하는 것에 대한 이견이 있는 것.

사실 오바마의 흑인쪽 배경만 하더라도 여타 미국 흑인과 몹시 다르다. 대부분의 미국 흑인들은 그 조상이 서아프리카에서 노예로 미국에 끌려온 것에 비해, 오바마 시니어는 동아프리카(케냐)에서 유학생으로 자발적으로 미국에 왔다. 오바마 시니어가 버락 오바마를 가진 것도 자유로운 결혼 생활에서 비롯되었고, 본인도 자신이 원하는대로 케냐로 돌아가게 되었다. 이런 차이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성씨인데, 버락 오바마가 "오바마"라는 흑인쪽 조상의 성씨를 그대로 사용하여 (조상의 성씨를 잃고) 서양식 성씨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미국 흑인들과 비교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미국 흑인들은 조상들의 아프리카 문화에서 단절된 반면에, 오바마는 (짧게나마) 아버지와 교류하면서 조상들의 정체성을 공유하고 케냐에 있는 친가에 방문하는 등 이런 단절을 경험한 적이 없다.

정리하자면 인종적으로는 당연히 흑인이지만, 오바마가 과연 일반적인 미국 흑인들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냐는 부분에서는 논란이 있다고 보면 된다. 즉, 금수저 출신 정치인이 서민들의 고충을 진정으로 알겠느냐는 의심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 물론 이런 주장은 '흑백혼혈 흑인'으로서 오바마 본인이 겪은 정체성 혼란에 대한 고충을 쌍그리 무시하는 소리다. 오바마는 인종갈등 극복을 위해 흑인들에게 흑인스러움을 요구하는 낡은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여러번 강조했다.


5.3. 오바마 징크스[편집]


스포츠광이기도 해서 그 중에서도 자신의 연고지인 시카고 관련 팀들의 팬이다. 이제까지의 대통령들이 주로 야구 팬이었던 것처럼 야구도 좋아하는데 시카고 화이트삭스 팬이기도 하여 워싱턴 내셔널스의 시즌 개막 경기에 화이트삭스 모자를 쓰고 시구를 하기도 했다. 그 외에도 2009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부시 스타디움에서 열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에 화이트삭스 저지와 모자를 쓰고 시구를 하고 마크 벌리퍼펙트 게임을 했을때 격려 전화를 하는 등 시카고 화이트삭스 광팬이다.

참고로 말하자면 오바마가 대통령이 된 이후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에서 시구를 한 적은 없다(2005년 상원의원일 때 시구를 했다).[38] 또 2012년에 케빈 유킬리스가 화이트삭스로 트레이드 되자 표 텃밭인 보스턴에서 '"유킬리스 주셔서 감사합니다!" 라는 농담을 했다가 야유받은 적도 있다. 축구도 좋아해서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당시 미국이 치르는 경기들을 모두 직관했다. 또한 콜로라도 래피즈 구단으로부터 유니폼을 선물받는데 등번호가 10번이라는 것을 확인하고는 아싸! 리오넬 메시랑 등번호가 같다!며 환호하기도 했다.

아이스하키도 역시 시카고를 연고로 하는 시카고 블랙호크스의 팬인데, 재임 중 3번이나 우승했다.

농구광이기도 하다. 농구로는 시카고 불스, 미식축구로는 시카고 베어스 팬이다. 2010년 추수감사절 연휴에는 농구 경기를 하다가 입술 부위를 12군데나 꿰메는 부상을 입었을 정도다. 물론 보는 것도 좋아해서 NCAA 경기를 관람하거나 항공모함에서 연 적도 있다! NCAA는 3월의 광란(플레이오프 혹은 포스트시즌) 때 항상 대진표를 채우는걸로 유명한데, 이걸 ESPN에서 Baracketlogy라는 이름으로 세그먼트를 해서 매년 틀어준다. 정확도는 그리 높지도 않고, 우승팀을 맞춘것도 1번, 2009년 첫 임기 첫해때였다. 심지어 1969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 재임중에 건설한 백악관 지하의 1개 레인짜리 볼링장을, 2009년 취임하고 얼마 되지 않아 바로 밀어버리고 # 거기에 농구장을 건설했다가 볼링협회로부터 항의를 받기도 했다.

선거에 출마했을 경우, 개표 직전에 농구 시합을 벌이면 당선된다는 징크스를 갖고 있다. 존 매케인과의 대통령 선거에서도 오바마는 지인들을 불러모아 농구 시합을 실시했는데 당선되었고 밋 롬니와의 최후반 선거 경합을 벌일 때 역시 그랬다.

특히 2012년 대선 때는 롬니가 마지막 며칠을 내내 죽을 힘을 다해 오하이오에서 유세전을 펼친 반면, 오바마는 그 마지막 며칠동안 일체의 정치활동을 하지 않고 역시 친구들을 불러모아 놓고는 농구 시합을 했다. 그 이후 오바마가 당선되었다.[39] 한마디로 농구시합을 하면 무조건 당선된다는 것이 오바마 징크스이다.

2016년에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가 백악관을 방문했을때에도 (장난삼아) 자기는 스테판 커리보다는 클레이 탐슨의 점프슛폼이 더 맘에 든다고했고, 전 시카고 불스의 멤버이자 2016년 워리어스의 감독이었던 스티브 커를 보고 "NBA 최강팀의 일원이 온다는거는 아주 드문일이죠.. 운좋게도… 1995/1996 시즌 시카고 불스의 멤버, 스티브 커가 여기있습니다!"라고 했다.

NCAA Division I Football Bowl Subdivision 칼리지 풋볼 플레이오프(College Football Playoffs) 제도의 도입에 적극적으로 찬성하기도 했다.


5.4. 노벨평화상 수상[편집]


2009년 4월, 프라하에서 오바마는 "핵무기 없는 사회"라는 주제로 연설을 하여 전략무기감축협정 갱신,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 (CTBT)의 비준, 핵물질 방호와 안전을 국제적으로 논의하고 공조하기 위한 핵안보정상회의의 구상을 밝혀 핵무기 확산에 강력한 제재를 천명하였고, 그 해 노벨상(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그것도 재임 10개월만에 받았다.

이 때문에 수많은 논란이 되었다. 아직 취임 10개월밖에 되지 않았던 시점인 만큼 정책상으로도 평가받기가 모호하고 유화정책의 취지는 좋지만 아직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폴란드 자유 노조 지도자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고, 이후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던 레흐 바웬사도 '축하할 일이고 기쁘지만 너무 이른데'라는 발언을 하였고 뉴스위크CNN을 비롯한 미국 언론사도 반응이 엇갈리며 미국의 극우파들도 입에 거품 물며 노벨 심사위원들을 비난했다. 오바마 대통령 지지자들마저도 아직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은 만큼 당황한 모습을 보였다. 아메리카 원주민 출신의 인권운동가 러셀 민즈[40]는 이를 사기라며 비판했고, 심지어 오바마 본인도 수상 소식을 듣고는 '뭐 내가?! 벌써?!' 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당해 수상할 만한 인물이 없었다는 시각도 있으나 같이 후보로 선출된 후보들을 보게 된다면 세계평화를 위해서 오바마보다 나은 성과를 올린 사람이 과연 없는가 하는 의문점이 들 수밖에 없다.

2009년 노벨평화상 후보로 총 205건의 인물 혹은 단체가 추천되어 역대 최다 후보수였던 2005년의 199건을 약간 상회했다. 게다가 후보들 중에는 오랜 기간 에이즈퇴치운동과 인권운동에 종사해왔던 중국의 반체제 인사 후자아나 히말라야 오지에 여학교 78개를 세운 그레그 모텐슨[41] 등 쟁쟁한 인사들이 대거 포진했다. 게다가 노벨 평화상은 노벨상 중 유일하게 단체에게도 수여가 가능한 상이다. 정 인물이 없었다면 차라리 단체를 선정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 예를 들어 비정부기구인 집속탄연합(CMC)는 국제 집속탄 사용금지 협약 체결을 위해 100여개국에 파견되어 설득 작업을 벌여 큰 역할을 하였으며 이는 노벨 평화상 수여 원칙인 국가간의 우애를 돈독히 하거나 상비군을 폐지·축소하거나 평화회담을 개최하고 주장하는 데 가장 큰 공을 세운 사람이나 단체에 가장 적합하다고도 볼 수 있다.

물론 이에 대해서는 반론도 있는데, 신 전략무기감축협정 또한 '상비군을 폐지·축소'라는 조건에 충분히 해당 가능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제2세계의 대표적 군사강국인 러시아중국은 참여하지 않았고, 심지어 같은 제1세계에서도 대놓고 반기를 드는 국가가 이나 있으며 맹주인 미국조차 별 관심 없어서 실질적인 영향력이 사실상 제로에 가까운 국제 집속탄 사용금지 협약과 달리, 신 전략무기감축협정은 세계 핵전력 1위 국가2위 국가의 핵전력을 감축하는 직접적인 효력을 가진 협정이다. 세계 평화에 대한 실질적인 기여도로 따지자면 국제 집속탄 사용금지 협약보다 몇 배는 위로 쳐줘야 할 것이다.

심사위원들이 오바마를 좋아해서 줬다기보다는 '부시에 대한 반감'으로 준 게 아닐까 하는 이야기도 있다. 오바마 대통령의 노벨상 수상은 대통령이 된 후의 정책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대통령이 되기 전 유색인종의 인권을 위해 노력한 일, 아니 흑인 대통령 당선 그 자체만으로 미국 내 화합에 기여한 점을 고려한 것 아닌가 하는 이야기도 있다. 노벨평화상이 원래 주는 이유가 좀 모호한 상이기도 하다.

여기에도 황당한 에피소드가 있는데 오바마가 수상식에서 전쟁을 합리화 하는 발언을 하는 바람에 심사위원들이 깜짝 놀랐다는 이야기다. 오바마는 "때론 국가가 정의의 전쟁에 나서야만 할 때도 있고 국민에 대한 위협에 빈둥거리며 낭비할 시간은 없다"라며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미군 증파한 결정도 정당화하는 모순되는 말을 했다. 이 때문에 평화상을 준 심사위원들 입장에서는 정의로운 전쟁이라는 말을 듣고 굉장히 난처했다는 이야기가 뉴스를 통해 전해졌다.

오바마가 퇴임한 이후에는 2009년에 러시아와 미국 간의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이 갱신되었기 때문에 받은 것이라는 견해가 우세하다.[42] 사실 신 전략무기감축협정이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바는 의외로 작지 않은데, 핵전력 감축에 대한 신규 협정이 없는 상태에서 START I이 만료될 경우 미국과 러시아가 다시금 핵무기 전력을 증강하더라도 그걸 막을 방법이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43] 게다가 오바마는 학생 시절은 물론이고 상원의원 시절 대표적인 핵전력 감축론자로 유명했다. 2010년에는 공약대로 워싱턴에서 제1차 핵안보정상회의를 개최하였고, 2012년 서울, 2014년 헤이그를 거쳐 2016년까지 4번의 회의로 이어지게 되었다

2기 임기 막바지에 쿠바와의 국교 정상화와 이란과의 핵 협상 타결이라는 빅 이벤트가 성사된 뒤에는 오바마가 충분히 상 받아간 값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 편이다

이후 스티븐 콜베어의 레이트 쇼에 나와서 노벨평화상 수상과 관련한 셀프디스를 하였다. 솔직히 본인도 왜 받은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물론 쇼를 위한 농담이니 진지하게 받아들이진 말자.[44]



5.5. 추천 도서, 영화, 드라마, 노래[편집]


매년 자신이 그해 가장 인상깊었던 대중문화 작품 리스트를 발표한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2022
도서영화노래
“The Light We Carry”
미셸 오바마
더 파벨만스"The Heart Part 5"
켄드릭 라마
“Sea of Tranquility”
에밀리 세인트존 맨델
헤어질 결심“Tití Me Preguntó”
Bad Bunny
“Trust”
Hernan Diaz
The Woman King“POF”
Ari Lennox
“The Revolutionary: Samuel Adams”
스테이시 시프
Aftersun“Something in the Orange”
Zach Bryan
“The Furrows: A Novel”
Namwali Serpell
에밀리:범죄의유혹“Last Last”
Burna Boy
“South to America: A Journey Below the Mason-Dixon to Understand the Soul of a Nation”
이마니 페리
쁘띠 마망“American Teenager”
Ethel Cain
“The School for Good Mothers”
Jessamine Chan
마지막 노예선, 그리고 후손들“Communion in My Cup”
Tank and The Bangas ft. The Ton3s
“Black Cake”
샤메인 윌커슨
레벤느망“Pull Up”
Koffee
“Ducks: Two Years in the Oil Sands”
케이트 비턴
Till“Saoko”
Rosalía
“Liberation Day”
조지 손더스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Rush”
Ayra Starr
“The Candy House”
제니퍼 이건
탑건: 매버릭“Break My Soul”
비욘세
“Afterlives”
압둘라자크 구르나
굿 보스“Life is Good”
SiR ft. Scribz Riley
우연과 상상“That’s Where I Am”
Maggie Rogers
히어로“Dodinin”
Leyla McCalla
길 위의 가족“Sunshine”
Steve Lacy ft. Fousheé
타르“Calm Down”
Rema
애프터 양“Problem With It”
Plains
“Feelings 4 You”
Xavier Omär
“Belize”
Danger Mouse and Black Thought ft. MF DOOM
“Tamagotchi”
Omar Apollo
“Home Maker”
Sudan Archives
“Where I Go”
NxWorries (Anderson .Paak and Knxwledge) ft. H.E.R.
“Shirt”
SZA
“About Damn Time”
Lizzo
“‘Round Midnight”
Adam Blackstone and Jazmine Sullivan

2021
도서영화노래
"Matrix"
로런 그로프
드라이브 마이 카"The Only Heartbreaker"
Mitksi
"How the Word Is Passed"
클린트 스미스
축제의 여름 (… 혹은 중계될 수 없는 혁명)"I Don't Live Here Anymore"
The War On Drugs featuring Lucius
"The Final Revival of Opal & Nev"
도니 월턴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Tala Tannam"
Mdou Moctar
"The Lincoln Highway"
Amor Towles
파워 오브 도그"Magnolia Blues"
Adia Victoria
"Invisible Child: Poverty, Survival & Hope in an American City"
앤드리아 엘리엇
피그"Witchoo"
Durand Jones, The Indications and Aaron Frazer
"Harlem Shuffle"
콜슨 화이트헤드
패싱"Formwela 10"
Esperanza Spalding
"Cloud Cuckoo Land"
Anthony Doerr
카드 카운터"Gold Chains"
Genesis Owusu
"These Precious Days"
앤 패칫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Broken Horses"
Brandi Carlile
"Crying in H Mart"
Michelle Zauner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Woman"
Little Simz featuring Cleo Sol
"Aftershocks"
나디아 오우수
올드 헨리"Farruko"
Pepas
"Crossroads"
조너선 프랜즌
라스트 듀얼: 최후의 결투"Go Down Deh"
Spice featuring Sean Paul and Shaggy
"The Love Songs of W.E.B. Du Bois"
Honorée Fanonne Jeffers
맥베스의 비극"Freedom"
Jon Batiste
"Beautiful Country"
Qian Julie Wang
컴온 컴온"It's Way With Me"
Wye Oak
"At Night All Blood is Black"
David Diop
쿠오바디스, 아이다"Nobody"
Nas featuring Lauryn Hill
"Land of Big Numbers"
Te-Ping Chen
"Nightflyer"
Allison Russell
"Empire of Pain"
패트릭 래든 키프
"Montero (Call Me By Your Name)"
Lil Nas X
"Project Hail Mary"
앤디 위어
"Patria Y Vida"
Yotuel, Gente de Zona, Descemer Bueno, Maykel Osorbo, el Funky
"When We Cease to Understand the World"
Benjamín Labatut
"Notice"
Tammy Lakkis
"Under a White Sky: The Nature of the Future"
Elizabeth Kolbert
"Armash"
Teddy Afro
"Things We Lost to the Water"
Eric Nguyen
"Write A List of Things To Look Forward To"
Courtney Barnett
"Leave the World Behind"
Rumaan Alam
"Volví"
Aventura and Bad Bunny
"Klara and the Sun"
가즈오 이시구로
"Headshots (4R Da Locals)"
Isaiah Rashad
"The Sweetness of Water"
네이선 해리스
"Boomerang"
Yebba
"Intimacies"
케이티 기타무라
"In My Blood"
MO3 and Morray
"Ya"
YENDRY
"Rumors"
Lizzo featuring Cardi B
"Walking At A Downtown Pace"
Parquet Courts

2020
도서영화TV 시리즈
“Homeland Elegies: A Novel,”
Ayad Akhtar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베터 콜 사울
“Jack,”
메릴린 로빈슨
빈폴퀸스 갬빗
“Caste: The Origins of Our Discontents,”
이저벨 윌커슨
바쿠라우아이 메이 디스트로이 유
“The Splendid and the Vile: A Saga of Churchill, Family and Defiance during the Blitz,”
Erik Larson
노매드랜드더 보이즈
“Luster,”
Raven Leilani
소울The Good Lord Bird
“How Much of These Hills Is Gold,”
C Pam Zhang
Lovers Rock데브스
“Long Bright River,”
리즈 무어
콜렉티브마이클 조던 - 더 라스트 댄스
“Memorial Drive: A Daughter’s Memoir,”
Natasha Trethewey
맹크미세스 아메리카
“Twilight of Democracy: The Seductive Lure of Authoritarianism,”
앤 애플바움
마틴 에덴굿 플레이스
“Deacon King Kong,”
제임스 맥브라이드
렛 힘 고City So Real
“The Undocumented Americans,”
Karla Cornejo Villavicencio
타임
“The Vanishing Half,”
브릿 베넷
보이즈 스테이트
“The Glass Hotel,”
에밀리 세인트존 맨델
Selah and The Spades
“Hidden Valley Road: Inside the Mind of an American Family,”
로버트 콜커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The Ministry for the Future,”
킴 스탠리 로빈슨
“Sharks in the Time of Saviors,”
Kawai Strong Washburn
“Missionaries,”
Phil Klay

2019
도서영화TV 시리즈
“The Age of Surveillance Capitalism: The Fight for a Human Future at the New Frontier of Power”
Shoshana Zuboff
아메리칸 팩토리플리백
“The Anarchy: The Relentless Rise of the East India Company”
윌리엄 댈림플
Amazing Grace언빌리버블
“Furious Hours: Murder, Fraud, and the Last Trial of Harper Lee”
Casey Cep
Apollo 11왓치맨
“Girl, Woman, Other”
Bernardine Evaristo
강호아녀
“The Heartbeat of Wounded Knee: Native America from 1890 to the Present”
David Treuer
애틀랜틱스
“How to Do Nothing: Resisting the Attention Economy”
Jenny Odell
Birds of Passage
“Lost Children Archive”
Valeria Luiselli
북스마트
“Lot: Stories”
브라이언 워싱턴
Diane
“Normal People”
샐리 루니
페어웰
“The Orphan Master’s Son”
애덤 존슨
포드 V 페라리
“The Yellow House”
세라 M. 브룸
아이리시맨
“Say Nothing: A True Story of Murder and Memory in Northern Ireland”
패트릭 래든 키프
저스트 머시
“Solitary”
앨버트 우드폭스
The Last Black Man in San Francisco
“The Topeka School”
벤 러너
작은 아씨들
“Trick Mirror: Reflections on Self-Delusion”
Jia Tolentino
결혼 이야기
“Trust Exercise”
수전 최
기생충
“We Live in Water: Stories”
제스 월터
수베니어: 파트 I
“A Different Way to Win: Dan Rooney’s Story from the Super Bowl to the Rooney Rule”
짐 루니
트랜짓
“The Sixth Man”
안드레 이궈달라

2018
도서영화노래
Becoming
미셸 오바마
서던 리치: 소멸의 땅"Apeshit"
The Carters
An American Marriage
타야리 존스
블랙 팬서“Bad Bad News”
Leon Bridges
Americanah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블랙클랜스맨“Could’ve Been”
H.E.R. (feat. Bryson Tiller)
The Broken Ladder: How Inequality Affects the Way We Think, Live, and Die
키스 페인
블라인드스포팅“Disco Yes”
Tom Misch (feat. Poppy Ajudha)
Educated
Tara Westover
버닝“Ekombe”
Jupiter & Okwess
팩트풀니스
Hans Rosling
스탈린이 죽었다!“Every Time I Hear That Song”
Brandi Carlile
Futureface: A Family Mystery, an Epic Quest, and the Secret to Belonging
Alex Wagner
에이스 그레이드“Girl Goin’ Nowhere”
Ashley McBryde
A Grain of Wheat
응구기 와 시옹오
빌 스트리트가 말할 수 있다면“Historia De Un Amor”
Tonina (feat. Javier Limón and Tali Rubinstein)
A House for Mr Biswas
V. S. 나이폴
흔적 없는 삶“I Like It”
Cardi B (feat. Bad Bunny and J Balvin)
How Democracies Die
Steven Levitsky and Daniel Ziblatt
화해의 조건“Kevin’s Heart”
J. Cole
In the Shadow of Statues: A White Southerner Confronts History
Mitch Landrieu
로데오 카우보이“King For A Day”
Anderson East
Long Walk to Freedom
[[넬슨 만델라]
로마“Love Lies”
Khalid & Normani
The New Geography of Jobs
엔리코 모레티
어느 가족“Make Me Feel”
저넬 모네이
The Return
Hisham Matar
그녀들을 도와줘“Mary Don’t You Weep” (Piano & A Microphone 1983 Version)
Prince
Things Fall Apart
치누아 아체베
내 이웃이 되어 줄래요?“My Own Thing”
Chance the Rapper (feat. Joey Purp)
Warlight
Michael Ondaatje
“Need a Little Time”
Courtney Barnett
Why Liberalism Failed
Patrick Deneen
“Nina Cried Power”
Hozier (feat. Mavis Staples)
The World As It Is
벤 로즈
“Nterini”
Fatoumata Diawara
American Prison
셰인 바워
“One Trick Ponies”
Kurt Vile
Arthur Ashe: A Life
Raymond Arsenault
“Turnin’ Me Up”
BJ the Chicago Kid
Asymmetry
Lisa Halliday
“Wait by the River”
Lord Huron
Feel Free
제이디 스미스
“Wow Freestyle”
Jay Rock (feat. Kendrick Lamar)
Florida
로런 그로프
The Great American Songbook
Nancy Wilson
Frederick Douglass: Prophet of Freedom
David W. Blight
Immigrant, Montana
Amitava Kumar
The Largesse of the Sea Maiden
Denis Johnson
Life 3.0: Being Huma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x Tegmark
There There
Tommy Orange
Washington Black
Esi Edugyan

6. 가족 관계[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rack_Hussein_Obama%2C_Sr..jp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tanley_Ann_Dunham_1960_Mercer_Island_High_School_yearbook.jpg
  • 아버지 버락 오바마 시니어, 어머니 스탠리 앤 던햄

파일:StanleyDunham.jpg
  • 외할아버지 스탠리 A. 던햄(Stanley A. Dunham)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오바마하고 아주 판박이다. 오바마의 작은외할아버지에 따르면 오바마가 자주 사용하는 표현인 "Now look, ..."과 같은 언어적 표현과 손동작들은 오바마 외할아버지로부터 배운거 같다고 한다. 성장기에 친아버지가 없었고 의붓아버지와 함께 산 시간도 그렇게 길지는 않았던 만큼 외할아버지가 대부분 남자로서의 거울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

참고로 본인 특유의 긴 얼굴, 긴 코는 후손들에게 쭉 이어지게 된다. 딸인 앤 던햄, 외손자인 버락 오바마, 증손녀인 말리아 오바마의 두상과 코 형태가 스탠리 던햄의 판박이인 것을 알 수 있다. 유전자의 신비랄까.

미셸은 시카고에서 태어나 프린스턴대를 졸업하고 역시 하버드 로스쿨을 졸업했는데 시민단체와 지역사회개발활동에서 5년간 시간을 보낸 오바마보다 3년 선배다. 로펌에서 버락과 만나 1992년 결혼했다.

파일:Obama_Family.jpg
  • 맨 왼쪽이 장녀 말리아 오바마, 맨 오른쪽이 차녀 사샤 오바마

버락 오바마가 37세와 40세, 미셸이 34세와 37세에 본 늦둥이 딸들.

장녀 말리아는 오바마 대통령의 재임 마지막해인 2016년 8년동안 다녔던 시드웰 프렌즈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 진학해 시각환경학을 전공했다. 2023년에 도널드 글로버의 제작사에서 일했다고 한다.

차녀 사샤는 오바마 대통령 퇴임 후에도 계속 워싱턴 D.C.의 시드웰 프렌즈에 다녀 당분간 오바마 부부도 사샤가 졸업할 때까지 워싱턴 D.C.에서 머물렀다. 이후 시드웰 프렌즈를 졸업하고 나서는 2019년에 미시간 대학교로 진학했다가, 2022년 USC로 편입하여 사회학사로 졸업했다.

공교롭게도 장녀 말리아와 차녀 사샤 모두 그의 아버지가 아직 대통령에 취임하기 이전에 학교에 진학했으며 그의 자녀 모두 오바마의 전임 대통령인 조지 W. 부시가 대통령으로 재임하던 시절에 학교에 진학했다.[45]

여담으로 말리아는 아버지인 오바마를, 사샤는 외삼촌인 크레이그를 닮았다.


7.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 선거인단 수)당선 여부비고
1996일리노이 주 상원의원 선거일리노이 13구

48,592 (82.16%)당선 (1위)초선
1998일리노이 주 상원의원 선거45,486 (89.17%)재선
2002일리노이 주 상원의원 선거48,717 (100.0%)[46]3선
2004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일리노이3,598,277 (69.97%)초선[47]
2008미국 대통령 선거미합중국69,498,516 (52.93%, 365명)초선
2012미국 대통령 선거65,915,795 (51.06%, 332명)재선


8.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96 - 현재정계 입문
정계 은퇴


9. 어록[편집]


존 F. 케네디, 로널드 레이건, 빌 클린턴 전 대통령 등과 함께 언변이 뛰어난 대통령으로 평가받으며 연설 등에서 적절한 조크를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SNS 스타이기도 하다. 게다가 그냥 스타인게 아니라 트위터 팔로워수가 1.2억명으로 전체 1위이다!


오바마: "우선 유킬리스에 대해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군요."

오바마 지지자들: (야유)

오바마: "제가 말하고 싶은것은 그가 양말(socks)[48]

색깔을 바꿔야 한다고 말하는 겁니다."

오바마 지지자들: (웃음)

오바마: "여기서 야유를 받을지 몰랐네요.[49]

야구 얘기를 꺼내지 말았어야 했어요. 이해합니다. 제 실수입니다. (이곳에 있는) 청중들이 어떤 사람들인지를 알았어야 했는데.(웃음)"

케빈 유킬리스보스턴 레드삭스에서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트레이드된 후 가진 보스턴 연설에서 유킬리스 보내줘서 고마워요 ㅋ라는 말을 했다가 야유를 들었다(…). 이 뒤에 백악관에서는 Boo가 아니라 Youuuuuuuuk였다는 개드립으로 천조국 황제폐하를 변호했다고.


오바마: 512호 홈런을 쳤던 어니컵스가 언젠가 반드시 정상에 오르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청중: 웃음.

오바마: (참으로 안타까운 표정으로) 진심으로요.

청중: 웃음.

오바마: 화이트삭스 팬인 저도 이 점을 존경해 마지 않습니다(…).

시카고 컵스의 레전드 어니 뱅크스의 대통령 자유 훈장 수여식 중에 시카고 컵스를 돌려까기도 했다(…). 그리고 2016년, 드디어 정상에 올랐다!


여자친구 건들지 말라는 한 유권자에 대한 반응.


오바마: 제가 더 이상 출마할 선거는 없습니다.(I have no more campaigns to run.) 저의 유일한 의제는…(my only agenda..)

공화당: (박수갈채)

오바마: 맞습니다, 왜냐하면 전 둘 다 이겼거든요(I know because I won both of them.)[50]

민주당: (박수갈채), (환호)



지미 키멜의 토크쇼에 출연했을 때 키멜이 "제가 만약 대통령이 되었다면, 취임식 이후 바로 51구역외계인들의 파일들을 찾아보러 갔을 거예요. 당신은 그랬나요?"라는 질문을 받자, "그래서 당신이 대통령이 될 일이 없어요."라는 시크한 대답을 날렸다.

지미 키멜: 만약 제가 대통령이 된다면, 그럴 일은 없겠지만요.

오바마: 혹시 모르지.

지미 키멜: 제가 대통령이…

오바마: 나도 그럴 일 없을 줄 알았거든.

지미 키멜: 제가 대통령이 된다면 성서에 손을 올리자마자[51]

바로 51구역, UFO에 관련된 파일을 다 뒤져서 찾아볼 것 같은데요, 대통령께서도 그러셨나요?

오바마: 그래서 자네가 대통령이 될 일이 없는 거야. 그게 첫 번째로 하고 싶은 일이라니. 외계인들은 자네가 대통령이 되게끔 하지 않을 꺼야. 자네가 모든 비밀을 누설시킬테니. 그들은 우리를 꽤나 강하게 통제하고 있다고.

지미 키멜: 많은 사람들이 지금 대통령의 표정이 조금 찌푸려진 것도 다 보고 있을거라고요. 그래서, 그것(UFO와 51구역)에 관해서 무언가를 보신 적이 있나요?

오바마: 아무것도 말할 수 없어.

지미 키멜: 정말요? 예전에 제가 빌 클린턴 대통령께 여쭤봤더니, 직접 확인해 보셨는데 아무 것도 없었다고 그러셨거든요.

오바마: 외계인들이 그렇게 말하라고 지시하거든

그 외에도 위의 방송에서 유머섞인 모습을 보이기도.


2009 MTV 뮤직비디오 시상식에서 테일러 스위프트가 수상소감을 말하던 도중 카니예 웨스트가 난입해서 방해했던 적이 있었는데, 이 사태에 대해서 "He's a jackass"라고 했다. 현장의 기자가 이를 오프 더 레코드인걸 모르고 그대로 보도해 온 국민이 알게 되었다. 그러나 애초에 카니예 웨스트가 엄청 까일만한 행동을 했었던 것이기 때문에 오바마를 욕하는 사람은 없었고, 오히려 반응이 좋아서 원본 영상까지 공개되었다.


기자회견 마무리 짓는 멘트로 "이제 스타워즈 보러 갑니다. 고맙습니다.(Get to 'Star Wars. Thank you.)"라는 애드립을 날렸다.


2016년 신년 연설에서 "니들 지겨워하는 거 같으니까 짧게함 ㅋㅋ"이라고 말해 박수를 받기도 했다.


2012년 3월 14일, 백악관을 방문한 영국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 내외를 예방하는 자리에서 미영전쟁을 들먹이며 캐머런을 놀리는 오바마. 받아치는 캐머런의 모습도 재미있다.

18:05부터

"오바마": 200년 전, 영국은 처음으로 이 곳 백악관을 방문했습니다. 비록 다른 이유였긴 하지만요.

청중: (웃음)

"오바마": 상당히 인상깊었죠.(They made quite an impression.)

청중: (웃음)

"오바마": 말 그대로 이 곳을 뜨겁게 달궜습니다.(They really lit up the place.)(화르륵)[52]

청중: (웃음)

"오바마": 여하튼 그 후로는 잘 지냈죠.(But we moved on.)

청중: (웃음)

25:25부터

"캐머런": 이 곳에 서서 200년 전 그 일을 생각하니 상당히 당황스럽군요.

청중: (웃음)

"캐머런": 우리 조상님들이 이 곳을 불태우려 했다니.

청중: (웃음)

"캐머런": 오늘 쭉 둘러보니 그 때보다는 방비를 잘 해놓으셨더군요.

청중: (웃음)

"캐머런": 이번에는 우리 영국인들에 대한 대비책을 허투루 세우시지 않은 것 같습니다.

청중: (웃음)



Citizens...

Yes, We Can!

We can make it Better!

Yes, we did!

고별연설을 끝맺으며. 오바마의 대선 캠페인 슬로건이었던 "Yes, We Can!"을 살짝 비틀어, 본인을 미국 대통령으로 2번 뽑아준 국민들에 대한 감사를 전한 것이다.


10. 방송 활동[편집]


  • 미국 NBC에서 방영한 Running Wild with Bear Grylls에 출연해 알래스카를 배경으로 생존기술을 전해 받은 바가 있다. 생태계 최강의 존재가 나오는 그 프로가 맞다.



  • 코미디 센트럴에서 방영한 Key & Peele의 "오바마의 분노 번역기"라는 스케치에서 패러디된다. 내용인즉슨 오바마가 젠틀하게 연설하면 옆에서 "분노 번역기" Luther가 "사실 내 말뜻은 이거다 개XX들아!!"라고 번역해주면서 웃음을 유발하는 스케치. 이후 오바마가 2015년 4월 25일 공화당 및 민주당 의원들이 잔뜩 모인 백악관 출입 기자단 저녁 만찬에 "분노 번역기" Luther를 데려왔다! 처음엔 원작처럼 오바마의 연설을 '분노 번역기'가 번역해 주다가, 어느 순간 오바마 본인이 더한 막말을 퍼붓자 분노 번역기가 오히려 당황하는 부분이 포인트.[53]
이후 매해 4월 열리는 이 기자단 참석 만찬에는 대통령이 스탠드 업 코미디를 선보이는 관례가 정착되어 있다. 원본 영상을 보면 50:00부터 나온다. 퇴장하기 전에 '분노 통역사보다는 상담이 더 필요하신 듯합니다만'이라고 말한 데다가 퇴장할 때에도 영부인 미셸 오바마에게 '미쳤나 봐요' 말하기까지 한다.




11. 대중 매체에서[편집]


  • 화이트 하우스 다운에서 제이미 폭스가 연기한 제임스 소이어 대통령은 딱 봐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본뜬 캐릭터. 화이트 하우스 다운의 감독인 롤랜드 에머리히는 열렬한 민주당 지지자이며 영화에서 이런 성향을 대놓고 드러내는데 이 영화에서도 마찬가지인 것.


  • 내 이름은 칸에선 상원 의원의 신분으로 맨 처음 등장해 칸의 행보를 예의주시하다가 대통령 당선 이후 칸을 찾아가서 그와 만난다. 근데 조지 부시는 아주 빼다 박았던 것에 비해서 <내 이름은 칸>에 나왔던 배우는 목소리는 좀 비슷한데 생긴 건 하나도 안 닮았다…

  •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에선 대사는 없고 뒤통수만 나와서 해리 하트의 정체를 모른다고 확인해 준 다음에 발렌타인의 회유에 넘어가서 그의 신세계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지만 마지막에 머리가 폭발하여 요단강을 건넌다.



  • 에어기어에도 나온 적이 있다. 이름은 초상권 침해의 우려가 있어 살짝 다르게 나왔다.

  • 드웨인 존슨SNL에 출연해서 더 락 오바마를 연기해, 프로 레슬러가 아닌 배우로서 일약 전국구 스타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

  • 기안84네이버 웹툰복학왕에 '바락 우바마'란 이름으로 2번 나왔다. 첫번째 등장은 별 파문이 없었지만, 2번째에서는 오바마를 희화화하여 등장시켜 독자들이 외교 관계를 걱정하는 등 진지하게 받아들이기도 했다.



  • 퓨쳐라마에서도 젊은 시절 피자 배달하던 모습으로 등장. 갈굼 받으며 잔뜩 주눅이 든 채 "로스쿨로 돌아가야겠어..."라며 푸념을 하는 등 초라한 모습으로 나왔는데 그걸 보고 프라이의 아버지가 "넌 저런 패배자 인생을 살지 마라"라고 아들에게 한 마디 한다.

  • 사우스 파크에선 당선 당시를 다룬 에피소드가 있다. 버락 오바마, 미셸 오바마, 존 맥케인, 사라 페일린은 4인조 도둑으로 백악관을 털기 위해 모인 한통속이었던 내용으로 굳이 대통령이 되려고 한건 백악관 내부의 대통령 전용 터널을 탈출할 때 쓰기 위해서였다. 마지막에는 역시 한패였던 아이크가 자료 조작으로 4인조가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고 하고 잠적하려고 했지만 버락 오바마는 마음이 바뀌어서 대통령 자리에 도전해보기로 하는 것으로 에피소드가 끝난다.

  • 배리는 오바마의 청년기를 다룬다.

  • 푸른거탑에서 방한하여 3소대에 들러 소대원들과 만나 정진욱에게 군 생활이 어떠냐 묻자 정진욱은 조국을 위해 충성을 다하는 것이 자랑스럽다고 말하자 박수갈채를 보낸다. 그러나 김호창이 식중독과 설사로 화장실에 가던 중 오바마와 부딪치고 오바마의 구두에 구토를 하여 외신기자들에게 신상이 털리고 만다.

  • 2012(영화)에 나오는 미국 대통령도 오바마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이다.

  • 식탐정에서는 어느 나라의 대통령이라는 단역 캐릭터로 등장. 생김새가 대놓고 오바마인데다가 예고편에서는 아예 Yes We Can이라는 문구를 박아 넣었다.






11.1.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오붕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둘러보기[편집]


||



[1] 영어병영을 뜻하는 Barrack이 아니다. '버락(Barack)'은 스와힐리어에서 따온 것으로 의 축복을 받은 자라는 뜻이다. 아랍어에도 이와 같은 의미의 이름으로 무바라크(مبارك)가 있다. 코미디언 크리스 락에 따르면, 전직 NBA 선수 디켐베 무톰보처럼 듣기만 해도 흑인인 걸 알아챌 정도로 흑인다운 이름이라고 한다.[2] 전 세계에서 첫번째로 많은 트위터 팔로우 수를 보유한 인물이다.[3] 캔버스 위에 유화로 초상화를 그리던 전통을 깨고 마치 사진을 찍은 것처럼 생생한, 극사실주의적인 초상화를 채택했다.[4] 존 로버츠 연방대법원장이 취임 선서를 제대로 읊지 못해 버락 오바마가 약간 당황한다. 결국 두 사람은 다음날 백악관에서 취임 선서를 약식으로 다시 했다.[5] 1789년부터 2009년까지 재임한 초대 조지 워싱턴 대통령부터 43대 조지 W. 부시 대통령까지는 전원 백인 출신 대통령이 집권했지만 2009년에 사상 첫 흑인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가 제44대 미국 대통령으로 공식 출범함에 따라 220년 만에 그 공식은 깨지게 된다.[6] 아버지는 원래 무슬림이었으나, 자라면서 무종교인이 되었다.[7] 정확히는 이라크 전쟁에서 죽은 아랍계 미군의 예를 들면서 기독교인도 무슬림도 훌륭한 미국인이라는 발언을 했다.[8] 공화당 지지세가 매우 강한 남부의 앨러배마에서는 45%, 미시시피에서는 무려 52%가 버락 오바마를 무슬림이라고 믿고 있다.[9] 참고로 미국은 헌법상으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청교도들의 이주에서 시작한 것도 있고 대체로 청교도가 많아 가끔 착각하는 듯 하지만 신정국가가 아니다. 그러나 배경은 무시할 수 없으므로 사회적으로는 기독교, 특히 개신교를 매우 숭상하는 편이다. 이는 미국 헌법 자체가 개신교(적 유신론) 사상에 바탕하여 쓰여졌다고 미국민들이 생각하고(미국인의 대부분이 기독교(및 그에서 파생된 종파)를 믿거나, 기타 일신론적 종교(이슬람교 등)를 믿기 때문에 그렇다.) 그로 인해 전통적으로 선서나 맹세 등 중요한 건 웬만하면 다 성경에 대고 하기 때문이다.(다만 최초의 무슬림 하원 의원이 탄생하면서 쿠란 선서가 이루어졌다.)[10] 이는 모든 역대 미국 대통령들의 특징이기도 하다. 무능의 아이콘으로 이미지된 조지 W. 부시도 동일하게 임기 전과 후 폭삭 늙고 흰머리가 많이 생긴 비교사진이 있다. 도널드 트럼프도 4년만 했지만, 임기 전과 후의 외모가 많이 달라졌다. 임기 전에는 상당히 동안이었지만, 현재는 딱 74살 할아버지로 보인다는 반응. 비슷하게 한국의 문재인참여정부의 비서실장 시절 때의 격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과로로 인해 치아를 9개나 발치하고 임플란트를 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문재인 특유의 쩝쩝거리는 듯한 발음이 생겼다. 게다가 문재인은 퇴임 후에 수염까지 길러 더욱 그 나이대로 보인다.[11] 특히 디트로이트 같은 곳은 겨우 25% 정도로 한 반에 중퇴자가 4분의 3이나 된다.[12] 그리고 국제관례상 군주국의 국가원수에 대해서는 공화국의 국가원수가 상대를 극존중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진다.[13] 참고로 바로 전임의 전임 또한 46갑인데다 또 한번 재밌게도 아들 부시 & 트럼프 한쌍과 함께 그 생일조차 각각 1달씩이나 차이난다. 오바마 본인은 바로 존 F. 케네디의 집권 시기 출생자이다.[14] 참고로, 더 락 오바마를 연기한 사람은 이름에서 알다시피, 프로레슬러 더 락으로 유명한 배우 드웨인 존슨. 그리고 그 드웨인 존슨도 2017년 현재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비판이 만만치 않자 트럼프가 탄핵당할 것 또는 재선에 실패할 것을 대비해서 대통령으로 밀어주자는 캠페인이 벌어지고 있다.[15] 물론 오바마는 일본에 딱히 적대적인 모습을 보인 적은 없는데다가 일본이 막 국가적 재난 상황을 겪은 만큼 공식적인 석상에서 일본을 조롱하는 무리수를 둘 이유가 전혀 없다. 영어에서 일본인은 패니스 피플로 재에 강세가 오지만, 일본은 저하고 뒤에 강세가 오는 차이 때문에 "잽" 부분에서 끊은게 공교롭게 멸칭인 Jap과 똑같은 발음이 되어버린 것.[16] 참고로 오바마의 정치적 기반인 일리노이 주에서는 원자력으로 전력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며, 이웃 주에 수출도 약간 한다.[17] 2016년 미국 대선 당시 토론에서도 사회자가 트럼프가 오바마가 미국 태생이 아니라는 잘못된 주장을 5년 동안 했지만 선거 당시에는 미국 태생이라는걸 인정했다고 했다. # 영상 처음부분부터 나온다.[18] 백악관 출입기자들을 위한 행사로 게스트들과 대통령이 유머섞인 연설을 펼치는 것으로 유명하다.[19] 오바마는 웃으면서 이 개그를 하고는 아무렇지도 않게 아래의 넵튠 스피어 작전을 실행하러 갔다. 더욱 무서운 사실은 오사마 빈 라덴의 위치를 가지고도 사이코패스마냥 농담을 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오바마가 트럼프를 비웃는 짤방이 양산되고 당시 공화당 경선주자였던 트럼프의 지지율은 급감했다. 그리고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오바마는 유쾌한 분위기에서 재치있는 단어 선택으로 트럼프를 조롱하였다. 모든 사람이 다들 빵 터진 가운데 트럼프 혼자 표정이 일그러지는 모습이 카메라에 찍혔다.[20] 게다가 이때를 기점으로 트럼프는 민주당의 완벽한 정적이 되어버렸다.[21] 다코타 패닝(1994~)의 여동생인 엘 패닝(1998~)과 동갑내기에 엘 패닝 역시 말리아 오바마만큼 무지막지한 수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엄청난 장신(175cm)이다.[22] 우리나라와 미국 모두 2012년에 대선을 치렀고 그 선거에서 각각 오바마(재선 성공), 박근혜가 당선되었기 때문에, 오바마 첫번째 임기는 이명박이, 2번째 임기는 박근혜가 파트너였다.[23] 사실 연장자에 대한 예의 차원에서 보면 오바마가 결례를 범한 것처럼 보이지만, 저건 오히려 박근혜가 더 결례를 범한 것이다. 미국 대통령과 공동기자회견이라면 대통령직 중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인데 집중을 하지 않고 있었단 소리고, 실제로 질문을 잊어버렸다면 자연스럽게 "실례지만 질문을 반복해줄 수 있는가?"(정치인들이 답변을 생각할 시간을 벌기 위해 자주 쓰는 수법이기도 하다)라고 요청하면 될 것을 멍 때리고 있다는 건 반푼이 인증이다. 그리고 오바마 입장에서 빡칠 만한 것이, 대한민국 대통령이란 건 미국 입장에서도 중요한 사람이다.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이자 동아시아 안보의 핵심 플레이어 중 하나로, 정상회담에 오바마도 철저하게 준비하고 나왔을게 분명하다. 즉, 상식 이하의 어리버리함에 "아놔 장난하냐고"를 아주 우회적으로 표현했다고 볼 수도 있다.[24] 미국 대통령이 방한해서 한국 기자들이 질문할 수 있는 기회가, 날이면 날마다 오는 것도 아니다.[25] 북한은 백두혈통주의가 강력하게 자리잡은 집단으로 인종차별을 밥먹듯이 한다.[26] 당시 한 말은 "제가 캠프 데이비드에서 사격하고 있는 사진을 가지고 포샵 한 거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여기서 고백하는데, 그들의 말이 맞았습니다. 사실 실제 사진은 이거였죠."[27] 6호 전차 티거의 방호력이 강철 수직장갑 10cm였다. 꾸준히 향상된 복합장갑의 성능을 예상하면 아무리 못해도 M60 패튼의 전면장갑 수준이다.[28] https://www.yna.co.kr/view/AKR20160903052400009[29] 만약 바이든이 임기를 다 마치지 못한다면, 이 기록이 카멀라 해리스(1964년생)에게 넘어가는 것이다.[30] 사실상 하와이로 쫒겨난 것이다. 이후 1965년 죽을 때까지 하와이에서 지내다가 죽어서야 고국 땅으로 돌아간 셈이다.[31] 다만 김대중의 경우 본인이 재선에 나선 게 아니라 여당 후보 노무현이 당선된 것이었다.[32] 당시 오바마는 25살, 그녀는 23살이었다.[33] 흑인 최초 대통령과 퍼스트 레이디라는 로맨스의 완성을 위해 정치적인 목적이 있었다는 얘기가 있긴 하지만, 그래도 오바마 부부는 금슬이 좋은 건 사실이다. 심지어 오바마와 크레이그(미셸의 오빠)는 평생 친구이기까지 하다.[34] 같은 이유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경우도 흑인+인도계(아시아계) 혼혈이지만 피부색이 어둡고 본인 스스로 흑인으로서의 정체성 또한 가지고 있어 흑인으로도 친다. 카말라는 정확하게 따지면 아시아계 흑인이다.[35] 아버지 없이 자란 탓에 외조부를 통해 아버지의 역할을 배웠다. 오바마가 연설에 자주 넣는 추임새 중 하나인 'Look'이 외조부의 영향을 받아서 생긴 습관이라고.[36] 잘 보면 백인의 특징과 흑인의 특징이 절묘하게 섞여 있는 이목구비이긴 한데, 이건 대부분의 흑백혼혈이 그렇기 때문에 딱히 오바마가 특이한 건 아니다.[37] 오바마는 "아버지가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나는 인지하지 못했다."고 회고했다.[38] 이 경기가 ALCS 2차전. 피어진스키의 낫아웃 사기극이 일어난 경기이다. 여담으로 이해 화이트삭스는 AL 전체1위로 월드시리즈 우승을 달성.[39] 심지어는 롬니가 그렇게 죽자고 유세했던 오하이오에서도 오바마 승.[40] 이 사람은 오바마 집권기를 조지 부시의 3선이라고 표현했다.[41] 자신의 경험과 약속을 다룬 <세 잔의 차>라는 책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 책은 조작 논란이 끊이지 않아 공동저자가 자살했으며, 그레그 모텐슨과 그의 자선단체 또한 부패와 거짓 논란에 휩싸여 있다.[42] 엄밀히 따지면 New START가 2010년 4월 8일에 체결되었고 START I은 2009년 12월 5일에 만료되었으므로 그 해(2009년)에 갱신된 것은 아니긴 하다. 다만 협상을 개시한 시점으로 따진다면 2009년 5월이므로 아주 틀린 표현은 아닌 셈.[43] 전략공격능력삭감조약(SORT)이 있긴 했지만 전략무기감축협정 문서에서도 언급되었다시피 검증 관련 규정이 전무하여 실질적인 효력에 꾸준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었다.[44] 대통령직이 끝난 뒤 새로운 직업을 찾을때 있을 수 있는 면접을 연습하는 꽁트 영상이다. 영상 4분 13초~20초경에 노벨상 관련 언급이 나온다[45] 장녀는 전임 대통령인 부시 1기 행정부 시절인 2004년에, 차녀는 부시 2기 행정부 시절인 2007년에 각각 학교에 진학했다.[46] 단독 출마[47] 2008.11.16 사임(대선 출마)[48] 보스턴 레드삭스(Boston Red sox)와 시카고 화이트삭스(Chicago White sox)의 팀명을 빗댄 언어유희.[49] 미국 어느 대도시가 그렇듯, 보스턴 역시 민주당의 아성이다. 더 나아가 보스턴이 속한 매사추세츠 주마저도 강고한 민주당 텃밭. 이런 곳에서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 야유를 받는 것은 극히 이례적일 수밖에 없다.[50] 미국 대통령은 중임(두 번 당선)이 가능하며 그 후에는 대선 출마를 할 수가 없다. 조지 워싱턴이 초선 이후 재선까지 하고 다른 사람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2선이라는 선례를 만들고 자리에서 내려옴으로써 FDR 이전에는 미 대통령은 2선까지가 관행이자 일종의 관습법이었다. 근데 그걸 깨고 무려 4선을 한 어느 인물 때문에 헌법에 3선 불가 규정을 넣었다. 여기서 말하는 캠페인은 자신이 출마할 대선 뿐 아니라, 같은 당원들이 출마할 중간선거 역시 자신의 임기 내에는 없다는 뜻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오바마 본인이 더이상 자신의 인기나 지지도를 신경 쓸 필요도 없고, 오바마 때문에 비교적 보수적인 남부/중서부 지역구에서 질까봐 덜덜 떠는 딕시크랫(민주당내 보수파)들 눈치 볼 필요도 없으니, 이제 내가 늬들 눈치 볼 일은 없다는 의미로도 말을 한 셈.(…)[51] 취임식을 하는 것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취임식 때 성서에 손을 올리고 대통령 선서를 한다.[52] 미영전쟁 때 영국군에 의해 백악관이 불탄 것을 빗댄 유머다. light it up은 문자 그대로 밝혀준다는 뜻도 있지만 속어로서는 '태워버리다' 또는 '날려버리다'라는 뜻도 있다. [53] 사실 연설 구성을 봐도 언론에 대한 섭섭함이나 경쟁자들의 추문에 대해 언급할 때는 통역을 쓰는데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참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 식으로 심각성을 환기하는 효과를 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20:13:37에 나무위키 버락 오바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