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크 구상체

덤프버전 :


항성은하천문학
Stellar & Galactic Astronomy

[ 펼치기 · 접기 ]
항성천문학
항성 ()
광도 · 별의 등급 · 색등급도 · 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 별의 종족 · 다중성계(쌍성) · 변광성(세페이드 변광성) · 성단(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항성 진화
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갈색왜성 · 황소자리 T형 별 · 주계열성 · 적색거성 · 적색초거성 · 볼프–레이에별 · 행성상성운 · 초신성(중력붕괴 · 좀비별 · 감마선 폭발)
밀집성
백색왜성(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에딩턴 광도)
성간물질
성운(전리수소영역) · 패러데이 회전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
은하(분류) · 활동은하핵(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
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
은하수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처녀자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1. 개요
2. 상세
3. 관측 역사


파일:Bok_globules_in_IC2944.jpg}}}
전리수소영역IC 2944 내부의 보크 구상체들[1]

파일:Bok_globule-fingerofgod.jpg}}}
용골자리 성운의 반항하는 손가락(Defiant Finger)[2]

파일:123108main_image_feature_371_ys_full.jpg}}}
보크 구상체 안에서 태어나고 있는 원시별(예상)[3]


1. 개요[편집]


Bok globule

보크 구상체는 짙은 먼지와 가스로 이루어진 작은 암흑성운의 일종으로, 이 안에서는 원시별이 태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크 구상체는 주로 전리수소영역 내에서 발견되며, 그 크기는 보통 1 광년 정도에 질량은 태양의 10~50배 정도이다.


2. 상세[편집]


주요 성분은 수소 분자 및 산화탄소, 헬륨과 그리고 1퍼센트 정도의 규산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보크 구상체는 자체적인 중력 수축을 통해 내부 중심부에 원시별을 만들며, 구상체 내부의 원시별은 주로 쌍성 혹은 다중성으로써 형성된다.

구상체는 우주에서 가장 차가운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데 그 온도가 3 켈빈 수준에 불과할 정도이다. 물론 중심 원시별 주변은 굉장히 뜨겁다.

보크 구상체는 아직까지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천체이다. 두꺼운 먼지층이 가시광선 관측을 봉쇄하기 때문에 내부 구조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구상체의 구성 양상과 가스 밀도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근적외선 영역 전자기파의 소광 현상을 통해 기둥밀도를 도출하거나, 구상체의 특성을 밝혀줄 항성을 연구하는 정도가 지금까지 이 천체를 탐구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들이다.


3. 관측 역사[편집]


보크 구상체는 1940년 천문학자 바트 보크가 최초로 발견했다. 보크 구상체라는 이름 또한 발견자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1947년 보크와 E. F. 리얼리는 논문에서 이러한 구상체 내부에서 가스가 중력 수축을 일으켜 항성성단을 만들고 있다는 주장을 했지만, 보크 구상체 내부는 가시광선으로 볼 수가 없으며, 당시의 관측 기술로는 이러한 점을 해결하는게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이러한 보크의 주장을 입증할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로 보크 구상체들을 적외선 영역으로 관측한 결과 구상체 내부에서 별들이 태어나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관측이 더 심화되면서 구상체 중심부에서 생겨나는 원시별 표면으로 물질들이 낙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21:44:56에 나무위키 보크 구상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뿌옇게 보이는 것은 전리수소영역(발광성운)이 구상체 앞에 있어서 그렇게 보이는 것.[2] 신의 손가락(finger of god)이라고도 하는데, 미켈란젤로천지창조에 등장하는 그 손가락이다.[3] 파일:A_star_forming_globule_of_dust_and_gas_pillars.jpg실제사진(ESA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