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방류

덤프버전 :




1. 개요
2. 성향
3. 역사


1. 개요[편집]


보수방류(保守傍流)는 일본 자민당의 파벌 노선 중 하나이며, 상반되는 계파로 보수본류가 있다. 방류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 20세기까지만 해도 본류에 밀려 자민당 내 비주류로 있던 시절이 더 많았으나, 21세기 들어 세를 넓히는데 성공해 본류 세력들과 공존하고는 있지만 좀 더 주류에 가까운 행보를 보이고 있다.


2. 성향[편집]


보통은 일본 내셔널리즘, 역사수정주의, 자주외교, 국민보수주의적 행보를 띄는 편이라고 여겨진다. 이들의 이론상 주된 목표는 자위대군대로 전환시키고 전쟁이 가능한 일본을 만드는 방향의 평화헌법 개헌이다.[1]

강경파가 주류이긴 하지만 온건파도 있다. 예를 들어 부친 후쿠다 다케오 때문에 보수방류 출신이긴 했지만 본인 성향은 온건파라 할 수 있는 후쿠다 야스오 전 총리가 있다. 그래서 야스오와 아베 신조는 의외로 같은 파벌이었다. 이쪽은 오히려 보수본류 출신이라는 아소 다로보다도 본류 노선에 더 가까웠고 오히려 아소 다로가 성향은 방류에 더 가까웠다.

보수방류 파벌 중에서도 성향은 방류와는 반대이지만 니카이 도시히로를 바탕으로 한 지수회[2], 고 아베 신조를 중심으로 뭉쳤던 청화회가 있다.

3. 역사[편집]


태평양 전쟁 패전 이후 일본의 요시다 시게루부터 이어진 군사 포기와 경제중시 정책, 그리고 미군정이 만든[3] 평화헌법기시 노부스케를 중심으로 하는 구 일본 제국의 수뇌부 출신들에게는 엄청난 치욕이었다.[4]

그래서 때마침 6.25 전쟁이 터지자 요시다 시게루와 보수본류 세력은 한국전쟁에서 UN군 지원 정도의 역할만 하고 전쟁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경제 회복에 힘쓰자는 주장을 하였다. 때마침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연합군 최고사령부가 철수하고 공직추방령이 해제되자 기시 노부스케, 하토야마 이치로 등 전범으로 몰려서 추방되었던 강경우익 세력 2만여명이 일제히 사회에 복귀하였다. 이들은 반공을 외치면서 이 기회를 이용해 평화헌법을 폐기하고 다시 재무장해야 한다는 주장을 했다. 이들은 1954년 일제히 탈당해서 일본민주당을 창당하고 본격적으로 개헌과 재무장을 외치면서 요시다 시게루가 이끄는 자유당과 대립하였다. 하지만 혁신계가 1955년 사회당으로 통합하자, 이에 대항하기 위해 보수대연합을 외치면서 자유당과 합당하고 자유민주당을 창당한다. 이때부터 자민당은 요시다 시게루의 보수본류와 하토야마 이치로/기시 노부스케의 보수방류로 세력이 구분된다.

그러던 와중 보수방류 계열은 1957년 드디어 기시 노부스케가 총리가 되면서 정권을 장악했지만, 기대와 달리 미국이 버티는 상황에서 기시의 활동폭도 한계는 있었다. 기시는 집권 이후 자주개헌, 자주외교를 포기하고, 미국의 요구를 충실히 받아들여서 미일안보조약을 밀어붙이다가 1959년부터 1960년까지 일어난 안보투쟁 여파로 정권이 무너지는 굴욕도 맛보게 된다. 그리고 기시가 실각하면서 보수방류는 꽤 오랜 기간 비주류로 지내야 했다.

1984년 나카소네 야스히로가 집권하고 보수방류가 다시 개헌을 밀어 붙였지만 보수본류와 리버럴~진보 야당의 반발로 좌절하고 만다. 그러다 1990년대에 록히드 사건리크루트 사건으로 보수본류 정권이 몰락하고 정권까지 야당에 내주는 위기에 몰리자 보수방류에 다시 기회가 오게 된다. 특히 부패스캔들이 연달아 터지면서 당이 만신창이가 되자, 더 이상 자민당에는 희망이 없다고 판단한 보수본류 계열의 소장파들[5]이 잇따라 탈당해 야당으로 넘어가면서 보수본류 계열은 상당히 위축된다. 그래도 한동안은 보수본류인 오부치 게이조가 다시 정권을 잡아 이들을 억누르나 싶었지만 오부치 총리가 뇌경색으로 급사하면서, 2000년대 모리 요시로 총리 시대부터는 지금까지 자민당 주류 계파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모리 요시로 자체는 인기가 좋았던 인물은 아니었고 2000년 총선도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지만[6] 모리의 최측근이었던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꽤 인기를 끌면서 장기 집권하며 주류가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8:18:11에 나무위키 보수방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호사카 유지 교수는 저서에서, "현대 보수방류파들은 '우리가 망한 건 세계최강국 미국과 전쟁했기 때문이라며, 앞으론 개헌해서 전쟁 가능한 국가를 만들되 미국과 같은 편에서 전쟁한다면(...) 우리가 망할 일은 없다'는 인식으로 개헌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지적하였다.[2] 근본은 나카소네 야스히로 파벌이라 보수 방류는 맞는데, 오히려 현재는 자민당 내부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파벌로 꼽힌다. 이는 파벌 자체가 이합집산을 많이 겪으며 보수본류 출신의 인물이 많이 섞였기 때문. 현 파벌 수장인 니카이 도시히로부터가 본류 파벌인 헤이세이 연구회 > 오자와 하타 파벌 출신이며, 신생당, 신진당, 자유당을 거쳐 당내 기반이 취약한 편인 니카이 도시히로가 호소노 고시로 대표되는 민주당이나 민진당 출신의 인물들도 많이 끌어들였기 때문.[3] 사실 이건 일본 내에서도 민감한 문제다. 우익들은 이걸 핑계로 평화헌법을 개정하려 하지만, 호헌측은 당시 평화헌법은 일본 인사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한 자주적인 헌법이라고 쉴드치는 편이다.[4] 기시 노부스케는 2키 3스케로 불리는 만주국의 5대 실세 중 한 명인 동시에 고위 관료로서 만주국의 여러가지 경제정책을 주관했다. 전쟁 이후엔 극동국제군사재판(도쿄재판)에서 전쟁 범죄 용의자(평화에 관한 죄)로 구속수사를 받았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불기소 처분을 받고 살아남았다. 어떻게 보면 이것이 모든 비극의 원흉이 된 셈.[5] 대표적으로 오자와 이치로. 목요회의 후계자이자, 경세회의 유력 주자로서 자민당의 간사장까지 역임했을 정도로 실세였던 오자와의 탈당은 55년 체제의 붕괴를 불러왔다. 이때 정치개혁을 내걸고 자민당을 탈당했던 보수본류 계열 유력 주자들인 하타 쓰토무, 와타나베 고조, 오쿠다 게이와 등 다케시타파 7봉행 맴버와 소장파 의원들인 하토야마 유키오, 오카다 가쓰야 등은 이합집산을 거듭하다가 2009년 민주당 간판으로 정권교체를 실현하지만, 결국은 폭망하고 2012년 다시 야당으로 돌아간다. 현재 이때 이탈한 본류 세력들은 (신) 입헌민주당(신) 국민민주당에 흩어져 있고, 일부는 자민당으로 돌아갔다.[6] 이것도 공명당과의 연합 때문이지 공명당과 연합하지 않았으면 정권 상실까지 했을 레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