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 수

덤프버전 :





1. 개요
2. 성질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Bell number

집합을 분할하는 방법의 수로, 원소의 개수가 [math(n)]인 집합을 분할하는 방법의 수에 대하여 이를 연구한 1930년대 영국의 수학자 에릭 템플 벨의 이름을 따 [math(n)]번째 벨 수라고 하며 [math(B_n)]으로 나타낸다. 베르누이 수와 표기가 완전히 같기 때문에, 혼동을 피하기 위해 사용시에는 정의를 명확히 해줄 필요가 있다.[1]

제9항까지의 값은 다음과 같다.
[math(n)]
[math(0)][2]
[math(1)]
[math(2)]
[math(3)]
[math(4)]
[math(5)]
[math(6)]
[math(7)]
[math(8)]
[math(9)]
[math(B_n)]
[math(1)]
[math(1)]
[math(2)]
[math(5)]
[math(15)]
[math(52)]
[math(203)]
[math(877)]
[math(4140)]
[math(21147)]


2. 성질[편집]


[math(\displaystyle B_n = \sum_{k=0}^n S \left( n,~k \right))]
집합론을 이용한 제2종 스털링 수의 정의가 ‘[math(n)]개의 원소로 구성된 집합을 [math(k)]개로 분할하는 경우의 수’이므로 위의 관계는 자명하다.
  • [math(B_n )]은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만족시킨다.
[math(\displaystyle B_{n+1} = \sum_{k=0}^n \binom{n}{k} B_k )]
집합 [math(\left\{1,~2, \cdots\cdots ,~n+1 \right\})]을 분할한다고 하자. 이때 각각의 분할에서는 [math(1)]을 원소로 갖는 집합이 있을 것이다. [math(1)]을 원소로 갖는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math(k)]가 되도록 분할하는 경우의 수는 [math(n)]개 중에서 [math(1)]을 제외한 [math((k-1))]개를 고르는 경우의 수 [math(\dbinom n{k-1})]에 나머지 [math(n-(k-1))]개의 원소를 분할하는 경우의 수 [math(B_{n-k+1})]를 곱한 값 [math(\dbinom n{k-1} B_{n-k+1})]임을 알 수 있다. [math(k)]는 [math(1)]부터 [math((n+1))]까지의 값을 취할 수 있고 [math(k)]가 다른 값을 취할 때 중복되는 경우는 없으므로 합의 법칙에 의하여
[math(\displaystyle B_{n+1}=\sum_{k=1}^{n+1}\binom n{k-1}B_{n-k+1} = \sum_{k=0}^n \binom nk B_{n-k} = \sum_{k=0}^n \binom n{n-k}B_k = \sum_{k=0}^n \binom nk B_k)]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4:14:32에 나무위키 벨 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두 개를 같이 써야 한다면 한쪽의 글꼴을 다르게 지정하기도 한다. 가령 베르누이 수를 [math(B_n)]으로 표기한다면 벨 수를 [math({\mathscr B}_n)], [math({\frak B}_n)] 같은 모양으로 표기하는 식.[2] '공집합을 분할'한다는 개념이 와닿지 않을 수 있으나, 대수적으로도 정의되는 제2종 스털링 수와의 관계에 따라 [math(n=0)]일 때에도 정의가 된다. [math(S \left( 0,~0 \right) = 1)]이기 때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