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001

덤프버전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ㆍ[[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ㆍ[[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ㆍ[[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기장군버스|
기장
]]
1000
1001
1002
1003
1004[A]
1005[B][C]
1006[A][C]
1008[A]
1009[B]
1009-1[A]
1011[A][C]
1012[B]
2000[C][D]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fff,#1f2023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ㆍ[[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ㆍ[[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ㆍ[[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기장군버스|
기장
]]
[ 펼치기 · 접기 ]
15
30
51

58-1[a]

58-2
106

141[a]

182

183[a]

508

1000[a]

1001

1002[a]


1003[a]


1004[a]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심야버스
4.2. 여담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4.4.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1번
기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을숙도초등학교)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6:15
막차
22:00
막차
23:45
평일배차
출퇴근 9~10분 / 평시 11분
주말배차
토요일 12분 / 공휴일 14분
운수사명
부일여객
인가대수
30대[주말]
노선
청강리공영차고지 - 연화터널 - 용궁사.국립수산과학원 - 동부산관광단지 - 오시리아역 - 송정해수욕장입구 - 송정터널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 대동상가 - 좌동재래시장 - 장산역 - 해운대도시철도역 - 센텀시티역.벡스코 - 수영교차로.수영역 - 금련산역 - 광안역 - 대남교차로.남천역 - 경성대학교 - 못골시장 - 문현교차로 - 부산진역 - 부산역 - 부산터널 - 서대시장.동대신역 - 대티터널 - 괴정시장.괴정역 - 사하구청.당리역 - 동아대학교 - 을숙도초등학교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1001번_노선도.pn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001번
기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을숙도초등학교)
종점

첫차
22:20
기점

첫차
00:05
막차
23:00
막차
00:45
배차간격
20분 (1일 3회)
운수사명
부일여객
인가대수
3대
노선
주간 노선과 동일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급행/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8.8km다.[1]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편집]


  • 1985년 240번 일반버스로 개통되었으며 1991년에 좌석노선이 신설되었다. 좌석노선은 냉방차량이 투입되면서 큰 인기몰이를 하면서 꾸준히 증차되지만 입석노선은 승객 감소로 감차되고 1996년에 폐선되었다.

  • 1996년 4월 해운대 신시가지 입주가 시작되었으나 대중교통 불편민원이 끊이질 않자 1996년말에 우진서비스가 본사를 좌동으로 옮기면서 기존노선에서 좌동까지 연장되었다.

  • 1999년 우진공항버스가 공동배차로 참가하였으며 2004년 폐업되었으나 후신업체인 부산공항여객이 재참여하였고 2008년 7월 철수하였다.

  • 2007년 5월 15일 부산시 대중교통 준공영제 시행과 더불어 급행버스 신설로 240번에서 1001번 급행버스로 격상되었다. 이 때부터 해운대로로 직진하지 않고 북좌동을 경유했던 구.109번을 대체하기 위해 양운로좌동순환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2]


  • 2012년 5월 30일 해동여객이 1001번에 공동배차 참여하였다.

  • 2016년 4월 9일 해동여객 4대가 전부 철수하면서 총 인가대수도 28대로 감축되었다.

  • 2016년 12월 17일 2대가 증차되었다. 해당 증차분 2대는 40번에서 가지고 왔다.[3]


4. 특징[편집]


  • 부일여객의 주력/간판 노선이며, 부산의 급행버스들 중 최다 운행대수[5] 및 일일 평균 승객수를[6] 보유중인 노선이다.
    • 더불어 급행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배차간격이 10분 이내인 노선이다.[4]

  • 시내버스 운송약관 제16조.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내 물품 반입을 중량 10kg 미만, 규격 50X40X20cm3 미만으로 제한을 정확히 적용하고 있는 노선이니, 불편하더라도 적극 협조바란다. 실제로 차량 측면에 스티커를 붙여놓고 다니며, 이 노선의 특성상 캐리어 같은 짐을 가지고 타는 승객이 유난히 많다보니 다른 승객들이 이용하는데 불편이 많았던 게 사실이다.[7] 그래서 일반승객의 편의를 우선으로 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로 운송약관을 엄격히 준수하고 있다. 저 규격은 대부분 항공사의 항공기에 탈 때 객실로 가져가는 캐리어의 규격과 일치한다.[8]

  • 해운대구, 수영구 - 서구, 사하구를 잇는 대표적인 노선이며 동부산서부산을 잇는 노선이다. 비슷한 노선으로 31번, 200번307번 그리고 1011번이 있다. 특히 사하구와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 기장군을 잇는 유일한 노선으로 도시철도를 타면 굽이굽이 돌아가야 하는 구간을 직선거리로 이어준다. 하단역에서 해운대역까지 도시철도를 이용하면 1호선을 타고 서면역까지 가서 2호선으로 환승해서 해운대로 가야하는데 노선 굴곡이 상당히 심한 편이며 서면역은 항시 사람들로 북적거린다. 제 아무리 서면역이 개념환승 축에 들 정도로 환승이 간단하다고는 하지만 일단 환승한다는 것 만으로도 환승저항이 생기는 걸 감안해야 하며 서면역은 이용객이 엄청나게 많은, 대표적인 헬게이트 지역이다. 사하구에서 수영구해운대구까지 서서 가야 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당연히 부산역에서는 출퇴근 시간대에는 입석 당첨이다.

  • 해운대행 노선들이 그러하듯이 이 노선도 여름이 되면 피서객들로 인해 점심이나 심야시간에도 가축수송을 벌인다. 가뜩이나 사람 많은 노선인데 출퇴근시간에 피서객까지 끼게 되면 미어터짐 그 자체가 된다. 심지어 이 노선은 22:00가 넘어서도 마치 출근시간대같은 풍경이 보이기도 한다. 경성대에 도착하면 아예 무정차통과를 하거나 이미 터져나가던 차가 더 터져나간다.

  • 서대시장 - 영주교차로 간을 오갈 때 부산터널을 경유하며 좌천삼거리 - 문현교차로를 오갈 때는 자성로를 경유하여 부산 도시철도의 이용률을 떨어뜨리는 노선 중 하나이다.

  • 급행버스인지라 요금을 일반버스보다 1.5배 가까이 받으므로 실제 운송수입금은 68번을 뛰어넘는다는 카더라 통신도 있었다. 다만 부산도 서울처럼 준공영제가 시행 중이고 덕분에 모든 노선의 수입금은 공동관리 및 공동배분되기 때문에 정확히는 추정할 수가 없다. 2017년 하반기 기준으로는 1일 대당 53만원을 벌어들여 전체 급행버스 중 3위를 기록했다.

  • 통학수요가 매우 많은 노선으로,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2년제 이상 대학교만 5개 학교가 된다.[9][10] 간접 연계가 되는 학교까지 합치면 더 많으며, 대표적으로 동아대 부민캠퍼스는 직접 이어주진 않지만 서대시장 정류장에 내려서 10분 정도만 걸어가면 금방 도착하니 간접적으로 연계된다. 주로 사하구에서 경성대나 부경대로 통학하는 수요와 해운대구, 수영구, 남구에서 동아대로 통학하는 수요 패턴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따라서 방학에는 수요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거기다 기장군에 있는 동부산공영차고지까지 노선이 연장됨으로 인해 운송원가가 증가하면서 수입금이 줄어들기도 했다.

  • 하지만 2015년 말에 해안순환도로를 경유하는 부산 버스 1011이 개통되어 수익면에서는 다른 급행노선들과 비슷해졌다. 1001번 수요 일부를 분산시켰기 때문. 2015년 7월에는 1001번 연선은 물론 명지신도시, 사하구 장림/다대포/감천, 영도구 주민들 모두 환승해서 1001번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는데, 1011번 개통 이후 이 승객들이 1001번에서 이탈했다. 심지어 개통 초기에는 1011번 배차간격이 40~50분이나 되었지만 1011번이 지나가는 곳(감천, 영도, 동명대 등)에는 1011번을 일부러 기다렸다가 타는 사람이 많았고, 입석금지법으로 못 탈 경우에 1001번이나 1003번 등 기존노선으로 가기 때문에 1001번 수요 감소에 영향을 준 것이다. 증차로 배차간격이 좋아진 지금도 1011번 연선 주민들은 출퇴근 시간대에는 줄서서 타야되고 그 이외 시간대에도 시간 맞춰서 1011번을 타고 중간 지점에서 환승하여 최종 목적지로 이동한다.[11] 어쨌든 운송수입금 급행버스 1위라는 카더라는 과거의 영광으로 남게 되었다.[12]

  • 1일 평균 총 1만 명이 넘는 승객이 이용하며 부산 급행버스 11개 노선 중 1일 평균 총 승객수 1만명이 넘는 유일한 노선이다. 또한 입석금지법 노선인 1011번의 고질적인 만차현상로 인해 1001번의 영도구 수요가 (특히 태종로 연선에서) 아직까지 정리되지 않은 것도 있다.[13]

  • 장산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들 중에서 115-1번, 200번과 더불어 배차간격이 가장 좋은 노선이다. 다만 2012년 5월 5일에 좌동에 있던 차고지가 없어지고 청강리공영차고지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배차간격도 미묘하게 늘어났다.

4.1. 심야버스[편집]


  • 연장 이전에는 좌동에서 23:00 막차가 나간 후 하단 을숙도초등학교 막차 00:20으로 운행하여 늦게 다니는 편이었다. 심야버스가 아니라 그냥 급행일 뿐이었고 당시 58-1번과 더불어 심야할증이 적용되지 않은 심야노선이었다.

  • 결국 운행거리 연장 이후 22:00가 기점 막차가 되었다. 그리고 심야버스 운행이 시작되면서 3대가 20분 간격으로 22:20~23:00에 차고지에서 출발하는데 정차하는 정류장 개수는 주간노선과 100% 동일하다. 참고로 부산역~수영교차로와 송정터널~송정역 구간이 겹치는 1003번의 심야노선은 완행이다.


4.2. 여담[편집]


  • 2012년 5월 30일에 1005번, 1006번이 폐선되면서 해동여객 배차분의 잉여차량이 1001번으로 투입되었다. 1005번을 공동배차로 운행하던 부산여객과 세익여객 그리고 1006번을 공배하였던 일광여객, 부일여객, 부산여객은 BS106 좌석버스를 투입한 상태였기 때문에 폐선 후 자사 입석노선에 활용할 수 있었지만, 해동여객은 FX116 크루징애로우 차량으로 운행했기 때문에 입석노선에 투입할 수 없었다. 결국 부산시 교통과가 중재에 나서서 해동여객이 1001번에 공동배차로 들어오게 되었다.

  • 도시철도와 대다수 중복되는 탓에 준공영제 시행때부터 노선 조정 이야기가 가끔씩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용객 수가 많을 뿐더러 노선 조정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기존 고정승객들의 엄청난 반발로 인해 번번이 무산되었다.


  • 2017년 3월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공개된 2016년 한해 평균 통계 자료에 따르면 승객수에 비해 운송수입금이 떨어지는 노선임이 증명되었다.[14] 이 노선보다 총 승객수가 약 500명 정도가 적은 1003번이 대당 64만 원을 벌어가고 있다. 그 외에 2015년도에 신설된 1011번의 영향으로[15], 2019년에는 1006번이 해운대도시철도역까지 연장되고 태종대행 한정으로 센텀시티역·벡스코까지 경유하게 되면서 영도구 관련 수요가 추가적으로 빠져나가면서 승객 수가 더 줄어들었다. 다만 수영로~부산역~부산터널~서대시장/동대신역~대티터널~사하구로 연결되는 선형이 가히 환상적이고 해당구간에서 이용률은 여전히 높기때문에 앞으로도 건재할 것으로 보였으나, 1006번과 1011번의 추가정차, 1006번의 신해운대역 연장으로 인해 해안순환도로 연선 수요가 다 빠져나가서 부산역 관련 관광수요 + 괴정 ~ 수영 선형 수요로 연명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2021년 5월 기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37만 원까지 폭락되었다. 교통카드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에 의하면 승객 수도 7천명대로 폭락하여 노선 특성상 코로나 영향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1006번, 1011번 추가정차, 1006번의 신해운대역 연장 영향도 받고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16] 코로나가 종식된다 해도 1006, 1011번 추가정차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워 보이는데, 해안순환도로 연선 수요가 빠져나갔다는 것이 증명된다.[17] 결과적으로 부산항대교남항대교가 이 노선의 수요를 폭락시킨 주범이라 보면 된다.

  • 부산역에 내린 외국인과 여행객이 해운대로 가기 위해 자주 탑승하는 노선이다. 구글지도도 그렇고 대부분 지도어플들이 도로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지하철을 추천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노선은 시점부터 종착점까지 부산의 주요 혼잡도로를 모조리 지나간다고 보면 된다. 부산역 기준으로 평시 시간대에도 남천역을 넘어가면 서면으로 돌아가고 환승까지 해야하는 지하철이 빨라지게 된다. 부산역에서 문현역, 경성대, 부경대를 간다면 지하철보다 두배 이상 빠르게 갈 수 있다.[18] 출퇴근 시간대는 가능하면 지하철을 타는 것이 빠를 수 있다. 총 길이는 지하철보다 짧지만, 지속적으로 40km로 가는 것과 5~60km로 밟다가 정체로 꽉꽉 막히는 것과의 차이는 크다. 비슷한 이유로 1006번과 1011번이 개통된 이후 그쪽으로 빠져나가는 바람에 1001번의 수요가 줄어들기도 했으니.

  • 이 노선은 부산역~문현교차로 간 정류장 중에 자성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자성대 정류장에 정차하는 1003번과는 반대되는 특성이다. 허나 문현교차로 방면 자성대 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이 26번과 41번, 1003번 단 셋 뿐이라서 이 노선도 자성대 정류장에 정차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고,[19] 실제로 그 부분에 대한 건의가 있었지만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특히 주말 오전에도 부산역이나 부산역 이전에 이미 입석까지 발생해서 실제 1001번 근무하는 기사님들 조차 차라리 전철타거나 1003번 승차 후 다른 노선 환승을 권하기도 한다.

  • 동부산관광단지의 지속적인 개발로 인한 대중교통 확충 민원 해소와 더불어 이케아 동부산점이 오픈 함에 따라 2020년 2월 13일, 청강리 공영차고지부터 송정1단지주공까지 100번 노선의 연화터널 구간, 139번 노선의 서암입구부터 당사입구까지의 구간을 다니게 되었다.
  • 전국에서 시내버스 공공 와이파이 사용량이 가장 많은 버스노선으로 기록됐다. #


  • 회차하고 쉬는 지점은 2번이 서는 을숙도초등학교 정류장에서 한 횡단보도 떨어져 있다. 그런데 우연히 회차하는 타이밍에 의자에서 일어난다면 가끔 마음씨 착한 기사가 타려는줄 알고 세워주니 만약 그러면 안 탄다는 의사 표현을 하자.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주간 노선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1418.71

2015년
11526.57
△ 107.86
2016년
9864.29
▽ 1662.28
2017년
10147.71
△ 283.42
2018년
10537.28
△ 389.57
2019년
10010.28
▽ 527.00

심야 노선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381.57

2015년
533.43
△ 151.86
2016년
1473.43
△ 940.00
2017년
977.29
▽ 496.14
2018년
372.71
▽ 604.58
2019년
365.57
▽ 7.14


4.4.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1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낙동대로
서대시장 ▼
▲ 괴정초등학교(대티역)
대영로
부산역 ▼
▲ 영주동
중앙대로

▲ 부산진역
자성로
문현교차로 ▼

수영로
센텀시티역 벡스코 ▼
▲ 수영교차로(수영역)
센텀남대로
올림픽교차로 ▼
▲ 센텀시티역 벡스코
해운대로
장산역.해운대문화회관 ▼
▲ 장산역.장산지하철역(14번출구)
양운로
대림1차아파트 ▼
▲ 좌동재래시장
좌동순환로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
▲ 동부아파트
좌동로
송정해수욕장입구 ▼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해운대로

▲ 송정2휴먼시아
기장대로
오시리아역 ▼

동부산관광로
동부산관광단지 ▼
▲ 동부산관광단지
기장해안로

▲ 동암후문
청연로
청강리공영차고지 ▼

기장대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001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낙동대로
서대시장 ▼
▲ 괴정초등학교(대티역)
대영로
부산역 ▼
▲ 영주동
중앙대로

▲ 부산진역
자성로
문현교차로 ▼

수영로
센텀시티역 벡스코 ▼
▲ 수영교차로(수영역)
센텀남대로
올림픽교차로 ▼
▲ 센텀시티역 벡스코
해운대로
장산역.해운대문화회관 ▼
▲ 장산역.장산지하철역(14번출구)
양운로
대림1차아파트 ▼
▲ 좌동재래시장
좌동순환로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
▲ 동부아파트
좌동로
송정해수욕장입구 ▼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해운대로

▲ 송정2휴먼시아
기장대로
오시리아역 ▼

동부산관광로
동부산관광단지 ▼
▲ 동부산관광단지
기장해안로

▲ 동암후문
청연로
청강리공영차고지 ▼

기장대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동아대학교 엠블럼.jpg 동아대학교 경유버스
[ 펼치기 · 접기 ]
승학캠퍼스
급행
1001
1005
일반
2
16
68
123
126
138
168
338
마을
사하10[A]
구덕캠퍼스(동아대학교병원)
일반
8[C]
15[C]
16[B][C]
40[B][C]
67[C]
81[B][C]
161[C]
167[B][D]
190[B][D]
마을
서구1[B][C]
서구3[B][C]
서구3-1[B][C]
서구5[A]
중구1[D]
부민캠퍼스
일반
15
16
40
70
81
123
126[B]
161
190
[A] 교내 진입 / [B] 단방향 경유 / [C] 동아대병원입구/구덕운동장 정류소 / [D] 동아대병원 정류소



파일:pukyoung_logo.png 부경대학교 경유 버스

[ 펼치기 · 접기 ]
대연캠퍼스
급행
1001[A]
1003[A]
1006[B]
1011[B]
일반
10
20
22
24
27
39
40[A]
41[A]
42[A]
51[A]
83[A]
83-1[A]
108[A]
131
155
마을
남구1[A]
남구2
남구10
용당캠퍼스
급행
1006[C]
1011[C]
일반
10
68
134
138
138-1
155
583
마을
남구10 (교내 진입)
{{{#053863,#bdd7fb

[A] 경성대, 부경대역 정류장 정차.

[B] LG메트로시티, 남부면허시험장 정류장 정차 (해안순환도로).

[C] 동명대학교후문 정류장 정차 (해안순환도로).




파일:한국해양대.png 한국해양대학교 경유 버스

[ 펼치기 · 접기 ]
아치캠퍼스
급행
1006
일반
8
30
66
88
101
186
190[A]

다운타운 캠퍼스
시외
부산역-진주 심야[B]
급행
1000
1001[B]
1003[B]
1004
일반
2[B]
17
26
27
40
41
43
59
61
66
67
81
82
85
87
88
88-1[B]
101
103
134
167
190[B]
508[B]
미음캠퍼스
급행
1005
마을
강서구12[C]
{{{#053863,#bdd7fb

[A] 교내 진입

[B] 부산역 정차.

[C] 경마 시즌에만 운행.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3:45:15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100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주말] 토요일 27대 / 공휴일 26대 운행[1] 카카오맵 기준으로 76.3 km이다. 노선 변경 이전에는 70.0 km가 나왔는데, 카카오맵과 시당국에서 운행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 다른 듯하다. 동부산공영차고지로의 연장 전(해운대신도시 경유 이전, 현 신도시시장에서 출발했을 당시; ~2007)에는 59.5 km 가량 되었었다.[2] 당시 1000번대 번호를 부여받은 좌석 출신 급행버스들은 옛 번호 순으로 배정받았다. 1000번(98번), 1001번(240번), 1002번(247번), 1003번(302번), 1004번(신설)[3] 정확히는 38번에 다니는 구형 로얄시티를 1011번 신차로 교체하고 1011번 다니던 유니버스가 1001번으로 이동, 40번에서 38번으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 2대가 이동한 것이다.[4] 1003번은 청강리 연장 이후 배차간격이 10분을 넘어서서 10~15분에 1대 꼴로 온다.[5] 배차간격도 가장 좋으며 인가대수 30대로 운행하는데 이 정도면 웬만한 일반버스 노선들보다 인가대수가 훨씬 많다. 당장 부일여객의 모든 노선 중 1001번이 가장 많은 차량이 운행하고 있다.[6] 1만 명을 넘기는 유일한 노선이다. 2위는 약 9,600명인 1003번, 3위는 약 6,500명인 1002번이다.[7] 물론 해운대해수욕장을 직접 연계하는 1003번에 비하면 약과지만 그래도 부산역과 해운대를 빠르게 이어주는 특성상 이쪽으로도 수요가 몰린다. 특히 서구청에서부터 수요가 발생하는 1003번과는 달리 저멀리 하단에서부터 출발하는 노선이라 더더욱 그렇다.[8] 이 제한을 적용하는 다른 노선으로는 307번, 1003번, 1004번, 2000번이 있다. 다만 307번, 1004번과 2000번은 차내 안내문만 부착되어있고 외부는 없으며, 2000번 버스는 부산 차적만 적용되고 하부 화물칸이 있는 거제 차적은 화물칸에 적재하는 조건으로 적용되지 않는다.[9] 경성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주대학교, 부경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다운타운캠퍼스.[10] 다만 해양대 다운타운 캠퍼스는 계약학과와 평생교육 및 세미나를 위해 만들어진 곳이라 일반 학생과는 대부분 연관이 없는 곳이므로 1001번에 주는 영향은 미미하다.[11] 해안순환도로는 출퇴근 시간대를 제외하면 그리 밀리지 않는 길이고 이로 인해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배차간격을 잘 지키는 편이다. 그래서 아무리 환승저항이 있다 하더라도 이 노선을 이용한 후 다른 노선으로 환승해서 가는 게 더 빠르기 때문에 그렇게 이동하는 승객들이 많다.[12] 2018년도에는 1002번과 수익금이 엎치락 뒷치락 하기도 했다.[13] 절영로 연선에서는 영선2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어느정도 물갈이가 이루어지며 한진중공업보다는 1011번 승차에 성공할 확률이 조금 높기 때문에 어느정도 정리되었다. 1006번이 신설되면서 태종로 수요도 정리될 줄 알았으나 중간 정류장과 회차지를 잘못 선정하는 등 잘못된 노선 신설로 인해 아직 정리가 되지 않고 있다.[14] 이는 형제노선인 1011번도 마찬가지이며, 1011번은 해안순환도로를 지나는 수요 특성상 급행버스끼리 환승하는 경우도 있어 더 심각하다. 하루에 3천명 넘게 이용하는데 20만 원 후반 정도밖에 못번다.[15] 1011번은 해운대 지역에서 남구 용당동, 영도구 봉래동, 영선동, 서구 암남동, 사하구 감천동과 장림동, 강서구 명지동, 신호동, 녹산동(송정동)을 바로 연결되는 노선이므로 이제 1001번을 타고 경성대, 부산역, 괴정시장, 사하구청/하단교차로 등지에서 하차하여 번거롭게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16] 같은 시기 1006번은 뒤에서 2등이긴 하지만 19만 원으로 올라서 1005번과 격차를 꽤 벌렸고, 1011번은 26만 원 정도로 소폭 하락했다.[17] 2021년 5월동안 1001번은 하루 평균 7,100명 정도 타서 코로나 이전 대비 폭락했는데 반해 1006번은 817명으로 그대로고, 1011번도 2,300명 정도로 소폭 하락했다.[18] 역산하자면 부산역에서 굳이 서면으로 돌아가지 않고 자성대를 경유해 일직선으로 해운대까지 꽂아주어도 대남교차로~수영교차로~수비교차로의 통행량이 극악이라 애써 벌려둔 표정속도를 다 깎아먹는것.[19] 26번은 감만동으로 빠지기에 감만동 가는 사람들만 타고 41번은 경성대로 가주지만 민락동에서 노선이 끊긴다. 1003번이 유일한 해운대 방면 노선인데 벡스코와 해운대역, 장산역 미경유로 이들 지역이 목적지라면 환승을 해야만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