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영문학상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국방부 주관으로 매년마다 한 번씩 군에서 개최하여, 육군,해군,공군,해병대 전 장병[1]을 대상으로 시, 수필, 단편소설을 공모받는 문학 대회이다.
2023년 기준 22회에 접어들었다.


2. 개최[편집]


하반기가 시작되는 매년 7월 즈음에 공모전 개최를 알리는 포스터가 부대 곳곳에 나붙고, 공문으로 시달된다. 응모는 인터넷과 인트라넷, 우편으로 가능하며, 약 2달여간 응모작을 공모받고, 다시 2달 동안 심사 후 10월 즈음에 발표한다. [2]


3. 의외로 빡센 경쟁률과 그만큼의 보상[편집]


군 내부에서 개최되어 일반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내부에서는 그 인기가 상당히 많다. 아래에 후술.
수상작은 모음집 형식으로 엮여져 책으로 출판되며, 시상자들에게 상품과 함께 지급된다. 국방부 인트라넷 홈페이지[3]와 부대 도서관에서도 열람 가능하다. 다만 일반 시중에 풀리지 않는 점은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중고로 구하지 않는 이상 전역한 현역들은 읽어볼 방법이 없다시피 하다.

시, 수필, 단편소설 총 3부문이 있는데, 부문마다 최우수상 1명[4], 우수상 2명[5], 가작 3명[6], 입선은 응모인원 4% 내외[7]를 선발한다.
문제는 턱없이 부족한 상에 비해 응모하는 인원이 엄청나게 많아 경쟁률이 꽤나 높다는 점이다. 2022년 개최된 21회 병영문학상을 예시로 들자면 총 2,176명이 응모했다. 이 중 시를 1,511명이 응모해 86명 수상, 수필을 286명 응모해 24명 수상, 단편소설을 379명이 응모해서 28명이 수상받았다. 경쟁률을 환산하면 시가 약 17.5대 1, 수필이 약 12대 1, 단편소설이 13.5대 1에 달한다. 수상 내역 중 가장 낮은 입선도 통과되기 굉장히 힘들다는 것. 그래서 참가한 경험이 있는 이들이 병영문학상을 리뷰한 블로그를 찾아보면 입선 시상자여도 글 좀 쓸 줄 안다고 평하곤 한다.[8] 심사위원들의 심사 기준은 매 대회마다 상이하지만[9], 결과적으로 1~6등보다 아래면 부문 상관없이 무조건 입선이기 때문이다.

다만 난이도가 괴랄한 만큼 보상도 높다. 상기했듯 일단 모든 부문의 글들이 책으로 출판되어 수상자들에게 지급되고, 국방부 홈페이지에 수상작 모음집으로 올라가며 부대 도서관에도 비치된다.[10] 저작권이 당사자에게 있다고 명시하는 규정 때문인지 일반시중에는 풀지 않는 모양이다. 이외에 국방부 장관 명의로 된 상장을 수여하며, 우수작 이상은 상금 외에도 한국문인협회에 등단된다. 그리고 기념 트로피를 최우수부터 입선까지 지급하는데, 이 트로피가 백미인 게 상당히 화려하고, 수상자의 이름이 새겨지며 큼지막한 케이스에 담겨 있다. 또 엄청나게 무겁다.[11] 부상도 따로 지급하는데 2022년엔 에어팟이었다.


4. 여담,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2:15:16에 나무위키 병영문학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군무원 및 후보생들은 제외지만, 기간 내 전역하는 이들도 응모 가능하다.[2] 2022년엔 오전 10시에 수상작 발표했다.[3] 병영문화예술&아카이브에 수상작 모음집으로 19회부터 존재한다.[4] 상금 300만원, 한국문인협회 입회자격 부여,장관상장,기념패[5] 상금 200만원, 한국문인협회 입회자격 부여,장관상장,기념패[6] 상금 100만원, 장관상장,기념패[7] 상금 10만원, 장관상장,기념패[8] 실제로 수상작을 읽어보면 진짜 20대 군인들이 쓴 게 맞나 믿기지 않을 정도로 수준이 높다.[9] 심사위원 총평을 죄다 읽어보면 어떨 때는 주제에 상관없이 흐름과 독창성,문학성이 충실한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선발할 때도 있고, 어떨 때는 병영의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선발할 때도 있다.[10] 그러나 인기 없는 부대 도서관의 실태 탓에 먼지가 잔뜩 쌓여 나중엔 결국 세절기로 직행한다(...)[11] 흉기로 써도 될 정도의 무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