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림받은 왕녀의 은밀한 침실/등장인물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버림받은 왕녀의 은밀한 침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주요 인물
2.1. 르웰린 레이븐 브리젠트
2.2. 앨먼다이트 비세르크
2.3. 트리스탄 자야드
2.4. 에르넬
2.5. 바스티안 브리젠트
3. 브리젠트 왕궁
3.1. 왕족
3.1.1. 팔룬
3.1.2. 파멜라
3.1.3. 델피나
3.1.4. 앨피어스
3.2. 왕궁의 사용인들 및 기사들
3.2.1. 로잘리
3.2.2. 에밀리
3.2.3. 파울로
3.3. 라탄
4. 기타 인물
4.1. 비비안 모드
4.2. 알렌 모드
4.3. 셀린 선드블렌
4.4. 엘로디 탄올
4.5. 조엘 비세르크
4.6. 교황



1. 개요[편집]


네이버 시리즈의 웹소설 버림받은 왕녀의 은밀한 침실의 등장인물을 설명하는 문서.

파일:버왕은침_인물관계도.jpg


2. 주요 인물[편집]



2.1. 르웰린 레이븐 브리젠트[편집]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르웰린 레이븐 브리젠트_웹툰.png}}} ||
브리젠트 왕국의 버림받은 왕녀. 본작의 여자 주인공.
5년 전, 어머니인 델피나 왕비가 르웰린의 이복 오빠인 바스티안을 저주했다는 누명을 쓰고 처형당한 날부터, 그녀의 인생은 순탄치 않았다. 선대 국왕 팔룬의 정부 파멜라가 왕비가 되고 바스티안이 왕자가 된 것을 시작으로, 남동생 앨피어스는 왕위 계승권을 잃고 델피나의 고향인 테살리아 왕국으로 추방되었고, 팔룬과 파멜라는 온갖 방법으로 르웰린을 구박하였으며, 결혼을 약속한 소꿉친구 앨먼다이트를 포함해 주변 친구들과도 연락두절되어 르웰린은 철저히 혼자가 되었다. 이후 팔룬이 서거하고 바스티안이 즉위하였고, 르웰린은 25살이 되어 왕실을 떠나 수도원에 가게 될 날만을 기다리며 버티고 있었다.
그러나 20일 전, 사냥대회에 참가했다가 납치당해 색욕의 마신 아스모데우스의 저주를 받아, 정기적으로 혹은 남자와 신체접촉을 하게 되면 뒷목에 새겨진 낙인이 발동하여 발정을 일으키는 몸 상태가 되어버렸다.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낙인이 발동되어 함께 밤을 보내게 된 앨먼다이트, 트리스탄, 그리고 에르넬의 도움으로 서서히 왕녀로서의 권위를 회복하고, 자신에게 저주를 건 흑막을 파헤치는 데 성공하였으며, 마침내 여왕이 되어 모든 걸 되찾는다.



2.2. 앨먼다이트 비세르크[편집]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앨먼다이트 비세르크_삽화.png}}} ||
파일:앨먼다이트 비세르크_웹툰.png
브리젠트 왕국의 비세르크 공작 가주. 르웰린의 소꿉친구. 애칭은 앨먼. 보다시피 원작은 적발로 묘사되는데 반해 웹툰에서는 흑발로 각색되었다.
델피나를 사형대로 이끄는 간수 역할을 맡은 후 르웰린과 연락두절되었다. 5년 뒤 국보인 성검을 되찾고 왕국의 골칫거리였던 흑마법사들을 도륙한 공을 세워 수도에 복귀하였고, 이를 기념하는 연회날 그는 낙인이 발동된 르웰린과 밤을 보내게 되었다. 이후 르웰린에게 구혼하였으나 돌아오는 것은 차가운 조롱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에 굴하지 않고, 국정을 어지럽힌 파멜라와 바스티안을 끌어내리고 르웰린을 왕위에 올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델피나의 간수 역할을 맡고 잠적하게 된 것은 앨먼다이트로서도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그의 아버지인 조엘에 의해 간수 역할을 맡게 되었을 뿐 아니라, 이후에는 1년 간 공작가의 지하감옥에 구금되었기 때문이었다.[1] 그러나 이런 극한의 상황에서도 결혼을 약조한 르웰린을 잊지 않았고, 수도에 떳떳하게 돌아가기 위해 성검의 시련을 비롯한 숱한 고생을 견뎌냈다.[2] 이후 르웰린에게 끊임없이 구애하여 둘은 원수사이에서 악우사이로, 다시 악우사이에서 친구사이가 되었고, 또 친구사이에서 연인관계로 발전하여 마침내 르웰린과 결혼하게 되었다.



2.3. 트리스탄 자야드[편집]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트리스탄 자야드_삽화.png}}} ||
파일:트리스탄 자야드_웹툰.jpg
브리젠트 왕국의 적기사단 단장. 3년마다 열리는 토너먼트전의 우승자로, 왕국에서 가장 뛰어난 실력의 기사이다.
그를 견제한 귀족들의 수작질로 르웰린의 호위로 배정된 날, 르웰린은 그가 자카트 족[1] 출신임을 언급하며 모욕을 준다. 이에 트리스탄은 허탈함을 느끼고 그녀를 미워하게 되는데, 곧 이상함을 느낀다. 그 일로 르웰린은 오욕을 뒤집어 쓴 반면, 자신의 대우는 좋아져 출신에도 불구하고 기사단장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는 혼란한 감정을 느끼고 르웰린을 조용히 관찰하다가, 그녀의 모욕이 위악임을 깨닫는다. 자신과 가까운 이가 화를 입는 것을 우려한 르웰린이, 곁에 아무도 두지 않기 위해 의도적으로 주변을 냉대한다는 것을 알게 된 것. 이때부터 르웰린에게서 눈을 뗄 수 없었다고. 이후로는 르웰린에게 진심으로 충성을 바치고 있다.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모든 것이 끝난 후, 작위를 하사받아 기사단장에서 군무대신으로 진급했다. 또한 르웰린을 잊지 못하고 주위를 맴도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담이지만, 작품의 집필 계기가 "당신은 내 몸 보고 나 만나?"라고 말하는 장면을 보고싶었기 때문이며 트리스탄이 이 대사를 했을 때 희열을 느끼셨다고.



2.4. 에르넬[편집]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에르넬_삽화.png}}} ||
파일:에르넬_웹툰2.jpg
[1] 왕국에서 차별받는 민족이다.
성국의 대주교인 패트론. 성국에서 가장 큰 권력을 지니는 7명의 패트론 중 하나다.
그러나 그의 실체는, 교황의 사생아이자 성국의 반대 세력인 흑마법사를 부리는 배교자였으며, 앨먼다이트에게 축복을 내리러 오게 된 것도 사실은 브리젠트에서 사고를 일으키는 흑마법사들을 처리하기 위함이었다.
르웰린이 저주에 걸렸음을 가장 먼저 알아차렸고, 이를 없앨 방도를 알아보고 있다.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에르넬의 아버지인 교황은 수많은 사생아를 두었으며 자식들을 사랑한다고 해 놓고는 가차없이 쉽게 죽였다. 특히 그가 에르넬이 정을 붙였던 형제를 죽였을 때, 에르넬은 그에게 반감을 품고 흑마법사를 부리면서 복수를 다짐하게 된 것이었다.
에르넬은 성국에서 르웰린의 소식을 전해들었을 뿐 아니라 델피나와 그 내연남이 나누는 대화를 듣고는 르웰린이 버림받았음을 알게 되었고, 이때부터 자신과 처지가 비슷한 르웰린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훗날 만나게 된 르웰린이 자신과는 다르게 어둠 속에서도 빛나는 것을 알고는 서서히 사랑하게 된다.
르웰린에게 걸린 저주의 정체를 알려주고, 그 저주를 사주한 이를 찾기 위해 조사하는 등 여러모로 르웰린을 도와주고 있다. 결국 바스티안이 저주를 사주했음을 알게 되고, 르웰린의 뜻에 따라 바스티안을 살리면서 저주를 없앨 방안을 마련하여 르웰린이 저주에서 벗어나게 해 주었다.
모든 것이 끝난 후, 성국으로 돌아간 듯 했지만 르웰린을 잊지 못하고 주위를 맴도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2.5. 바스티안 브리젠트[편집]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안 브리젠트_삽화.png}}} ||<bgcolor=#fff>
파일:바스티안 브리젠트_웹툰.png
브리젠트 왕국의 국왕. 르웰린의 이복 오빠.
르웰린을 증오하여 구박하는 왕대비 파멜라와는 다르게, 르웰린을 염려하고 걱정하는 등 다정하게 대하는 유일한 사람이다. 그러나 파멜라의 꼭두각시인 만큼, 르웰린에게 실질적인 도움은 주지 못하고 파멜라를 만류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만악의 근원이자 페이크 최종보스.
어머니인 파멜라의 소행으로 자신이 르웰린의 자리를 빼앗은 것에 미안함을 느끼고, 파멜라에게 구박당하는 르웰린을 알게 모르게 도와주는 등 선량한 마음씨를 지닌 소년이었다.
르웰린을 동경에 가까운 마음으로 사랑[1]하였으나 마음 한 구석에서는 자신이 사생아라고 멸시받는 것이 부당하다는 생각과 함께, 르웰린의 곁에 서고 싶다는 욕망이 있었다. 이 상태로 성국에 머물다가[2] 교황에게 영혼이 잠식되었다. 교황이 바스티안의 욕망을 파고들어 자신의 영혼 조각을 기생시킨 것.[3] 때문에 르웰린에 대한 마음도 동경에서 집착으로 변질되었으며, 르웰린의 방을 볼 수 있는 수정구슬을 설치하였다. 이를 단 한 번 작동시켰을 때, 자고 있는 르웰린의 모습에 입을 맞추다가 국왕 팔룬에게 들키고, 교황의 조종으로 결국 국왕을 살해하기에 이른다. 뒤늦게 나타난 파멜라는 바스티안과 함께 이 일을 비밀로 부쳤다.
그렇게 왕위를 계승받은 바스티안이 파멜라의 꼭두각시로 지낸 지 5년이 흐르고, 르웰린에 대한 집착이 극에 달해 교황의 힘을 빌려 색욕의 저주를 사주하였으며[4] 마지막에는 르웰린을 감금하고 자신이 차지할 계획이었다.[5]
그러나 바스티안이 교황에게 조종되고 있으며 저주를 사주했다는 것을 눈치챈 에르넬과 르웰린의 협공으로, 결국 교황과 분리되어 제정신으로 돌아온다.[6] 바스티안은 그간의 악행을 인정하고 사죄한 뒤,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고 자결한다.[7]



3. 브리젠트 왕궁[편집]



3.1. 왕족[편집]



3.1.1. 팔룬[편집]


브리젠트의 선대 국왕. 선대 왕비 델피나 사이에서 르웰린과 앨피어스를, 정부 파멜라 사이에서 바스티안을 얻었다.
델피나가 바스티안을 저주했다는 의혹이 생기자 처형하였으며, 이후 르웰린을 박대하였다.[2]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그는 선대 왕비 델피나에게 비틀린 사랑을 품었던 것으로 보인다. 파멜라를 곁에 두고도 델피나에게 쩔쩔매었다는 점이나, 파멜라가 데려온 바스티안의 출생은 개의치 않으면서도 델피나의 불륜을 알고난 뒤 르웰린의 출생에는 민감하게 반응했다는 점이 그러하다. 더욱이, 르웰린을 증오하여 박대하면서도 죽이지는 않는 모순적인 태도를 보이기까지 했다.


3.1.2. 파멜라[편집]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파멜라 브리온_웹툰.png}}} ||
브리젠트 왕국의 왕대비. 국왕 바스티안의 어머니.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브리온 공작가의 사생아로, 선대 국왕 팔룬과 연인 사이였으나 왕실에서 결혼을 반대[1]하자 팔룬을 닮은 사람과 사통하여 낳은 바스티안을 팔룬의 아들로 속여 입궁한다. 왕비인 델피나를 극도로 싫어했으며, 델피나가 바스티안에게 흑마법을 걸었다는 누명을 씌워 처형시켰다. 이후 팔룬과 함께 르웰린을 구박했으나, 죽이지는 못했다.[2]
훗날 바스티안이 국왕을 죽이자[3] 이를 은폐하고 바스티안을 옹립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약을 먹여 여자와 자게 하는 등, 바스티안을 지배할 대상이자 도구로 보았으며 결국 이를 견디지 못한 바스티안과 사이가 완전히 틀어진다. 르웰린이 점차 권위를 회복하자 위기감을 느끼고, 흑마법사를 동원해 르웰린을 죽이려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를 역이용한 르웰린에 의해, 자신이 델피나에게 했던 것과 같은 방법[4]으로 처형대에 올랐으나 영구 유폐되는 선에 그쳤다.[5]



3.1.3. 델피나[편집]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델피나_웹툰.png}}} ||
브리젠트 왕국의 폐위된 왕비. 르웰린과 앨피어스의 어머니. 테살리아 왕국의 적통 왕녀.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르웰린이 고립되게 한 원인이며, 르웰린의 기억과는 다르게 르웰린을 사랑한 적이 없다.[1] 선대 비세르크 공작인 조엘과의 불륜[2]으로 브리젠트를 떠날 방법을 찾던 중, 누명을 쓰고 처형될 뻔했으나 대타를 내보내 목숨을 건지고 성국으로 도피했다. 르웰린이 고립될 것을 짐작하지만 자신의 원한을 대신 갚게 할 의도로 르웰린만 브리젠트에 남겨두었고, 르웰린이 발설할까봐 테살리아에 도착하고도 본인의 생존을 밝히지 않았다. 이후 테살리아로 데려온 앨피어스가 르웰린을 그리워하며 앓자, 르웰린에 대한 기억을 지워버린다.
르웰린의 계획으로 브리젠트에 돌아와 왕대비의 대우를 받다가 탈출을 시도[3]했으나 간파당한 뒤 앨피어스와 나란히 감옥에 갇혔다.
모든 것이 끝난 후, 르웰린의 마지막 자비로 조엘과 함께 테살리아로 돌아간다.



3.1.4. 앨피어스[편집]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앨피어스_웹툰.png}}} ||
르웰린의 남동생. 애칭은 앨피.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부모님 대신 살뜰하게 대해준 르웰린 덕에 행복한 유년 시절을 보낼 수 있었다. 그러나 델피나가 처형당한 뒤 강제로 테살리아로 보내졌고, 테살리아의 국왕이자 외삼촌인 조슬린의 양자로 입적되어 테살리아의 왕자가 되었으며, 르웰린을 그리워하며 앓다가 델피나에 의해 르웰린에 관한 기억이 지워졌다. 훗날 다시 만난 르웰린에게 냉담한 모습을 보이며 '기억을 되찾지 않는 것은 내 의지'라고 밝혀 르웰린을 절망하게 했다.
이후 브리젠트에 돌아온 델피나를 데려가겠다며 억지를 부리고,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는 델피나의 말만 듣고 르웰린의 뺨까지 때려 브리젠트와 테살리아의 전쟁의 빌미를 제공했으며, 투옥되고 나서도 르웰린을 욕하다가 자신을 찾아온 앨먼다이트에게 자신이 르웰린에게 했던 것처럼 뺨을 맞으며 그대로 되갚음 당한다.
후에 에르넬 덕에 기억을 되찾고[1] 델피나 탓을 하지만, 앨먼다이트의 지적에 드디어 스스로의 잘못을 인정하고 후회한다. 사실 앨피어스는 희미하게나마 르웰린을 기억하고 있었기에 기억을 되찾으면 스스로가 그리움에 몸서리칠 것을 알고 있었고, 구박받는 르웰린을 도울 힘조차 없었기에 르웰린을 증오하는 비겁한 선택을 한 것이었다.
모든 것이 끝난 후, 누나와 화해를 하며 델피나를 따라가지 않고 브리젠트의 왕자로 남게 된다.


3.2. 왕궁의 사용인들 및 기사들[편집]



3.2.1. 로잘리[편집]


르웰린이 가장 아끼는 하녀. 초반부터 르웰린을 무시하지 않고 르웰린을 좋게 대해 준 몇 없는 인물이다.[3]


3.2.2. 에밀리[편집]


과거 르웰린을 시중들었던 하녀. 파멜라의 구박으로 식사조차 제대로 나오지 않는 르웰린을 위해 빵을 훔쳤다는 이유로 목숨을 잃었다.


3.2.3. 파울로[편집]


적기사단 소속의 기사. 버려진 왕녀인 르웰린을 호위해야 하는 상황에 투덜대다 트리스탄에게 일침을 맞는다. 그러나 파멜라의 패악질과, 이에 대비되는 르웰린의 덤덤한 모습을 보게 된 후 르웰린이 스스로를 지킬 마음이 없음을 깨닫는다.


3.3. 라탄[편집]


적기사단 소속의 기사. 과거 데뷔탕트를 치른 지 얼마 되지 않은 여동생이 있었지만 갑자기 급사 하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파멜라가 너무 두려워 르웰린의 조사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르웰린의 일침과 위로에 용기를 내어 르웰린을 도와 신흥 귀족 아가씨 의문사 사건을 조사하는데 큰 기여를 한다.


4. 기타 인물[편집]



4.1. 비비안 모드[편집]


모드 백작가의 영애.
바스티안의 탄신일에, 바스티안의 핏줄이라며 아이를 데려온다. 이후에는 왕자의 모후라는 이유로 사실상 왕비 대접을 받게 된다.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비비안은 커렌 백작가의 삼남, 올리 커렌과 연인이었으며 그 사이에서 생긴 아이 디안을 바스티안의 핏줄이라고 속였다. 여기에는 앨먼다이트가 많은 역할을 했는데, 백작가의 별 볼 일 없는 삼남의 자식을 왕자로 만들도록 비비안에게 야망을 심은 것.[1]



4.2. 알렌 모드[편집]


모드 백작가의 장남. 백기사단 소속의 기사. 비비안의 오빠. 인성은 여동생 못지 않게 매우 오만하다.


4.3. 셀린 선드블렌[편집]


선드블렌 백작가의 현 가주. 본래 후계자이던 남동생을 제치고 가주의 자리에 당당히 올라 다른 영애들의 동경을 받고 있다. 과거 르웰린의 친구였지만 르웰린이 파멜라의 계략에 의해 몰락했을 때 살아남기 위해 냉정히 그녀의 곁을 떠나버려 현재는 사이가 서먹해진 상태다. 그래도 르웰린에게 최근 신흥 귀족 아가씨들이 줄줄이 의문사하고 있다는 정보를 알려주며 르웰린이 왕족으로써의 사명감을 되찾게 해준다.


4.4. 엘로디 탄올[편집]


신흥 귀족 중 하나인 탄올 남작가의 외동딸. 데뷔탕트를 치룬 지 얼마 되지 않은 어린 소녀. 연회 때 르웰린에게 다가와 수줍은 모습으로 말을 거는 귀여운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피를 토한 채 즉사 해 버리고 말았다. 이후 르웰린의 뒷조사를 통해 사실 그녀는 보랏빛을 내는 염료이자 독성 물질인 아르세닉으로 염색한 비단으로 만든 옷을 통해 독성 물질에 서서히 중독되어버려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4.5. 조엘 비세르크[편집]


선대 비세르크 공작. 앨먼다이트의 아버지.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사실 그는 델피나와 불륜 관계였다. 델피나가 테살리아의 왕녀였을 적 연인이었으나, 델피나가 팔룬과 결혼하게 되면서 헤어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서류상으로 죽은 사람이 되어 델피나와 함께 브리젠트를 떠나려 했으며 이를 위해 앨먼다이트를 끌여들여 델피나의 간수 역할을 맡은 후 앨먼다이트를 지하감옥에 가두기까지 하였다.



4.6. 교황[편집]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교황_웹툰.png}}} ||
성국의 지도자. 에르넬의 아버지.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만악의 근원이자 최종보스.
원래는 인간이었으나 흑마법을 너무 많이 사용해 마수가 되어버린 존재로, 자신의 영혼 조각을 인간에게 기생시켜 조종한다. 자식을 낳아 그 중 약한 것은 죽이고[1] 강한 것은 흡수하며 수백 년간 진화를 거듭해왔다. 숙주가 죽으면 다른 숙주에 기생하는 방식으로 그간 교황 행세를 해왔으며 이번에는 왕으로 살아보자는 욕망에, 성국에 머물던 바스티안에게 자신의 영혼 조각을 심었고 이후 바스티안의 동경심을 집착으로 변질시켜 르웰린을 차지하도록 충동질하였다.[2]
에르넬에게 교황 숙주가 죽자, 바스티안을 새로운 숙주로 삼아 완전히 기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훗날 에르넬과 르웰린의 협공으로 바스티안과 분리된 후, 바스티안이 자결하는 순간을 노려 르웰린을 새로운 숙주로 삼는다. 이때, 르웰린에게 새겨진 낙인의 기능 중 하나인 보호가 발동되어 마신 아스모데우스가 르웰린의 정신세계에 강림하는데, 이때 마신의 힘도 흡수하려다 앨먼다이트의 성검으로 인해 실패하고 결국 아스모데우스에게 압살된다.


[2] 그는 델피나가 처형될 때 르웰린에게 '네 어머니의 최후를 보라'고 웃으며 말하고, 르웰린이 아끼던 하인들과 기르던 동물들까지 다 죽였으며, 파멜라의 구박을 방관하고 동조하였다.[3] 전개가 진행되면서 로잘리 외의 몇몇 하녀들도 르웰린의 진심를 어느 정도 눈치 채며 그녀를 진심으로 따르기 시작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8:24:37에 나무위키 버림받은 왕녀의 은밀한 침실/등장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