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58-1

최근 편집일시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fff,#1f2023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ㆍ[[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ㆍ[[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ㆍ[[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기장군버스|
기장
]]
58-1
203
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8220; font-size: 13px"
모든 노선 환승 대기 시간 60분 적용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fff,#1f2023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ㆍ[[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ㆍ[[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ㆍ[[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기장군버스|
기장
]]
[ 펼치기 · 접기 ]
15
30
51

58-1[a]

58-2
106

141[a]

182

183[a]

508

1000[a]

1001

1002[a]


1003[a]


1004[a]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파일:DSC_9923.png


파일:DSC_0013.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이용 시 유의할 점
4.2. 논란 및 문제점
4.2.1. 2015년 하단~남포동 구간 철수 논란
4.2.2. 2023년 진해 용원·청안동 구간 철수 논란(해결)
4.3. 디젤차량 투입
4.4. 두동차고지 시절 공차회송
4.5. 연간 일평균 승차량
4.6.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볼드체 처리 된 구간은 주간 운영과 심야 운영 시에 노선 상에서 차이가 나는 구간이다.


밑줄 처리 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58-1번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하단역환승센터)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45
막차
21:40
막차
22:50
배차간격
30분
운수사명
태영버스
인가대수
7대
노선
강서공영차고지 - 삼성전기후문 - 화물터미널 - 진해용원고등학교 - 용원택지교차로[단독] - 용원시외버스정류장 - 해인로즈빌아파트 - 부영2차아파트 - 안골포초등학교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반짓골·웅동2동행정복지센터 - 용원사거리[A] - (주)태광 - 송정다리 - 경제자유구역청 - DSR - 삼성전기기숙사[*단독 ]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하수처리장 - 신호부영아파트 - 르노자동차남문 - 퀸덤1·2단지 - 롯데캐슬아파트 - 남명초등학교 - 낙동강철새도래지 - 명지새동네 - (← 명지시장 ←)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환승센터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58-1번 버스 노선도 V4-1.pn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58-1번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하단역환승센터)
종점

첫차
23:30
기점

첫차
00:40
막차
23:30
막차
00:40
배차간격
1일 1회
운수사명
태영버스
인가대수
1대
노선
강서공영차고지 - 삼성전기후문 - 화물터미널 - 진해용원고등학교 - 용원택지교차로[단독] - 용원시외버스정류장 - 해인로즈빌아파트 - 부영2차아파트 - 안골포초등학교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반짓골·웅동2동행정복지센터 - 용원사거리[A] - (주)태광 - 송정다리 - 경제자유구역청 - DSR - 삼성전기기숙사[*단독 ]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하수처리장 - 신호부영아파트 - 르노자동차남문 - 퀸덤1·2단지 - 롯데캐슬아파트 - 남명초등학교 - 법원·검찰청사거리 - 금강펜테리움/에일린의뜰 - 명지국제신도시입구 - 명지새동네 - (← 명지시장 ←)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환승센터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좌석/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8.8km다.

3. 역사[편집]


  • 300번대 좌석버스와 공항버스를 제외한 좌석버스 노선 중 가장 먼저 신설됐다.[1]

  • 이전의 58-1번은 1988년 9월 1일 명지 - 하단교차로 - 충무동 간 노선으로 개통됐으나, 수요가 저조해 배차간격이 길었고, 결국 4년만에 유령화되어 폐선됐다. 후에 용원 - 하단역 - 충무동 간 노선으로 재운행하나 이 역시 58번과의 중복으로 다시 유령화되어 결국 폐선됐다.

  • 1999년 녹산공단에 기업들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신규 수요가 발생해 용원 - 녹산공단 - 하단역 - 충무동 간 노선으로 운행을 재개했다. 이 58-1번 노선은 당시 시내버스 노선이 적었던 녹산공단 근로자들의 발이 되어준 노선이며 실제로 운송수입금까지 상당히 좋았으므로 126번과 함께 태화교통을 이끌어가는 노선이었다. 나중에 태화교통이 태영버스로 바뀐 다음에 2003년 58-1번은 대량 증차를 통해 배차간격을 약 10분까지 줄이게 된다.

  • 2003년 시계외 지역인 진해 청안동에 해인로즈빌아파트 등 아파트단지가 여럿 생기면서 7월경 58-1번이 청안동 해인로즈빌로 연장됐고 지역 주민들에게 호응을 얻으면서 신규 수요가 발생했다. 하지만 원래 이 일대를 다니던 시외노선의 수요가 줄자, 시외버스 운영업체인 동아여객은 부산 노선의 청안동 경유 금지에 대한 가처분신청을 법원에 내게 된다. 이에 법원은 58-1번이 진해와 시외버스업체에 피해를 주는 노선연장을 했다고 인정하면서 10월경, 58-1번이 결국 용원사거리로 단축되었다.

  • 2004년 태영버스와 부산시는 동아여객도 하단역에서 승객을 받고 있기 때문에 부산 지역의 시내버스 운행에 방해가 되고 수요에 차질이 생긴다고 주장하며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했고, 하단역 시외버스 정류장을 폐지하는 조치까지 취하자 2005년 말에 태영버스동아여객이 제한적으로나마 58-1번이 다시 청안동까지 운행하고 하단역 시외버스 정류장을 재사용하는 내용으로 서로 합의하여 소송을 취하하기로 했다.[2] 이에 따라 2006년 노선을 2개로 분리하여 운행하게 된다.
    • A노선: 청안동~하단역~충무동 / 배차간격: 약 30분
    • B노선: 용원사거리~하단역~충무동 / 배차간격: 약 10분

  • 2007년 5월 15일 B노선(용원사거리 시종착)은 일반버스로의 형간전환과 함께 58-2번으로 변경되고, 노선을 용원사거리 - 녹산공단 - 사하구청으로 단축하면서 58-1번에서 아예 분리됐다. 58-1번은 기존의 A노선인 청안동 - 하단역 - 충무동 단일노선으로만 운행하게 됐고 배차간격도 기존 A노선과 같은 30분으로 설정됐다.

  • 2009년 8월 28일 520번과 함께 명지오션시티를 추가 경유하게 됐다.[3]

  • 2014년 2월 22일 심야버스가 투입됐는데 주간 막차 1대가 심야버스로 변경된 것이다.


  • 2015년 11월 28일 충무동에서 하단역까지 노선이 대폭 단축됐고, 심야 노선 한정으로 명지국제신도시 내 금강펜테리움아파트를 경유하게 됐다.

  • 2016년 4월 9일 심야 노선 한정으로 명지국제신도시 내부를 추가로 경유하게 됐다.

  • 2023년 7월 29일 강서공영차고지 노선 개편에 따라 진해 청안동~송정다리 구간이 폐지되고 '경제자유구역청 - 용원 - 녹산산업북로 - 강서공영차고지'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이로써 법정 싸움 끝에 운행하던 청안동 및 용원사거리 구간을 20년 만에 철수하게 됨에 따라[4] 100% 부산광역시 안에서만 운행하는 노선이 되었다.[5]부산시 버스 공식 블로그 심야버스는 기존대로 현 노선에서 명지국제신도시를 경유하는 것으로 유지되며 좌석버스도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221번 폐선분(2대)만큼 증차되어 총 7대로 운행한다. 이에 따라 이틀 전인 7월 27일, 창원시는 29일 태영버스의 강서공영차고지 입주에 따른 노선 개편으로 기존에 진해 청안동 구간 철수가 확정됨에 따라 용원 주민들의 불편 해소를 위해 29일부터 58-1번 청안동 구간 운행 재개시까지 똑같은 선형의 노선 361번 운행을 공지했다.창원시 공지사항
[ 개편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58-1 노선도(개편전).svg


  • 2023년 11월 4일 후술할 청안동, 용원동 재진입 민원에 따라 청안동,용원동에 재진입하게 되었다. 청안동 재진입에 따라 용원 - 녹산산업대로 - 경제자유구역청 구간이 청안동 종점 시절 노선대로 용원 - 송정다리 - 경제자유구역청으로 변경되었으며, 용원사거리 정류장 또한 기존대로 창원시 용원사거리 정류장 정차로 복원되고[6] 강서차고지 - 청안동구간 사이에 시내버스 최초로 진해대로상에 진해용원고등학교, 용원택지교차로 정류장이 신설되고 용원시외버스정류장에 정차하게 되었고, 추가로 기존 청안동 해인로즈빌발 시절에도 정차하지 않았던 부영2차아파트(511102)정류장에[7] 도 정차하게 되었다. 배차간격은 평시 기준 최대 30분으로 증가됐다.
[ 연장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58-1 노선도.svg


4. 특징[편집]


  •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된다.

  • 원래 막차청안동 23:20 출발이었으나, 2014년 2월 22일부터 이 막차가 심야버스로 지정되면서 주간 막차시간이 바로 앞 순서 출발시간이 됐다. 이 막차의 경우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막차와 연계가 불가능하지만 심야 1001번 막차와는 연계되니 참고할 것.[9] 다만 심야1000번의 경우 다대포행 노선으로만 연계된다.[10] 때문에 심야 노선치고는 수요가 제법 많은 편이다. 또한 1호선 신평행 막차를 타고 하단역에 내려 환승센터에서 조금만 기다리면 이 노선으로 여유롭게 환승이 가능하기에 심야 시간대에 명지로 가려는 수요도 많다. 때문에 막차 시각을 10분 정도 앞당겨달라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11]
    • 강서공영차고지발 노선 조정 이후 더이상 심야 1001번 막차와는 연계되지 않게 되었다. 심야 58-1번이 하단역에 도착하면 익일 01:00경이 되어버렸다. 특히 대리운전 운전 기사들이 심야노선을 이용해서 하단역에서 낙동초등학교 정류장까지 걸어가 1001번 심야노선 막차와 환승연계를 많이 하였는데 환승연계가 불가능해져 이용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 더군다나 운행시간을 길게 잡아놓아서인지 좌석버스임에도 불구하고 저속주행이 심한 편이다. 저속운행이 얼마나 심하냐면 강서공영차고지에서 용원까지 10분 정도면 주파하는 58-2번[8]과는 달리 20-30분씩이나 걸릴 정도로 매우 느리게 운행하였다.
    • 결국 승객들로 하여금 여러 차례 민원이 들어오고 이를 수용하기 위해 개편 이후 한달 정도 지나서 청안동 재운행 이전까지 강서공영차고지 출발 막차시각이 23:40경으로 10분 앞당겨졌다. 더불어 운행시간을 조금 타이트하게 조정하여 더이상 저속운행을 하지 않는다.
    • 2023년 11월 4일에 다시 청안동으로 들어가도록 조정된 이후에는 막차시각이 23:30경으로 조정되어 저속운행을 하지 않고 있다. 더불어 다이어를 강서공영차고지 입성 이전 시절로 조정하여 청안동 해인로즈빌아파트 도착 시각이 예전 시절로 환원됨에 따라 이용 불편은 해결되었다.

  • 형제노선으로 58번58-2번이 있고 친척노선으로 520번이 있다. 그런데 58번의 지선번호지만 정작 58번과는 거리가 좀 있어보이고 오히려 520번이 이 노선과 더 비슷하다.

  • 최근 강서구 신호동명지동 일대 대규모 주거단지가 조성됨에 따라 예전에 비해 노선 굴곡이 매우 심해졌다. 명지오션시티 입주가 시작된 후 58-1번이 이곳을 경유하게 됐고 가장 최근에는 신호동 내 부영아파트 1~5차 아파트단지 입주가 시작되어, 신호동 안동네를 경유하는 바람에 편도 2.1km 증가됐다. 참고로 신호하수처리장~르노코리아자동차남문을 직선으로 달릴 경우 편도 800m 거리인데, 이 때문에 녹산공단~하단역 소요시간이 종전보다 배로 더 늘어나는 바람에 승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는 얘기가 있다. 문제는 이쪽에서도 쩌리 취급을 받고 있다. 물론 충무동 종점시절엔 남포동 롯데백화점까지 지하철 환승 없이 한 번에 찔러줬으니 메리트가 상당히 컸었다. 메리트가 사라진건 하단역 종착 이후이다. 하단역에서 끊겨버리니 다른 노선에 비해 메리트가 없는데 배차간격까지 너무 긴 데다가 평시에 국제신도시를 미경유한다지만 그건 해당 구간을 지나는 마을버스들도 똑같기 때문에 대부분의 주민들은 배차간격이 훨씬 짧은 마을버스를 이용한다.

  • 2015년 11월 28일 개편부터 2023년 8월경까지 22:20의 주간버스 막차 이후 1시간 30분의 공백을 가지고 23:50에 청안동에서 심야버스가 나왔다. 22:27경 58-2번의 막차가 끊긴 이후로도 무려 1시간 30분 이상을 기다려야 했다.[12] 용원사거리 정류장에는 23:54경 도착하나 1~2분 정도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수차례 낚시를 당하고 나서 승무원께 물어보고 나온 답이다. 하단역에서 도시철도로 환승할 생각이라면 반드시 용원사거리에서 22:27경 출발하는 58-2번 막차나 58-1번 주간노선 막차를 타야만 한다. 때문에 막차시각을 10~20분 정도 앞당길 필요가 있어 보였고 강서공영차고지 입성과 청안동 재운행으로 인하여 막차시각이 10분씩 두 차례 앞당겨졌다.

  • 58-1번과 58-2번 막차는 용원사거리에 22:27경에 거의 동시에 도착하는데 입석노선인 58-2번으로 수요가 몰리기 때문에 58-1번은 거의 텅텅 비어가는 편이다. 그나마 명지오션시티에서 빠르게 하단역으로 가기 위해서 타려는 수요가 있지만 하단역에서 노선이 끊겨버려 낙동대로에서 버스 환승을 하려는 승객들은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

  • 심야노선의 경우 한동안 네이버 지도카카오맵에 심야노선 정보와 경로가 반영되어 있지 않았으나, 현재는 반영되어있다.

  • 2000번에 좌석버스 예비차가 들어갔을 때 좌석버스 예비차 부족으로 일반버스 예비차가 나오거나 58-2번 정규차량이 이 노선에 임시로 투입되는 경우가 있었다. 입석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요금은 좌석버스 요금 그대로 받았다!

  • 두동시절부터 굴려온 기존 차량 5대는 상태가 좋지 않아, 운행중 버스 고장시 해당 버스 다음 일정이 취소되게 되며(아예 차가 없다) 그후 버스 순서가 바뀌게 된다.

  • 2023년 7월 29일부터 이 노선에도 신도색 정규 차량이 생겼다. 그 차량들은 같은 날 폐선된 221번 차량 2대다.

  • 58-1번이 청안동으로 재연장되며 진해대로 연선에 단독 정류장 3개소(진해용원고등학교, 용원택지교차로, 용원시외버스정류소)가 신설되었다. 무정차 통과할 거라는 예상을 깨고 신설되었으며 진해대로 연선은 이전까지 창원시 시내버스 포함 어떠한 시내버스도 정차하지 않던 곳으로, 그동안 대중교통이 전무했던 용원 회야골, 용원북로, 용재로[13] 일대의 교통편의가 증진됐다. 청안동에서 진해용원고등학교와 용원중학교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편의가 증진된 점은 덤이다.[14] 더불어 하단행 뿐만 아니라 강서차고지행 노선을 타고 강서공영차고지에서 부산 시내로 나가는 다른 노선들로 환승도 가능하니 일석이조다.[15]

  • 과거 용원사거리 이후부터 청안동까지는 안내방송만 송출되었고, 정류장에는 58-1번이 표시되어 있지 않았다가[16] 2023년 11월 04일 청안동 재진입으로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정류장에 창원시 스타일의 노선안내도가 부착되었고 팻말에 58-1번이 표기되었다. 그냥 용원로 상에 창원시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거의 모든 정류장에 정차한다고 보면 된다.

  • 창원 시내를 경유하는 김해 버스 노선들의 경우 창원시 BIS에 등록되어 있지만[17] 부산과 창원은 양측 버스 노선이 아직까지도 등록되어 있지 않다.

  • 진해용원고등학교(12-703),(12-704)와 용원택지교차로(용원 방면, 12-705) 정류장에는 창원시 구간인데도 정류장 안내판을 부산 시내버스 정류소[18]가 설치되었고, 기존에 동아여객 진해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노선이 정차하면서 설치되었고 현재는 정차하지 않아 방치되어 있는 용원택지교차로 정류장(부산 방면), 용원시외버스 정류장(양쪽 다)에는 노선 조정 공고문만 부착된 채 정류소는 설치되지 않았다. 안내방송과 내부 LED 전광판에는 제대로 송출되니 하차할 때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19] 용원시외버스 정류장에서는 기존에 설치된 정류장에서 승객을 승/하차시키니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 다만 진해대로 갓길변에 화물차 트럭들이 정류장 부근에까지 주차하여 승객 입장에서는 버스를 타기 위해 도로변으로 나와서 버스를 기다려야 하는 입장이다.

  • 강서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청안동 해인로즈빌아파트에서 일정 시간 휴식을 취한 후에 하단행으로 운행한다. 다이어를 강서차고지 입성 이전 시절로 적용하였기에 시간표에 맞춰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강서차고지에서 청안동 해인로즈빌아파트까지 운행시간은 20분으로 잡아놓았는데 교통 체증이 없다보니 실제로는 15분 정도면 도착한다.

  • 이 버스는 좌석버스인데도 불구하고 행선판에는 일반버스로 표기돼 있다.[20]

4.1. 이용 시 유의할 점[편집]


청안동 재연장 이후 예전처럼 창원시에 위치한 용원사거리 정류장(정류장 번호 630317, 630318)에 정차하게 되면서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용원사거리 정류장(정류장 번호 12072, 12073)을 무정차 통과하니 이용에 주의해야 한다.[21] 재연장 초기에는 이러한 사실을 모르는 승객들이 부산내 용원사거리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가 있었으나, 현재는 창원 용원사거리 정류장에 58-1번 타는 곳이라고 스티커가 붙어 있다.[22]


4.2. 논란 및 문제점[편집]



4.2.1. 2015년 하단~남포동 구간 철수 논란[편집]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 보기 · 닫기 ]
신설
124
168
185
187
1005
1011




폐지
130
135



연장
66
128-1
189
190

단축
2
40
46
58-1
63
148-1
200



변경
36
100
107
123
184
333
520



단순변경
88
115-1
155
189-1

형간 전환
1007 107
58-1 (좌석 → 입석)

번호 변경
5-1 → 5
128-1 → 128
129-1 → 129
통합
9 + 9-1 → 9
청록색 바탕은 개편이 단행되지 않은 노선



  • 2015년 제3차 시내버스 개편으로 더이상 남포동, 자갈치로 가지 않고 하단역 환승센터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단축됐다. 인가대수도 6대에서 5대로 감차됐으며, 심야버스마저 하단 회차로 단축됐다. 그리고 심야 1회 한정으로 명지국제신도시를 경유하게 됐다. 본래 입석버스로 형간전환될 예정이었으나 마지막 논의에서 좌석버스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이 났는데, 이것이 결과적으로 대실패를 한 셈이다.

  • 진해구 청안동 및 강서구 녹산동, 신호동, 명지동 일대에서 환승없이 남포동, 자갈치로 갈 수 있는 노선이 사실상 사라져버린 것이기 때문에 진해구 청안동, 강서구 신호동과 명지동 주민들로부터 엄청난 원성을 들어야 했다. 도시철도 중복 노선 조정이라고는 하나 환승이 번거로운 사람들은 이 노선을 이용해서 남포동을 편하게 가는데 하단으로 단축되면서 명지오션시티에서는 마을버스인 강서20번이랑 별반 다를게 없는 노선이 됐고 신호동이나 경제자유구역청 인근 지역도 마찬가지로 비록 국제신도시로 돌아가지만 배차간격이 훨씬 짧은 58-2번을 이용하는 게 훨씬 나은 상황이다. 청안동 및 공단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58-2번이랑 중복이 심하다. 거기에 노선이 단축됐는데도 감차까지 당하면서 30분에 육박하는 긴 배차간격조차 줄어들지 않았다.[23] 다만 58-2번은 명지국제신도시를 투어하므로 녹산산업중로, 신호주거단지, 명지오션시티에서는 비싸더라도 이 노선을 이용하면 이동소요시간이 절약되고 좋다.[24]

  • 대안도 없이 무턱대고 잘라서 문제이기도 하며[25] 이와는 별개로 명색이 좌석버스인데 명지오션시티의 모든 정류장을 정차하기 문제로 소요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고 청안동 주민들과 녹산공단 노동자들로부터 수많은 항의를 받아와 이 부분도 조정이 시급하다.[26] 예전에는 구덕운동장과 국제시장을 거쳐 남포동까지 가줬기에 청안동이나 용원동, 명지오션시티에서 전체적으로 수요가 절대 적은 편은 아니었는데 하단역 단축 이후에는 약 17만원이 감소하고 말았다. 때문에 남포동으로 노선 환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적잖게 있는 편. 차라리 배차간격이 1시간 가량으로 늘어나더라도 기존처럼 남포동까지 운행했다면 시간표에 맞춰서 버스를 이용하면 이용불편은 없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며 수요가 유지될 수도 있었다.[27]

  • 좌석버스임에도 하단역에서 끊기는 데다가 그렇다고 을숙도대교로 우회해서 낙동강하구둑의 정체를 피해가는것도 아니니, 현재는 청안동 주민들이 아니고서는 먼저 오지 않는 이상 이 노선을 이용할 이유가 크게 상실됐다.[28] 다만 명지국제신도시로 돌아가지 않는 점에서 신호주거단지, 명지오션시티 주민들에게는 먼저 오면 탈 수도 있는 와일드 카드 노선으로 인식되고 있긴 하지만 그마저도 배차간격이 길어 먼저 올 일이 별로 없으니 해당 노선 이용을 고려하지 않는 승객들이 여럿 보인다.[29]

  • 하물며 하단역~명지신도시(명지오션시티 입구)~르노코리아자동차(신호주거단지 인근)~경제자유구역청 한정으로 훨씬 빠르게 가는 2000번에게도 수요를 상당수 빼앗겨버린 상황이다. 물론 2000번은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2000번이 훨씬 시원하게 질러가주기에 선호하는 이용객들이 적지 않다.

  • 윤 모씨 답변에 따르면 명지.신호에 입석버스노선이 추가로 들어오면, 이 노선의 직선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30] 실제로 녹산공단과 진해구 청안동용원동 연선 주민들이 노선을 직선화시켜달라고 계속 건의하고 있으나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 2017년 4월 22일 버스노선 개편으로 명지국제신도시에 3번이 신설되고, 강서21번도 아예 명지신도시 셔틀노선으로 변경됐다. 하지만 58-1번의 노선을 변경한다는 소식은 없고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

  • 충무동까지 다녔을 시절에는 환승하기 귀찮다는 이유로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았으나 하단역까지 단축된 이후로는 명지오션시티에서는 마을버스 부산 버스 강서20이랑 다를게 없는 노선이라며 불평불만이 쏟아졌으며 현재는 해당 수요를 몽땅 강서20번에 빼앗기면서 파리만 날리고 있는 실정이다. 오히려 하단역 너머 다양한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한 낙동초등학교 버스 정류장까지 연계시켜주는 58-2번보다 훨씬 못하다. 배차간격이 벌어지더라도 괴정 / 당리 / 하단 간 최단거리 노선(구덕운동장 미경유, 서부경찰서~서대시장 직통.)으로 조정한 뒤, 최소한 서구청까지만이라도 연계시켜주자는 의견과[31], 을숙도대교 - 감천 왕복경유, 이후 송도 - 남포동 - 영선동 - 남항대교 편도 순환회차하여 1011번의 동부산 과수요를 분담시켜주는 1006번처럼 1011번의 서부산 과수요를 분담시켜주는 것과 동시에 해안순환도로를 이용하여 도시철도와의 중복을 피하면서 남포동으로 연장하자는 의견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4.2.2. 2023년 진해 용원·청안동 구간 철수 논란(해결)[편집]


  • 2023년 7월 29일 강서공영차고지 개장으로 인하여 58-1번이 진해 용원·청안동 구간을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창원시와 진해구는 58-1번 철수를 놓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용원·청안동 주민들도 58-1번이 사라지면 요금이 훨씬 비싸면서도 녹산·신호·명지지역을 경유하지 않고, 부산 시내버스·도시철도 환승할인도 받을 수 없는 동아여객 시외버스를 탈 수밖에 없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 창원시에서는 부산시에 지속적으로 노선 폐지를 철회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부산시가 이를 거부하고 있어 해결이 되지 못하고 급기야 창원시는 개편 2일 전인 7월 27일, 차량 2대를 긴급 투입하여 임시 시내버스인 361번을 신설해 7월 29일부터 운행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부산시내 구간 경유와 관련해 부산시와의 협의가 이루어졌는지 창원시의 독단적인 결정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361번의 배차간격이 80분에 달해 기존 58-1번 배차간격인 30분의 2배 이상인데다 부산 시내버스·도시철도 환승할인도 받을 수 없기에 완벽하게 대체하는 것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 본 개편으로 이제는 좌석버스 명분은 둘째 치고 존재해야 할 이유가 완전히 없어졌다. 2015년 11월 28일부터 노선이 남포동에서 하단역으로 단축되어 논란이 불거졌고, 그렇다고 을숙도대교 같은 자동차전용도로 조차도 건너지 않고 낙동강하굿둑을 건너는 까닭에 신호주거단지와 명지오션시티에서는 이제 값비싼 이 노선을 이용할 이유가 사라졌었다. 그나마 용원·청안동 덕분에 노선이 유지되고 있었지만 7월 29일 개편으로 용원·청안동 구간마저도 모조리 폐지해 버렸다. 게다가 신호주거단지, 명지오션시티의 경우에는 171번이 수요를 다 쓸어간 상황이고 강서20번도 하위호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기에 냉정하게 말하자면 이 노선은 더 이상 쓸모가 없어졌다. 차라리 이 노선을 폐선시키고 남은 차량을 모두 1004번으로 보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그 밖에도 인가대수가 2대 증차되었으니 낙동초등학교~남포동 구간을 원상복구 시키는 게 어떻냐는 의견도 심심찮게 나오는 중이다. 추가 개편을 단행하지 않고 끝까지 좌석버스로 유지할 경우, 그나마 남아있던 수요마저 잃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운송수입금이 최하위권에 안착할 것으로 추측된다.[32]
    • 하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노선개편 이후 일일 승객수가 912명으로 승객수 감소폭이 적었고 이 수치는 2021년도 때보다 더 많은 수치이다. 그러나 하단역에서 끊김으로 인한 이용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은 변함이 없다.

  • 그나마 이용객이 어느 정도 있던 심야 노선마저도 강서공영차고지에서 용원 정류장까지 오는 데에만 15분 이상이 소요되며 저속운행으로 인해 하단역에 익일 1시에 도착하여 더 이상 1001번 심야노선과 환승연계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저속운행을 하지 않거나 막차 시각을 15~20분 가량 단축시킬 필요가 있어 보인다.

  • 창원시 민원 답변에 의하면, 부산시에서 8월 중에 58-1번을 기존대로[33] 재운행할 것이라고 실무협의에서 밝혔다고 한다. 다만, 재운행 시점이 아직 불투명한 상태라 창원시에서는 부산시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며, 58-1번의 재운행이 지속적으로 불투명할 시 창원시는 현재 임시로 운행 중인 361번 노선을 추가하여 운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한다.[34] 이렇게 되면 보험용으로 짭공동배차 형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35]

  • 부산시 민원 답변에 의하면, 창원시에서 지속적으로 58-1번 재운행[36] 공문을 보낸 까닭에, 현재 58-1번의 노선 연장을 검토 중에 있다고 한다. 부산시 버스운영과 관계자는 늦어도 9월 초에는 청안동 구간에서 다시 재운행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 보겠다고 밝혔다.[37]

  • 창원시 신교통추진단 관계자의 말에 의하면, 부산시에서 58-1번 노선을 9월 중에 청안동 구간에 재투입할 것이라고 창원시에 통보했다고 한다.[38]

  • 2023년 9월 4일, 경상남도 측에서 58-1번의 진해 청안동 구간 재운행 시 노선 5대만 운행할 것을 부산시에 통보하였으며, 부산시는 인가대수 7대를 그대로 운행할 수 없다면 청안동 구간 연장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https://m.dcinside.com/board/station/68074

  • 2023년 9월 6일, 58-1번 재운행 관련 창원-부산 간 엇박자 문제와 관련해 창원시에서는 이미 재운행 결정이 났기 때문에, 그 부분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며 늦어도 추석 전에는 재운행이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https://cafe.naver.com/ca-fe/town-talks/iDY7jSOXR8G6STS23vT3Ug

  • 2023년 9월 12일, 창원시는 58-1번이 또다시 청안동 구간에서 철수하여 주민 불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58-1번 5대, 361번 2대 운행안을 부산시에 제안하였으나, 부산시는 58-1번 노선 7대 운행을 완고하게 주장하여 협상이 결렬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ation&no=68450

  • 2023년 10월 5일, 창원시는 58-1번을 어떻게 재운행할 것인지, 이 부분에 대한 이야기는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부산시의 행정 절차가 아직 남아있어, 절차 완료 때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다고 말을 덧붙였다. 부산시 노선분과위원회 개최 날짜와 노선 변경안 시행일 등을 분석했을 때 10월 말이나, 늦어도 11월 초에는 노선 변경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https://m.cafe.naver.com/ca-fe/town-talks/8-T50FdHRVWdVLaCigtGmQ?tc=shared_link

  • 2023년 10월 14일, 제3차 부산시 노선분과위원회 심의 자료에 의하면 58-1번 노선의 진해 청안동 구간 연장이 공식 확인되었다. 노선 조정 사유로는 녹산공단 근로자 및 진해 용원·청안동 주민들의 폭발적 민원 제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

  • 해당 논란에 대해 창원시의 홀대, 동아여객의 텃세 등 58-1번이 그동안 겪어온 사태를 아는 부산시민들이 청안동 회귀를 그리 달가워하지 않았으나, 그나마 창원시의 주장인 58-1번 5대, 361번 2대의 제안이 결렬되고 58-1번만 7대 운행하게 되어 낫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 58-1번이 11월 4일[39] 용원·청안동으로 재연장된 후에도 임시노선 361번은 11월 14일까지 운행하였다가 다음 날인 11월 15일에 폐선되었다.

  • 2023년 11월 4일, 58-1번이 진해 청안동 구간을 다시 경유하게 되면서 해당 논란은 종식되었다. #


4.3. 디젤차량 투입[편집]


  • 부산광역시는 신차 출고 시 천연가스버스 출고를 의무적으로 하고 있고, 2010년식 이전의 차량을 제외하면[40] 모든 차량이 천연가스버스로 운행중이다.

  • 하지만 2013년에 58-1번에 특별히 디젤버스 투입을 허용한 이유는 열악한 가스 충전 여건 때문이었다. 진해구 두동영업소 인근과 당시 종점이었던 남포동 인근에 가스 충전소가 전무하여 부산시에서 디젤버스 출고를 허용한 것이다. 부산의 신차 출고 정책이 천연가스버스 투입이지만 없는 충전소가 그리 쉽게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노후된 차량을 대책없이 내구연한을 연장해서 굴릴 수도 없고 멀쩡한 노선을 이상하게 변경하거나 공차거리가 늘어나면 또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5412번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았으니 다행이다.[41]

  • 진해구 덕산동에 가스충전소가 있지만 두동영업소에서 충전소까지 편도로만 약 30분이 걸린다. 본디 회차지였던 충무동 근처에는 영도구에 태종대CNG충전소가 있지만 최단거리인 절영로 쪽으로 해서 가더라도 덕산동CNG충전소와 마찬가지로 편도로만 약 20분이 넘게 걸린다. 이마저도 여름철 등 여행 성수기가 되면 교통체증으로 인해 40~50분이 넘을 것이다.

  • 참고로 58-2번은 대낮에 사하구청까지 운행하고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영신여객 차고지에 가서 충전했었다.[42] 디젤차에 대해 그런 거 없다는 입장인 대구광역시청과 비교되는 모습을 보여줬다.[43]

  • 2015년 11월 28일에 윤 모씨의 개편안으로 시행한 노선조정으로 하단역까지 단축되어서 신형 디젤버스를 출고한 것이 사실상 무의미해진 듯했으나 2016년 1월부로 형제노선인 58번에 2016년 11월부로 58-2번에까지 디젤버스가 신차로 투입됐다.[44]

  • 2022년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모델 단종과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 폐업에 따라 11m에 해당하는 도시형 디젤 버스 차량이 사실상 국내에서 단종되어 기존 차량이 대차될 시 차급을 12m로 올리거나, 반대로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처럼 9m로 낮추는 것이 불가피했으나 2023년 7월 29일 개장하는 강서공영차고지에 태영버스의 입주가 확정됨에 따라 가스충전 여건은 확실하게 개선되어 11m 가스차량을 출고할 것으로 보이지만 뉴 슈퍼 에어로 시티 고상 생산 중단 소식으로[45] 현대 유니버스를 도입하거나 시내일반으로 형간 전환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4.4. 두동차고지 시절 공차회송[편집]


  • 이 노선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 해인로즈빌아파트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지만 차고지는 청안동에서 좀 더 북서쪽으로 가면 나오는 용원 휴요양병원 건너편인 두동에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청안동에서 운행을 마친 후 두동차고지까지 공차회송했는데, 이 회송 구간을 일반 승객이 이용했을 경우 불법승차로 간주되어 지자체나 회사로부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었다.[46]
  • 안내방송에서 다음 정류장은 두동차고지라고 나왔었지만 정식 기점인 해인로즈빌아파트에서 모두 내려야 했었다. 구.차고지 쪽으로 가야 한다면 해인로즈빌아파트에서 내려서 305번, 315번, 3002번, 3006번을 타면 된다. 이들은 모두 창원시내버스라 환승이 안 되니 유의할 것.[47]
  • 이 외에도 동일 차고지 소속으로 용원사거리를 기점으로 운행했던 58-2번과 송정공원을 기점으로 운행했던 55번, 520번 등이 이런 공차회송을 실시했었다.[48] 또한 가덕도선창이 기종점이었던 58번도 두동차고지에서 가덕도선창까지 공차회송했으므로 버스가 지나간다 한들 절대 탈 수 없었다.


4.5.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58-1번 심야노선의 경우 일부 연도의 수치에 오류가 있어 생략했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898.57

2015년
1916.43
△ 17.86
2016년
1337.29
▽ 579.14
2017년
1518.43
△ 181.14
2018년
1341.85
▽ 176.58
2019년
1454.57
△ 112.72
2021년
862.71
▽ 591.86

4.6.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58-1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하단역환승센터
10077 · 10078

을숙도문화회관
10096




을숙도문화회관
10224
부산현대미술관
10247




부산현대미술관
10228
명지시장
12147




-
명지새동네
12038




명지새동네
12037
동리
12137




동리
12136
진동
12092




진동
12247
낙동강철새도래지
12085




낙동강철새도래지
12086
행복마을
12278




행복마을
12277
남명초등학교
12279




남명초등학교
12276
호산나교회.삼정그린코아
12255




호산나교회.엘크루4단지
12254
롯데캐슬아파트
12280




롯데캐슬아파트
12275
퀀텀3단지
12281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12274
퀀텀1.2단지
12282




퀀텀1.2단지
12273
신호대교
12391




신호대교
12390
르노자동차남문
12164




르노자동차남문
12165
월아파트
12421




월아파트
12420
신호농협
12419




신호농협
12418
신호초등학교사거리
12417




신호초등학교사거리
12416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의창수협
12415




의창수협
12414
부영2차아파트
12478




부영2차아파트
12477
신호하수처리장
12208




신호하수처리장
12207
녹산하수처리장
12270




녹산하수처리장
12068
녹산염색공단
12263




녹산염색공단
12262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12265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12264
갑을녹산병원
12267




갑을녹산병원
12266
삼성전기기숙사
번호




삼성전기기숙사
12268
해덕파워웨이
12252




해덕파워웨이
12069
동서열처리
12140




동서열처리
12047
리노공업
12081




리노공업
12046
DSR
12253




DSR
12043
풍영산업
12236




풍영산업
12078
경제자유구역청
12079




경제자유구역청
12056
경제자유구역청
12056




경제자유구역청
12079
풍영산업
12078




풍영산업
12236
부산프라스틱공업
12513




부산프라스틱공업
12077
송정다리
12189




송정다리
12039
(주)거보
12076




(주)거보
12075
해광테크
-




해광테크
-
부광산업
12364




부광산업
12363
용원사거리
12224




용원사거리
12072
용원초등학교
-




용원초등학교
-
반짓골 웅동2동행정복지센터
-




반짓골 웅동2동행정복지센터
-
용원복지회관
-




용원복지회관
513004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안청초등학교
511002




안청초등학교
511001
코아루아파트
511004




코아루아파트
511003
안골포초등학교
511006




안골포초등학교
511005
부영3차아파트
511101




부영2차아파트
511102
해인로즈빌아파트
630213




해인로즈빌아파트
630212
용원시외버스정류장
-




용원시외버스정류장
-
용원택지교차로
-




용원택지교차로
-
진해용원고등학교
-




진해용원고등학교
-
영도산업
12036




영도산업
12223
영남자동화기계
12222




영남자동화기계
12221
국제휠타
12578




국제휠타
12577
태웅스틸
12576




태웅스틸
12575
화물터미널
12574




화물터미널
12573
강진정비
12572




강진정비
12571
동아밸브
12570




동아밸브
12569
삼성전기후문
12568




삼성전기후문
12567
대한제강
12566




대한제강
12565
강서공영차고지
12561 · 12562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낙동남로
명지시장 ▼
낙동북로
공항로
명지새동네 ▼
▲ 부산현대미술관
르노삼성대로
행복마을 ▼
▲ 낙동강철새도래지
명지오션시티1로
남명초등학교 ▼
▲ 행복마을
명지오션시티11로

▲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명지오션시티2로
퀀텀1.2단지 ▼

명지오션시티10로
신호대교 ▼
▲ 퀀텀1.2단지
명지오션시티1로
르노자동차남문 ▼
▲ 신호대교
르노삼성대로
월아파트 ▼
▲ 르노자동차남문
신호산단2로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 신호초등학교사거리
신호산단5로
의창수협 ▼
▲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신호산단1로
신호하수처리장 ▼
▲ 부영2차아파트
르노삼성대로
녹산하수처리장 ▼
▲ 신호하수처리장
녹산산업대로
갑을녹산병원 ▼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녹산산단321로
해덕파워웨이 ▼
▲ 삼성전기기숙사
녹산산업중로
풍영산업 ▼
▲ DSR
가락대로
부산프라스틱공업 ▼
▲ 풍영산업
녹산산업중로
해광테크 ▼
▲ (주)거보
녹산산업북로
부광산업 ▼
▲ 해광테크
녹산산업대로
용원사거리 ▼
▲ 용원사거리
용원로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안골로
안청초등학교 ▼

안청남로
부영3차아파트 ▼
▲ 안골포초등학교
안청북로
해인로즈빌아파트 ▼
▲ 부영2차아파트
안청로
용원시외버스정류장 ▼
▲ 해인로즈빌아파트
진해대로

▲ 진해용원고등학교
만금로
영도산업 ▼

녹산산업중로
국제휠타 ▼
▲ 영남자동화기계
녹산산업북로
강서공영차고지 ▼
▲ 대한제강
녹산화전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58-1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하단역환승센터
10077 · 10078

을숙도문화회관
10096




을숙도문화회관
10224
부산현대미술관
10247




부산현대미술관
10228
명지시장
12147




-
명지새동네
12038




명지새동네
12037
명지초교.명지중학교
12474




명지초교.명지중학교
12473
명지국제신도시입구
12483




명지국제신도시입구
12484
금강펜테리움2차아파트.호반베르디움2차아파트
12482




금강펜테리움2차아파트
12481
금강펜테리움아파트
12458




에일린의뜰아파트
12457
호반베르디움아파트
12476




대방노블랜드아파트
12475
중흥1차.더시그니처동문
12500




중흥1차.더시그니처동문
12507
명지더웨스턴
12509




-
명지환승센터
12560




명지환승센터
12503
명원초등학교
12537




명원초등학교
12538
행복마을
12278




행복마을
12277
남명초등학교
12279




남명초등학교
12276
호산나교회.삼정그린코아
12255




호산나교회.엘크루4단지
12254
롯데캐슬아파트
12280




롯데캐슬아파트
12275
퀀텀3단지
12281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12274
퀀텀1.2단지
12282




퀀텀1.2단지
12273
신호대교
12391




신호대교
12390
르노자동차남문
12164




르노자동차남문
12165
월아파트
12421




월아파트
12420
신호농협
12419




신호농협
12418
신호초등학교사거리
12417




신호초등학교사거리
12416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의창수협
12415




의창수협
12414
부영2차아파트
12478




부영2차아파트
12477
신호하수처리장
12208




신호하수처리장
12207
녹산하수처리장
12270




녹산하수처리장
12068
녹산염색공단
12263




녹산염색공단
12262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12265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12264
갑을녹산병원
12267




갑을녹산병원
12266
삼성전기기숙사
번호




삼성전기기숙사
12268
해덕파워웨이
12252




해덕파워웨이
12069
동서열처리
12140




동서열처리
12047
리노공업
12081




리노공업
12046
DSR
12253




DSR
12043
풍영산업
12236




풍영산업
12078
경제자유구역청
12079




경제자유구역청
12056
경제자유구역청
12056




경제자유구역청
12079
풍영산업
12078




풍영산업
12236
부산프라스틱공업
12513




부산프라스틱공업
12077
송정다리
12189




송정다리
12039
(주)거보
12076




(주)거보
12075
해광테크
-




해광테크
-
부광산업
12364




부광산업
12363
용원사거리
12224




용원사거리
12072
용원초등학교
-




용원초등학교
-
반짓골 웅동2동행정복지센터
-




반짓골 웅동2동행정복지센터
-
용원복지회관
-




용원복지회관
513004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안청초등학교
511002




안청초등학교
511001
코아루아파트
511004




코아루아파트
511003
안골포초등학교
511006




안골포초등학교
511005
부영3차아파트
511101




부영2차아파트
511102
해인로즈빌아파트
630213




해인로즈빌아파트
630212
용원시외버스정류장
-




용원시외버스정류장
-
용원택지교차로
-




용원택지교차로
-
진해용원고등학교
-




진해용원고등학교
-
영도산업
12036




영도산업
12223
영남자동화기계
12222




영남자동화기계
12221
국제휠타
12578




국제휠타
12577
태웅스틸
12576




태웅스틸
12575
화물터미널
12574




화물터미널
12573
강진정비
12572




강진정비
12571
동아밸브
12570




동아밸브
12569
삼성전기후문
12568




삼성전기후문
12567
대한제강
12566




대한제강
12565
강서공영차고지
12561 · 12562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낙동남로
명지시장 ▼
낙동북로
공항로
명지새동네 ▼
▲ 부산현대미술관
르노삼성대로
명지초교.명지중학교 ▼
▲ 낙동강철새도래지
명지국제11로
금강펜테리움2차아파트.호반베르디움2차아파트 ▼
▲ 명지국제신도시입구
명지국제5로
중흥1차.더힐시그니처동문 ▼
▲ 대방노블랜드아파트
명지국제7로
명지환승센터 ▼
▲ 중흥1차.더힐시그니처동문
명지국제3로
행복마을 ▼
▲ 명원초등학교
명지오션시티1로
남명초등학교 ▼
▲ 행복마을
명지오션시티11로

▲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명지오션시티2로
퀀텀1.2단지 ▼

명지오션시티10로
신호대교 ▼
▲ 퀀텀1.2단지
명지오션시티1로
르노자동차남문 ▼
▲ 신호대교
르노삼성대로
월아파트 ▼
▲ 르노자동차남문
신호산단2로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 신호초등학교사거리
신호산단5로
의창수협 ▼
▲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신호산단1로
신호하수처리장 ▼
▲ 부영2차아파트
르노삼성대로
녹산하수처리장 ▼
▲ 신호하수처리장
녹산산업대로
갑을녹산병원 ▼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녹산산단321로
해덕파워웨이 ▼
▲ 삼성전기기숙사
녹산산업중로
풍영산업 ▼
▲ DSR
가락대로
부산프라스틱공업 ▼
▲ 풍영산업
녹산산업중로
해광테크 ▼
▲ (주)거보
녹산산업북로
부광산업 ▼
▲ 해광테크
녹산산업대로
용원사거리 ▼
▲ 용원사거리
용원로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안골로
안청초등학교 ▼

안청남로
부영3차아파트 ▼
▲ 안골포초등학교
안청북로
해인로즈빌아파트 ▼
▲ 부영2차아파트
안청로
용원시외버스정류장 ▼
▲ 해인로즈빌아파트
진해대로

▲ 진해용원고등학교
만금로
영도산업 ▼

녹산산업중로
국제휠타 ▼
▲ 영남자동화기계
녹산산업북로
강서공영차고지 ▼
▲ 대한제강
녹산화전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용원 경유 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급행좌석
3002
3006
지선
305
315
마을
352[b]
353
부산좌석
58-1[b]
1009[a]
부산마을
강서1[a]
강서9-1[ab]
강서17[ab]
[a]청안동 미경유 노선
[b]신항 미경유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명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급행
1005
1009
1011[a]
2000[a]
좌석
58-1
일반
3
55-1
55-2
58
58-2
61
122
124
128-1
520
171
161
마을
강서 9-2
강서 14
강서 17
강서 20
강서 21
김해
914
음영표기: 국제신도시 경유 노선
[a]르노삼성대로로 운행하는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하단역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급행
1005
2000
좌석
58-1
221
일반
3
55
58
58-2
68[a]
168
520
강서구
마을

3
7
9
9-1
9-2
12
13
14
15
16
17
20
21
김해시
220
음영표기 : 하단역이 시•종착이 아닌 노선.
[a] 강서구 미경유 노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11:30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58-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단독] A B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A] A B 정류장번호 630317 / 630318. 용원시외버스센터 부근에 위치한 정류장이다.[1] 당시 노선 체계대로라면 58-1번이 아니라 358번이 됐어야 했다.[2] 동아여객의 시외버스 노선은 하단역을 거친 뒤 사상에 있는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지만 거기까지 가는 승객은 매우 적고 대부분의 승객은 하단역에서 하차하기 때문에 하단역 정차를 하지 못하면 회사가 망할수도 있어 태영버스와 합의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태영버스는 고작 노선 한 개 단축되면 그만이지만 동아여객은 자사 이용객의 대부분이 사라지는거나 마찬가지라 사실상 회사의 운명이 걸리니 어차피 결과는 예정되있던 셈.[3] 이후 520번은 을숙도대교를 경유하는 것으로 노선이 조정되면서 명지오션시티로 들어가지 않게 됐다가 자동차전용도로 입석 금지 조항으로 인하여 낙동강하굿둑을 경유하게 되면서 명지오션시티를 4년여만에 재경유하게 됐다.[4] 웅동2동에 위치했던 용원사거리 정류장(12-055, 12-224)은 24년 만에 폐쇄되고 기존 55번, 520번이 정차하고 있는 용원사거리 정류장(12-072, 12-073)에 같이 정차하게 되었다.[5] 기존 용원사거리 버스 정류장(12-055, 12-224)에서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서쪽으로 90m 정도 걸어가야 했다.[6] 부산내 용원사거리 정류장은 미정차[7] 해인로즈빌 정류장 다음에 안골포초등학교 정류장이었고, 건너편 부영3차아파트 (511101)에는 정차했었다.[8] 헌데 이것도 55번보단 느린거다.[9] 해당 노선은 00:40경 하단역 환승센터에 도착하고 1001번 막차가 00:45경 을숙도초등학교에서 회차하여 되돌아오고 다시 낙동초등학교 정류장까지 돌아오면 00:48경 정도라 환승연계가 가능하다. 다만 기상상황이나 명지에서 탑승하는 승객 수요에 따라 00:40경 맞춰서 도착하지 않고 3~5분 가량 늦게 도착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낙동초등학교 정류장까지 전속력으로 달려야 한다. 두 정류장의 거리는 약 570m 정도로 성인 남성의 빠른 걸음으로 5~6분 정도 소요된다. 특히 신호동이나 명지예서 탑승한 대리운전 기사들이 하단역 정류장에 하차하자마자 1001번으로 환승하려고 100m 달리기 선수마냥 냅다 달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10] 간혹 심야1000번 서면행 막차가 연착이 되어서 하단에 늦게 도착할때가 있는데 전력질주하여 하신중앙로 연선에 위치한 하단역 정류장까지 달려가면 아슬아슬하게 환승이 가능하긴 하다. 다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다[11] 심야 노선은 명지국제신도시 굴곡 구간이 있는데 교통 체증이 없어도 편도 운행시간 50분은 상당히 빡빡한 편이다.[12] 청안동에서 용원사거리까지는 10분 정도 걸리니 정확히는 1시간 10분이다. 물론 심야 시간대에는 7분만에 도착하며 58-2번 막차와 거의 동시에 용원사거리에 도착한다.[13] 용재로 일대에는 강서1번이 운행하긴 하나, 배차간격이 길고 부산시내 방향이 아닌 편도 순환 회차하여 가덕도로 들어가는 농어촌 노선인 만큼 용원 주민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해 용원로까지 걸어나가 버스를 타야 했다.[14] 기존에는 용원초등학교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약 300m 가량 이동해야 했으나 이 노선을 이용하면 진해대로를 거쳐 학교 바로 앞쪽으로 이어준다. 다만, 최근 요금 인상으로 창원 버스보다 비싸기에 통학생의 수요가 많이 있을지는 의문이다.[15] 청안동 ↔ 강서공영차고지 구간의 경우 경제자유구역청 굴곡 구간이 없이 직선화되어 있어 강서차고지에서 161번 등의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면 하단에 더욱 빠르게 도착할 수 있다.[16] 반면에 신항 구간 1009번은 창원시 정류장에도 노선번호가 적혀있다. 심지어 창원시 스타일과 부산시 스타일로 2개가 적혀있다. 과거에 신항을 경유했던 58번도 마찬가지였다.[17] 창원 - 김해 광역환승할인제 때문인지[18] 단독구간을 경유하는 노선버스 정류장처럼 장대형 정류장 안내판이며 좌석겸용(급행겸용)이 아닌 일반 시내버스용이다. 준공영제 도입 후 일반좌석 노선은 급행과 달리 표지판에 일반버스처럼 검은색으로 표기한다.[19] 창원시 구역이지만 부산 차적 노선만 다니는 구간이라 창원시에서 설치하지 않고 부산시가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부 차량은 내부 LED 전광판이 꺼져 있다.[20] 사실 이것은 준공영제 이후 구 201번, 307번이 좌석이었던 시절에도 마찬가지로 급행이 아닌 일반좌석 노선은 일반버스로 표기되었었다.[21] 네이버 지도카카오맵에서는 이러한 사실이 반영되지 않았는지 하단행은 부산 차적 노선들이 정차하는 정류장에 정차한다고 안내되어있지만 실제로는 기존 용원사거리 정류장에 정차한다.[22] 창원시 내 용원사거리 정류장에 58-1번이라는 노선안내도가 부착되어 있지 않고 있다.[23] 다만 배차간격의 경우 창원시와의 협의때문에 배차를 멋대로 줄이면 창원시와 동아여객이 반발을 할 것이다.[24] 그마저도 강서 20번, 9-2번이 쓸어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심지어 2023년 7월 29일에는 171번까지 등판한 상황이라 미래가 굉장히 어둡다.[25] 환승해서 가거나 특정 노선을 이용한 뒤 걸어가야 한다. 1011번을 타고 영선2동주민센터에서 내린 뒤 영선아랫교차로나 영선윗교차로까지 걸어가서 남포동으로 가는 버스 아무거나 잡아타는 방법, 그리고 1011번 이용 후 해동병원에서 내려서 남포동까지 걸어가는 방법과 58-2번를 타고 하단역에서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26] 입석노선인 58-2번이랑 운행 소요시간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다. 1009번처럼 주요 정류장만 정차하도록 조치하자는 의견이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 1009번의 경우에는 신호주거단지, 명지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로 돌아가지만 그나마 급행버스 특성상 정류장 수가 적어서 불만이 크지는 않다.[27] 용원동의 경우 창원시 시내버스들의 배차간격이 길어서 해당 지역주민들은 시간표를 숙지하여 버스를 이용하는 편이다. 명지오션시티의 경우에도 BIMS와 더불어 시간표를 정류장마다 제공한다면 이용불편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28] 용원의 경우 용원사거리까지 걸어가기에 너무 먼 청안동을 제외하고 나머지 지역에서 하단역으로 갈 때는 용원사거리로 걸어가서 강서9-1번을 타는 것이 좀 더 빠르다. 다만 강서9-1번도 배차간격이 긴데다가 우방아이유쉘아파트 경유로 소요시간 증가+운행횟수 감회로 인해 소요시간 차이가 거의 없어졌기 때문에 용원사거리에서 하단으로 갈 때 강서9-1보다 58-1번이 먼저 오면 굳이 보내지 말고 타는 것이 낫다.[29] 그도 그럴것이 오션시티에서는 이 노선을 이용해봤자 하단역에서 노선이 끊겨버려 낙동대로 연선에서 타 노선으로 환승하려는 승객들에겐 별반 메리트가 전혀 없고 하단역 주변이 목적지거나 하단역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려는 승객들은 대부분 58-1번과 같이 국제신도시로 돌아가지 않고 배차간격은 훨씬 짧은 171번을 타고간다. 물론 요금은 지하철로 환승하면 거의 비슷해지지만, 그냥 둘 중 먼저 오는 거 아무거나 탄다 해도 171번이 배차가 훨씬 짧기 때문에 먼저 오는 경우도 별로 없으니...[30] 신호주거단지 미경유, 명지오션시티 미경유 등등. 2017년 4월에 해당 노선으로 부산 버스 3이 추가로 들어왔지만, 이 노선의 직선화는 아직도 실현되지 않았다.[31] 남포동 혹은 서구청에서 괴정/당리/하단으로 가는 노선들 모두 결함들이 한 가지씩 있다. 11번은 보수대로로 돌아가기때문에 최장시간 노선이며, 103번은 구덕운동장으로 돌아가고 113번은 대티고개로 올라가고, 123번은 대학병원이라는 굴곡 구간이 존재하는데다 남포동을 가지 못한다. 126번 또한 103번과 마찬가지로 구덕운동장으로 돌아가는데다 구덕로~망양로 순이 굴곡 구간까지 존재한다. 근처에 원도심과 명지, 녹산공단을 바로 이어주는 1011번이 있기는 하나 동부산과 원도심, 서부산을 빠르게 연결하기 위한 노선이라 남포동을 경유하지 않고 영도를 거쳐 남항대교와 부산항대교를 타는 노선이라 영도까지 가서 갈아타야한다. 이마저도 경제자유구역청까지가 한계라 용원으로 가려면 다른 노선으로 환승해야한다.[32] 58-1번 연선 주민들(특히 용원 지역)은 지하철과 중복이 돼서 문제라면, 도시철도 음영 지역인 감천, 송도를 경유해도 좋으니 남포동행 좌석버스를 존치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2015년 하단역 단축 후 강서공영차고지 조성이 끝난 후에도 들어주지 않고 있다.[33] 진해 청안동-부산 하단역[34] ##[35] 다만 창원과 부산간 오랜 갈등으로 두지역의 환승연계는 없다. 경전선 광역철도와 부울경 메가시티 이야기가 나온 뒤 관계가 호전되었지만 경전선 터널붕괴와 지속적인 전동열차 예산 갈등으로 잠정중단 상태이며, 메가시티역시 울산시의 빨대효과 우려로 주춤한 상태이다.[36] 진해 용원·청안동 구간[37] 이 내용은 서술자가 직접 부산시 버스운영과에 전화해 물어보고 얻어낸 답변 내용이다.[38] 이 내용 역시 서술자가 창원시 신교통추진단에 직접 전화해 물어보고 얻어낸 답변 내용이다.[39] #[40] 타 대도시에 비하면 늦은 편이었는데, 부산은 2010년이 되어서야 모든 업체가 천연가스버스를 원활하게 운행할만한 여건이 갖추어졌기 때문이다.[41] 만약 강경 대책으로 5412번 꼴이 났더라도, 58-2번이 있기에 큰 타격은 없었을 것이다. 아마 58-2번빗자루질 노선이 됐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디젤 버스 출고를 허가하면서까지 현상 유지를 택한 건 나름 좌석버스의 필요성도 느낀 것 같은데 나쁜 선택이라고 보기는 힘들다.[42] 520번이랑 태영버스 2000번도 이곳에서 충전했었다.[43] 이유는 최장거리 노선인 600번 때문. 구지면 내리에서 논공읍 하리CNG충전소까지 공차거리 왕복 30km인데 디젤차 투입 금지로 인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며, 범일운수의 노선들처럼 운행 중간에 충전하는 것도 안 된다. 이로 인해 내리에서 하리까지 충전하러 간 후, 달성1차산단 입구에서 운행을 재개하기 때문에 현풍 이남에서 결행되는 일이 잦다고 한다. 결국 유천교 이북 구간이 날아가 버렸고, 옥포 이남 주민들의 항의로 대명10동까지 연장됐지만 다시 충전여건 때문에 악순환을 겪고 있다. 게다가 시청 환경과에서는 구지/유가에 충전소를 만들 계획이 없다고 한다. 이런 대구시의 의견 때문에 마을버스 사업에도 많이 인색하다.[44] 장림 도시가스 CNG 충전소가 없어지면서 대도운수 충전소와 영신여객 충전소를 사용하게 됐으나 워낙에 사용하는 차량들이 많다 보니 두 충전소 모두 충전 스케줄과 용량 초과로 디젤버스를 뽑을 수 밖에 없다.[45] 당연하게도 이는 시내버스의 대차시 저상버스 출고관련 법안 개정으로 인한 여파이다.[46] 이와 비슷한 경우로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가 있다.[47] 2019년 11월 1일 자로 김해~창원 광역환승할인이 되지만 221번770번간 장유에서는 환승할인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것이 오히려 동아여객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했다.[48] 55번, 520번창원시의 허가를 받지 않아서 송정공원 쪽을 정식 기점으로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