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부

덤프버전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행정구역 변천사

[ 펼치기 · 접기 ]
원삼국시대
신라
통일신라
가락국
駕洛國

금관국
종발성
從拔城

대증현
大甑縣

양주 동래군
동평현
東平縣

독로국
瀆盧國
거칠산국
居漆山國
거칠산군
居漆山國

양주
동래군
東萊縣

장산국
萇山國
갑량화곡현
甲火良谷縣

양주 동래군
기장현
機張縣

내산국
萊山國
고려
조선
영동도 양주
동평현
東平縣

경상도 양주
동평현
東平縣

경상도 동래현
동평현
東平縣

경상도 양주
동평현
東平縣

영동도 울주
동래현
東萊縣

경상도 울주
동래현
東萊縣

경상도
동래현
東萊縣

영동도 울주
기장현
機張縣

경상도 양주
기장현
機張縣

경상도 동래현
기장현
機張縣

조선
경상도 동래현
동평현
東平縣

경상도
동래도호부
東萊都護府

경상도
동래현
東萊縣

경상도
동래도호부
東萊都護府

경상도
동래현
東萊縣

경상도 동래현
기장현
機張縣

조선
대한제국
경상도
동래도호부
東萊都護府

동래부
동래군
東萊郡

경상남도
동래군
東萊郡

경상남도
동래부
東萊府

경상도
기장현
機張縣

동래부
기장군
機張郡

경상남도
기장군
機張郡

일제강점기
미군정
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부
釜山府

경상남도
부산시
釜山市


경상남도
동래군
釜山府

경상남도
기장군
機張郡

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시
釜山市

부산시
釜山市

부산직할시
釜山直轄市

부산광역시
釜山廣域市

경상남도
양산군
梁山郡





[[일본 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틀:국기|
]][[틀:국기|
]]
경상남도


파일:부산부 마크(?~?).png
부산부
釜山府
Fuzan City



파일:attachment/부산광역시/역사/busan1945.jpg

1945년 광복 당시 부산부의 영역
부청 소재지
중앙통7정목
(中央通7丁目, 現 중구 중앙동7가 20)
상위 행정구역
경상남도
하위 행정구역
31정
면적
241.12km²(1942년)
인구
329,215명(1944년)
인구밀도
1,365.36/km²(1944년)
장관직
부산부윤
전신
동래부
설치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
폐지
1949년 8월 14일
후신
부산시


파일:부산부청사.jpg

부산부청
원래 부산부청은 동광동에 위치했으나 1936년에 옮겨왔다.
해방 이후에도 해당 건물은 1998년까지 부산시청으로 쓰였다.[1]

파일:일제강점기 초량동.jpg}}}
현재의 초량동 일대
파일:부관연락선 입항.jpg}}}
부산과 시모노세키를 잇던 부관연락선
부산은 조선과 내지를 연결해주는 관문이었다.

1. 개요
2. 역사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제강점기가 시작된 뒤인 1910년 10월 1일부터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인 1949년 8월 15일가 폐지되고 로 전환될 때까지 만 39년 동안 존속한 경상남도의 행정구역으로, 현재 부산광역시의 전신이다. 일본어로는 후잔후(ふざんふ)라고 했다.

본래 이 지방은 경상남도에 속한 동래부(東萊府) 지역이었으나, 1910년 한일강제병합 이후인 10월 1일 부로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가 시행되며 동래부가 부산부로 개칭되어 일시적으로 동래라는 지명이 사라졌다가, 1914년 부군면 통폐합을 하며 현재 부산의 원도심 지역인 당시 개항장 일대만 부산부로 남고 나머지 지역은 동래군으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두 차례의 대확장 이후에는 대략 현재 부산광역시의 금정구, 북구, 강서구, 기장군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2. 역사[편집]


대한제국 시기인 1906년 동래부로 승격하였으나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가 공포되며 다시 부산부로 개칭하게 되었다.

1914년 4월 1일에는 개항지 지역만을 남기고 나머지 지역은 동래군으로 이관시켜 면적이 대폭 축소되었다.

개항 이후 일본과 가까운 도시의 특성상 많은 일본인들이 이주했다.[2] 다른 도시와 달리 부산에는 왜관이 이미 조선시대부터 존재했기 때문에 정착 기반과 인프라가 있었고[3] 이 위치에 일본인 구역이 형성되었고 일본에서 조선으로 들어오는 관문으로서 발전하였다. 대체로 오늘날의 중구(부산)은 일본인 구역, 동구(부산) 등은 조선인 구역이었다

산업이 형성되어 타 지방의 조선인들도 유입되었고 화교 인구도 유입되었다.[4] 결국 경상도의 평범한 고을이었던 부산은 구한말~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이어 평양부와 제2의 도시 지위를 엎치락뒤치락하는 조선 3대 도시로 성장하였다.[5] 부산부가 전통적인 경상도의 중심지였던 상주, 경주, 진주 등 보다도 더 성장하게 되면서 1925년에는 진주에 있던 경상남도청이 부민정으로 옮겨왔다.

1936년 4월 1일에는 1차 시역확장을 하게되어 서면 전체와 사하면 일부를 편입했다.

1942년 10월 1일에는 2차 시역확장을 하여 동래읍, 사하면, 남면 전체와 북면 일부를 편입되었으며 동래 출장소, 사하 출장소, 수영 출장소가 설치되었다.


3. 둘러보기[편집]


'''일제강점기
{{{#fff {{{+1
행정구역 '''

[ 펼치기 · 접기 ]
*1914년 기준으로 작성된 것임.
<colbgcolor#2e2e2e>경기도
경성부 인천부
고양군 부천군 시흥군 수원군 진위군 안성군 용인군 이천군 김포군 강화군 파주군 개성군 포천군 연천군 광주군 양평군 양주군 가평군 여주군 장단군
강원도
이천군 간성군 금화군 철원군 울진군 춘천군 홍천군 횡성군 원주군 평창군 영월군 정선군 삼척군 강릉군 양양군 통천군 회양군 평강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황해도
연백군 금천군 신계군 해주군 평산군 곡산군 옹진군 장연군 송화군 재령군 서흥군 봉산군 수안군 신천군 안악군 황주군 은률군
충청북도
영동군 옥천군 보은군 청주군 괴산군 제천군 단양군 음성군 진천군 충주군
충청남도
공주군 연기군 대전군 논산군 부여군 서천군 보령군 홍성군 청양군 서산군 당진군 예산군 아산군 천안군
전라북도
군산부
옥구군 익산군 전주군 김제군 고창군 정읍군 금산군 진안군 남원군 부안군 임실군 순창군 무주군 장수군
전라남도
목포부
무안군 나주군 화순군 곡성군 담양군 여수군 제주군 함평군 영광군 광주군 광양군 고흥군 보성군 강진군 해남군 장선군 구례군 장흥군 완도군 진도군 순천군 영암군
경상북도
대구부
달성군 경산군 영천군 경주군 영일군 영덕군 영양군 청송군 안동군 의성군 군위군 칠곡군 김천군 상주군 예천군 영주군 봉화군 문경군 성주군 고령군 청도군 선산군 울도군
경상남도
부산부 마산부
울산군 동래군 창녕군 사천군 하동군 거창군 고성군 통영군 함양군 합천군 의령군 함안군 산청군 창원군 진주군 김해군 밀양군 양산군 남해군
평안남도
평양부 진남포부
대동군 용강군 중화군 강동군 성천군 순천군 평원군 강서군 안주군 개천군 덕천군 영원군 맹산군 양덕군
평안북도
신의주부
박천군 정주군 선천군 의주군 영변군 희천군 운산군 태천군 구성군 철산군 용천군 삭주군 창성군 벽동군 초산군 위원군 강계군 자성군 후창군
함경남도
원산부
덕원군 함흥군 고원군 홍원군 북청군 신흥군 풍산군 안변군 문천군 문천군 영흥군 정평군 이원군 단천군 갑산군 삼수군 장진군
함경북도
청진부
부령군 경흥군 명천군 회령군 종성군 경성군 성진군 길주군 경원군 온성군 무산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3:51:43에 나무위키 부산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파일:구 부산시청사.jpg[2] 실제로 일제에 의해 계획도시로 건설된 나진부를 제외하면 일본인 비율이 가장 높았다.[3] 대표적으로 용두산 신사가 있다.[4]부산역 맞은편이 화교 밀집지역이었다. 꾸준히 귀화해 현재는 많이 줄었다.[5] ## 광복 직전까지 부산과 평양 두 도시는 대체로 인구가 비슷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