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선

덤프버전 :

발에 신는 의류

[ 펼치기 · 접기 ]

종류별 구분

양말
버선
타비
루즈삭스
타이츠
레깅스
스타킹
망사 스타킹
발싸개

길이별 구분


덧신(페이크 삭스)
(발등)

발목 양말
(복숭아뼈)
양말
(발목)
하이 삭스
(종아리)
니 삭스
(무릎 아래)
오버 니 삭스
(무릎 위)

스타킹
(하반 전신)
보디 스타킹
(상하반신)



파일:버선.jpg
1. 개요
2. 역사
3. 종류
4. 부위별 명칭
5. 신는 방법
6. 여담



1. 개요[편집]


을 따뜻하게 하려고, 천을 써서 맵시 있게 만들어 신는 의류이다. 한국 특유의 것이며 남녀 모두 신었다고 한다.

한자로는 족의(足衣)라고 하며, 이미 양말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말()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보션'이라고 불렀는데 《두시언해(1481)》[1]와 《훈몽자회(1527)》[2] 등의 고문헌에서 해당 표기를 찾아볼 수 있다. 이보다 이전인 고려시대에 집필된 《계림유사(1103)》에서는 '背成(배성)'이라는 차자표기로 기록되어 있다.


2. 역사[편집]


버선에 대한 기록은 삼국시대에서 시작한다. 834년 통일신라 흥덕왕의 복식금제령 항목 중 말(襪)과 말요(襪袎)를 언급하는데 각각 버선과 버선목으로 추정한다. 당시의 버선은 신분에 따라 재질을 다르게 하여 높은 신분을 가진 사람은 비단의 종류인 능(綾), 라(羅), 명주 등 고급 직물로 만든 버선을 신었으며 색깔 또한 신분에 따라 정해놓은 것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당시 기록에서 나타나는 여성용 버선으로는 버선과 버선목을 각각 따로 만들어 붙여 신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고려시대에도 여전히 신분마다 버선의 재질은 달랐지만 색깔은 계급 차별 없이 흰색 버선을 착용하였다. 그러나 왕의 면복(冕服)에는 붉은색 버선을, 왕비의 적의(翟衣)에는 푸른색 버선을 신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버선의 재질로 비단을 사용하는 경우가 줄고 주로 무명을 사용하였으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계급과 상관없이 흰색 천으로 만든 버선을 신었다. 이는 청렴함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를 따라 흰색이 유행하였던 당시의 풍조가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3. 종류[편집]


종류는 용도에 따라 일반용, 예복용, 형태에 따라 고들목버선(곧은버선), 누인버선. 만드는 방법에 따라 흩버선, 겹버선, 솜버선, 누비버선으로 나뉘어졌다. 그 외에도 타래버선, 꽃버선이 있다.

고들목버선 또는 곧은버선은 수눅이 곧게 내려오다가 버선코만 살짝 올라가고 회목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서울과 같은 중부 지방에서 주로 신었고, 누인버선은 수눅이 누인 것 같은 곡선을 이루며 회목이 꼭 끼이는 것으로 남부와 북부 지방에서 신었다.

만드는 방법이 따른 버선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겹버선: 두 버선을 그대로 겹쳐 만든 것으로 이름 그대로 겹으로 만든 버선이다.
  • 홑버선: 홑으로 만든 것으로 속에 신은 버선의 더러움을 막기 위하여 덧신는 버선이다.
  • 솜버선: 솜을 두어 만든 버선이다. 겹으로 만든 버선의 수눅 양쪽에 솜을 고루 두어서 만드는데, 방한의 기능도 있고 맵시도 잘 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누비버선:
파일:external/search.pstatic.net/?src=http%3A%2F%2Fblogfiles5.naver.net%2F20120220_115%2Fjyk4098_1329718596830B4hR8_JPEG%2FSTP66777.jpg
피륙의 보강과 보온을 위해 옷감의 안팎을 맞추어 그 사이에 솜을 넣고 촘촘한 바느질로 누벼서 만들거나, 솜을 넣지 않고 면포만 2장 이상 겹쳐서 면사로 누비기도 한다. 겨울에 방한용으로 신는데 세탁 뒤의 손질이 쉬워 실용적이다. 그러나 누빈 실이 터지기 쉽고 뻣뻣한 느낌을 준다는 단점이 있다.
  • 타래버선: 예쁘게 만든 버선이다. 솜을 두어 누빈 뒤에 색실로 수를 놓고, 코에 술을달며, 발목 뒤에 끈을 달아 앞으로 맬 수 있도록 한다.
  • 꽃버선: 그냥 꽃을 수놓은 버선이다. 이러한 형태가 많다.


4. 부위별 명칭[편집]


현재 버선의 각 부분별 명칭이 전해지고 있지만 오래 된 순우리말이기에 이러한 명칭을 정확히 언제부터 사용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며, 다만 버선을 제작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사용한다.
  • 수눅: 발등 부분
  • 코: 발가락이 닿는, 맨 앞의 뾰족하게 튀어 나온 부분
  • 회목: 뒤꿈치의 들어간 곳에서부터 수평으로 앞 목에 이르는 부분
  • 부리: 발이 들어가도록 트인 부분
  • 목: 회목에서 부리까지의 부분
  • 볼: 발의 앞넓이


5. 신는 방법[편집]


버선의 중앙에 있는 수눅선의 솔기가 회목에서 버선코로 시접되어 뻗는 방향에 따라 좌우를 구별하는데 수눅의 시접이 바깥쪽으로 가도록 신는다. 즉 시접이 오른쪽으로 향하면 오른발, 왼쪽으로 향하면 왼발에 신으면 된다. 이 때 수눅이 중앙을 마주 보고 살짝 발 안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수눅선이 첫째 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오도록 신는다. 이렇게 신으면 발 모양이 좁아 보이는 효과를 주어 맵시를 살릴 수 있다.


6. 여담[편집]


너무 급해서 정신없이 뛰쳐나갔다는 뜻으로 '버선발로 뛰쳐나가다'라는 표현이 있다. 주로 너무 반가운 사람이 왔을 때 쓰는 표현. 현대에선 한복을 매일 입지 않다보니 비유적 표현으로만 쓰이고, '맨발로 뛰쳐나가다' 혹은 '신발도 신지 않고 뛰쳐나가다'도 많이 쓰인다.

버선을 신은 듯한 발 색깔의 고양이도 있다. 다만 버선을 신었다고는 표현을 잘 하지 않으며 흰 양말을 신었다고 표현하는 편

만화가 타키나미 유카리의 만화로부터 입소문을 타면서 일본에서 버선이 유행하기도 했다. 생소한 외국인 입장에선 화려하고 예뻐서 패션피플들에게도 인기가 있는 듯. 번역판 참고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다.

조지훈 시인의 작품 〈승무〉에서는 '외씨버선(오이씨처럼 볼이 조붓하고 갸름하여 맵시가 있는 버선)'으로 언급된다. 이 시어에서 따온 관광 명소인 외씨버선길도 존재한다.

일본에도 '타비(足袋, たび)'라는 이름을 가진 버선 비슷한 의류가 존재한다. 조리(신발)게다를 신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가 갈라진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수눅선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로 뻗는다. 현재에도 이 형태를 채용한 양말도 많이 시판되고 있다.

타이츠 / 스타킹의 중국어 표기가 '絲襪'인데 이는 '나일론으로 만든 버선'이라는 뜻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9:32:34에 나무위키 버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션 업스며 頭巾 업시 새뱃 ᄒᆡ예 나셔 ᄇᆞᆲ놋다
(버선 없으며 두건 없이 새벽 해에 나가서 밟는도다.)
[2]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