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금강반야론

덤프버전 :

파일: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금강반야론.jpg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4.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1. 개요[편집]


寶林寺四天王像腹藏金剛般若論. 고려 고종 29년(1242)에 처음 발간했고 조선 세조 때 복원한 불경. 현재 전라남도 장흥군의 보림사에서 소장하고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편집]


고려 후기인 고종 시기, 1236년에 해인사 대장경판을 만들기 위해 설치한 대장도감에서 고려대장경에 편입시키기 위해 간행한 불경이다. 책에는 壬寅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임인세고려국대장도감봉칙조조)라는 간기가 있다.

현존하는 이 책은 훗날 조선 세조가 간경도감에서 별도로 판본을 인출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 외에도 송광사에는 고려 초기에 판각된 속장경(교장)판 금강반야론을 조선 세조가 복원한 판본이 하나 더 남았는데 송광사 본은 따로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금강반야론과 같이 만들어진 불경으로 해동용궁사 금강반야바라밀경론이 있다.

송광사본 금강반야론과 함께 고려, 조선시대 불교문화, 인쇄술, 판목 연구에 있어 학술적, 역사적 가치가 크다.


3. 외부 링크[편집]




4.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편집]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에 위치한 보림사의 사천왕상 속에 들어있던 유물 중 하나이다.

『금강반야론』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을 풀어 쓴 경전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줄여서 ‘금강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반야심경 다음으로 많이 읽힌 책이다.

이 책은 본래 고려대장경에 속해 있었는데, 이 판본만 별도로 조선 전기에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간행한 것에 대한 기록은 따로 남아 있지 않지만, 원판은 1236년 해인사대장경을 만들기 위해 설치한 기구인 대장도감에서 만들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0:11:12에 나무위키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금강반야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