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건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푸젠성 문서
푸젠성번 문단을
푸젠성# 부분을
, 대만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푸젠성(대만) 문서
푸젠성(대만)번 문단을
#s-번 문단을
푸젠성(대만)# 부분을
# 부분을
, 후한 말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복건(후한) 문서
복건(후한)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복건(후한)#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okgeon.jpg



머리에 착용하는 한복(韓服)의 일종. 비단으로 짠 두건을 머리에 써서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는 용도로 사용한다. 심의와는 세트로 취급된다. 복건이란 한 폭의 베를 사용하여 머리를 감싸고, 뒤쪽으로 드림이 있는 모자의 일종으로 은사(隱士,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세상을 피해 학문을 하며 조용히 살아가는 선비)들이 주로 사용하였다.

정자관과 함께 전형적인 선비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필수요소로, 후한서에서 대학자 정현이 착용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선비와 학자들이 복건을 애용한 역사는 유구하다.[1] 복건은 후한 때 유행했고, 진나라와 당나라에 이르러서는 은사나 도인의 아복(雅服, 평상복)으로 사용되었다. 그 뒤 송나라 때에 와서 사마광(司馬光)이 복건과 심의(深衣)를 일상복으로 착용하였는데, 이를 주희(朱熹)가 『가례(家禮)』에서 추천하면서 유학자들 사이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 말 성리학이 전래된 이후로 유학자들이 심의와 함께 복건을 유가(儒家)의 법복으로 숭상하여 착용하게 되었으나 그 모습이 괴상하여[2] 일반화 되지는 못하였고, 일부 유학자들이 조선 말까지 착용하였다. 하지만 현대에는 아기잔치 사진 찍을 때나 씌워주는 정도.

1000원권 지폐에는 복건을 쓴 퇴계 이황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지만, 정작 퇴계는 복건을 의 고깔 같다며 매우 싫어했다고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23:48:26에 나무위키 복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현은 조복을 받지 않고 복건을 쓴 채로 황제를 알현하였다." - 후한서 정현전의 기록이다.[2] 불교 승려가 쓰는 고깔을 연상시켰기 때문에, 억불정책을 피던 조선의 사대부는 복건을 싫어했다. 생전의 퇴계 이황도 이러한 이유로 복건 착용을 기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