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부령

덤프버전 :

兵部令

1. 개요
2. 역사
3. 병부령 역임 인물



1. 개요[편집]


신라 병부(兵部)의 장관직.

국방장관에 해당하는 신라 군부 최고위 관직이었으며, 상대등, 집사부 중시(시중)과 함께 신라의 재상 관직이었다. 서열은 일반적으로 상대등, 중시 다음이었다. 부에는 장관인 영 이외에 차관인 대감(大監) 3명, 그 아래 제감(弟監) 2명, 노사지(弩舍知) 1명, 사(史) 17명, 노당(弩幢) 1명의 관원이 속해 있었다.


2. 역사[편집]


병부령은 법흥왕 3년인 516년에 신설되었다. 장관직인 병부령이 먼저 임명되었고, 이어 이듬해인 517년 담당 부처인 병부(兵部)가 설치되었다. 법흥왕은 관등을 정비하고 상대등직을 설치하는 등 신라의 관제를 정비하여 본격적인 중앙집권화를 꾀한 임금이었는데, 이러한 중앙 관제 정비의 본격적인 첫 신호탄이 병부와 병부령 설치였다. 병부는 기록상 신라 조정에 처음으로 설치된 관부였으며 이후 품주, 위화부 등 다른 중앙관서들이 순차적으로 신설되었고 신문왕 때 14부가 완비된다.

법흥왕 당시에는 법흥왕 본인이 친히 군권을 장악하고 행사했기 때문에 병부령이 공석인 때도 있었다. 이후 진흥왕 대 활발한 정복활동을 펼치면서 신라군의 규모가 비대해지고 본격적인 삼국통일전쟁기에 들어서게 되면서 병부령직은 신라 조정에서 핵심 요직으로 자리잡게 된다.

병부령은 진흥왕 5년인 544년 2명으로 증원되었다. 증원 당시 진흥왕의 나이가 어려 모후 지소태후가 섭정을 맡고 있는 상황이었다.[1] 지소태후는 법흥왕이 사망하여 섭정에 오른 직후 국방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명장 이사부를 병부령에 임명하였다. 이사부는 지소태후를 보좌하며 신라 조정을 훌륭히 이끌었고, 지소태후 역시 이사부를 신임하였고 국정 전반을 통해 이사부의 건의를 전향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명했던 지소태후는 이사부 1인에게 권력이 지나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에서 병부령직을 2인으로 증원한 것으로 보인다. 병부령이 2명으로 증원된 이후에도 여전히 이사부는 지소태후의 신임을 받아 독산성 전투, 독살성-금현성 전투 등에서 공을 세웠다.

병부령이 2인으로 증원된 이후 신라 군부는 오늘날의 합동참모본부와 유사하게 2명의 병부령의 협의체로 운용되었다. 병부령직은 무열왕 6년(659년) 3명으로 증원되었고, 바로 이듬해에 백제 정벌이 단행되었다. 이후 신라 말기까지 3인 체제가 유지된다. 병부령 뿐만 아니라 신라의 모든 관부는 기본적으로 장관을 2명 또는 그 이상으로 두어 권력의 독점을 막고 장관들이 서로 견제하도록 했다.

3. 병부령 역임 인물[편집]


  • 이사부 (541~?)
  • 김후직 (580~?)
  • 김진주 (659~?)
  • 문무왕 (654~?)
  • 김군관 (?~681)
  • 김양 (839~?)
  • 충렴 (?~785)
  • 소성왕 (792~?)
  • 헌덕왕 (796~?)[2]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6:23:42에 나무위키 병부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삼국사기에는 정확히 태후가 섭정을 맡았다고 하여 엄밀히는 지소태후인지 기록되지 않았으나 삼국유사에 지소부인으로 기록되어 있다.[2] 801년까지도 병부령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