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외국어대학교

최근 편집일시 :





부산외국어대학교
釜山外國語大學校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BUF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BUFS_logo.jpg
파일:external/www.aistc.com/BUFS_Kor-EngHoriz_CMYK1432188573.jpg
교훈
신의, 진실, 창의
상징
슬로건
외성의 울림이 세상을 덮을때
세상의 중심에 그대가 있다.

-Global B.U.F.S
교색
BUFS Gold
BUFS Charcoal Grey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분류
사립대학
개교일자
1981년 12월 26일
부산외국어대학[1]
재단
학교법인 성지학원
총장
공석[2]
소재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485-65 (남산동)
면적(㎡)
338,422
[[대학기본역량진단|대학기본역량진단]]
자율개선대학 (2018)




재학생 수
12,352명 (2018)
교직원 수
939명 (2015.4.1)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png
공식 블로그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png

외대속의 세계, 세계속의 외대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BUFS)
대학 홈페이지
1. 개요
2. 재단
3. 역사
4. 학사제도 및 특성화 프로그램
5. 개설 학과
5.1. 학부과정
5.2. 대학원과정
6. 외국어능력시험 주관기관
7. 동아리
7.1. 학과 동아리
7.2. 중앙 동아리
8. 대학 인근
9. 교통
9.1. 버스
9.2. 지하철
9.3. 부산외국어대학교 셔틀버스
10.1. 우암동 캠퍼스
10.2. 남산동 캠퍼스
11. 풍경
11.1. 정문등굣길
12. 주요 시설
13. 환경
13.2. 호랑이 연못
13.3. 금정산 사방댐
14. 출신 인물
15. 이야깃거리
15.1. 2014년 테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 방문
15.2. 축구부 BUFA
17. 초교파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FS.jpg
▲ 부산외국어대학교 전경

실천적 도덕성, 창의적 탐구성, 국제적 전문성을 겸비한 국제전문인의 양성

성지학원에서 운영 중인 외국어 특성화 사립대학으로 1981년 정태성(鄭泰星)이 운영하는 학교법인 성지학원에서 부산외국어대학으로 설립하여 초대학장에 박화술(朴華述)이 취임하였다. 교훈은 신의·진실·창의이다.

개교 당시 학과는 10개였으며, 2014년 기준 5개 대학원(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국제통상경영대학원, 통역번역대학원, TESOL대학원), 5개 단과대학(유럽미주대학, 아시아대학, 인문사회대학, 상경대학, 이공대학), 2개 학부(글로벌자율전공학부, 교양교직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부속기관으로 학술정보통신원, 교양기초교육원, 외성생활관, 체육부, 언론사, 국제지역문화연구센터 등이 있고, 특성화교육기관으로 특성화교육원, 교육사업단, 교육연수원 등이 있다. 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인도, 베트남, 태국 등 42개국 307개 대학과 교류협정을 맺고 있다.

2014년 대학 특성화 사업(CK-1)에 선정된 뒤, 잘 가르치는 대학 ACE사업, 대학 역량 강화 CORE사업, 청해진 대학 사업, IPP사업, 대학 창조 일자리 센터 등 각종 국고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글로벌 창의 인재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와 함께 전국에서 유이하다시피 한 외국어대학교이다.[3]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각과 능력을 겸비하고 우리나라와 국제사회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실천적 도덕성·창의적 탐구성·국제적 전문성을 겸비한 국제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비약적인 성장과 더불어 국내 유수의 특성화대학으로서 또한 '외대'라는 이름값 때문에 주로 타 지역 학생들이 많이 입학한다. 그리고 소수 언어학과의 경우 오직 한국외대와 부산외대에만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그 쪽에 뜻이 있는 학생들이 진학하는 경우도 꽤 있다.

부산외대는 엄연한 특성화대학인 만큼 언어계통과들이 주를 이루지만, 공대IT대와 체대체육학과가 존재한다.
파일:aPoRGV1.jpg
2+2(국내에서 2년, 해외에서 2년)제도[4], 3+1(국내에서 3년, 해외에서 1년)제도, 한 학기 교류 제도 등으로 자매학교와 활발하게 교류 중이다. 학생이 교환학생에 뜻이 있고 발 빠르게 정보를 수집한다면 해외에서 학교를 다닐 수 있다. 외국으로 나가는 학생이 많은만큼 외국에서 들어오는 학생도 많기 때문에, 교내에 외국인이 많다. 그 외에 GLE(Globalized and Localized Experts)나 ILE(International Language Experts)와 같은 전문가 양성과정도 있다.

초대 총장이 개신교 정신으로 학교를 세운거지, 개신교 재단은 분명 아니라는 풍문도 있지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과 깊은 연관이 있다. 다만 재단이 종교성을 띄지 않으며 어떤 교파, 교단에도 소속되어있지 않은 초교파 학교이다. 채플도 필참이다.

부산정보대(구 성지공업전문학교, 현 부산과기대)도 같은 재단이었으나 1984년에 계열분리되어 지금은 별개의 재단이다. 과마다 성지고 출신이 제법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같은 재단에 성지중도 있었으나, 2010년에 폐교되었다.

설립초기 학교 이름은‘PUFS’(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였는데, 정해린 총장이 취임하면서 개혁의 의미로 학교 영문명을 ‘BUFS’(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로 변경했다. 외국어와 관련된 대학인 만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지키는 모습이라고 봐도 될듯.

학교 자체는 매년 우수한 인재들이 다양한 곳으로 취업하고 있다. 소수이지만 한국외국어대학교에 교수로 임용되는 경우도 있다.[5] 특수 외국어 학과들의 경우 한국외대 및 부산외대에 밖에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 [6] 또한 전문적인 외국어능력을 공부하고자 하는 명확한 목적의식을 가진 학생들이 많은 편으로, 학교 자체의 평과는 무관하게 스스로의 전공과 공부하는 언어에 대한 상당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영어영문 일어일문과 같은 xx문학위주의 학문이 아닌 그 언어 자체만을 전문적으로 공부하기에 실용적인 면에서는 타 대학의 어문계열에 비해 외국어대학교만의 메리트 자체는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7]


▲ 부산외국어대학교 홍보동영상
KNN 지역대학을 가다
[전국의대학교]_#010_부산외국어대학교

같은 성지학원 산하의 고등학교성지고등학교에서 부산외대로 진학하는 학생에게는 장학금을 지원해 준다.

부산외대도 한국외대와 마찬가지로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수외국어교육진흥사업에 선정되어 4년간 40억원을 후원받아 8개의 특수외국어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특수외국어 저변 확대와 교육 플랫폼 구축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나가고 있다.#

2. 재단[편집]


http://infor.sahak.or.kr/portal_main.asp
파일:wbjBTjZ.jpg
재단 재정은 좋지 않다. 자산 140억에 연수입이 2천5백만원이라니..

2015년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25.3%로써 많이 낮은편이다.(전국 평균 56.9%)


2014년 사립대학 등록금 의존율 현황
운용수입중 등록금 비율이 58.7%로 전국평균 63.2%보다 낮다. 나름 기부금과 국고보조금을 잘얻어내고 있다는 이야기다.

3. 역사[편집]


파일:external/news20.busan.com/20130723000023_0.jpg
1959년 재단법인 성창학원[8]이 설립하여 1981년에 현재의 성지학원으로 법인명을 바꾸면서 부산외국어대학교를 설립. 그것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1981년 12월 26일에 정태성(鄭泰星)이 운영하는 성지학원에서 부산외국어대학을 설립하여 초대 학장에 박화술(朴華述)이 취임하였다. 1982년 3월 12일에 영어과, 불어과, 독일어과, 일본어과, 중국어과, 태국어과,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회계학과 등 10개 학과를 설치하여 개교하였다. 같은 해 10월에 스페인어과, 아랍어과, 국어국문학과, 법학과, 전산학과 등 5개 학과를 신설하였고, 1983년 9월에 인도어과, 외교학과 그리고 야간 영어과와 독일어과를 개설하였다. 1984년 9월에 본관을 준공하였고, 1985년 2월에 무역 경영 연구소를 설치하였으며, 그해 9월에 학생 회관을 열었다. 1988년 10월에 노어과, 경제학과, 수학과, 통계학과 등 4개 학과를 신설하고 야간 전산학과를 개설하였다. 같은 해 11월에 대학원을 신설하여 영어 영문학과와 법학과 석사 과정을 개설하였고, 1989년 10월에는 이태리어과와 사회 체육학과를 신설하였으며 아울러 교육 대학원을 설치하였다.

1991년 10월에 5개 대학, 27개 학과 규모의 종합 대학으로 승격하였다. 1994년 5월에는 지역 대학 최초 국제 관계 종합 학술지인 계간지 『부산 국제 포럼』을 창간하였고, 같은 해 9월에 중앙아시아학과, 사학과, 철학과, 전자 공학과를 신설하였으며 야간 강좌 경영학과를 개설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10월에는 국제 경영, 국제 무역, 경영 정보 전공 석사 학위 과정의 국제 경영 대학원을 설치하였다. 1997년 12월에 총무처로부터 공무원 국외 훈련을 위한 어학 검정 기관으로 선정되었다. 2006년 3월부터 삼성전기, 한진중공업, 현대중공업 등과 산학 협력을 체결하였고, 2010년 3월에 글로벌 자율 전공학부를 개설하였다.

2013년까지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감만동에 위치하였던 우암동 캠퍼스에 있었지만 2014년 3월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위치한 남산동 캠퍼스[9][10] 로 이전했다. 입학식때 총장이 남산동 캠퍼스 짓는데 천오백억이 들었다 카더라..


4. 학사제도 및 특성화 프로그램[편집]


대부분이 학부제로 1년 혹은 1학기 동안에 전공에 관한 이해를 높인 뒤 2학년 혹은 2학기에 본격적인 전공 공부에 들어가게 된다.

필수과목으로 기본교양(인문,국제화,일반)중 2과목, 3학년때 심화교양 2과목을 이수하며, 전공과정에선 전공필수와 더불어 2012년부터 '전공커뮤니티'라는 전공과 연계한 다향한 활동을 체험하는 과목을 개설하여 필수로 이수하게 하고 있다.(편입생 제외) 그리고 학교 설립 이념이 개신교 정신인지라 채플도 2과목 이수해야 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개신교 재단이 아니지만 학교가 개신교 미션스쿨이다.[11] 외부인사비용세를 초청해 짧은 공연 관람 후 간증을 듣고 담당목사의 설교를 듣는다. 과거 채플은 1학점에다가 내용도 각 채플 마지막 순간에 기도를 드리는 거 외에는 종교적 내용이 거의 없고 삶에 도움이 되는 이야기 위주로 했는데, 지금은 종교적 색채가 강하고, 보통 개신교인조차 이해를 하지 못할 강성 성향의 설교와 자기주장을 한다. 참고로 부산외대는 초교파 학교라서 교목 초빙도 불규칙적이다. 결국 채플이 복불복이라는 이야기.

재수강은 C+부터 가능. 2학년 이상 학생이 1학년 강의를 재수강할 경우, 1학년과 2~4학년 사이의 학생들의 그룹으로 나눠 각 그룹의 인원이 10명 미만의 경우에는 절대평가, 그 이상이면 상대평가로 나뉘게 된다.

졸업은 공통사항으로 토익 700이상을 취득해야 하며[12], 학과별 졸업시험/졸업작품이나 논문이 있다. 영어의 경우 토익 대신 사이버토익을 4개 이상(편입생은 2개) 이수하면 영어는 인증해주며, 초급자 과정에서 토익 800을 넘는 상급자 과정까지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


특성화 프로그램
  • 2+2 해외복수학위제도
복수학위제도는 부산외국어대학교와 외국대학[13] 간의 복수 학위협정에 따라 본교에서 2년, 국제교류대학에서 원칙상 2년을 수확한 후 졸업에 필요한 과정을 모두 이수하면 양 대학에서 동시에 학위를 받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으로는 상호 학점인정으로 2개의 학위를 취득할 수 있고, 외국교류대학 교환학생에세 외국교류대학의 학비 면제혜택이 주어진다(일부국가 제외), 외국교류대학 파견학생에게 장학금과 보험료 등의 장학지원혜택이 주어지며 영어권 복수학위과정 외성트랙을 운영하여 미국의 교양과정과 동일한 수준의 수업을 제공받을수있다.
부산외대와 외국교류대학에서 학생교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동수교환이 성립되어 외국교류대학 학비가 면제되므로 부산외대의 등록금만 납부하면 양 대학에서 모두 학위를 받을 수 있다.


  • 3+1, 7+1 해외장단기수학제도
외국 협정체결 대학에서 휴학 없이 일본의 명문 사학 와세다대학 등 18개국 58개 대학교에서 1년 또는 1학기 동안 수학하여 취득한 학점을 부산외국어대학의 학점으로 인정받는 제도이다.


  • SAP 영어학기제
학생 1인당 최대 300만 원 정도의 장학금을 지원받아 영어 공용사용, 영어권 국가(미국, 필리핀, 캐나다, 호주, 말레이시아, 2019년 2학기 부터 아일랜드 추가) 자매결언대학에서 1학기 또는 8주 동안 공부하며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제도이다.


  • GLE (국제통상지역전문가 양성과정)
세계화된 사고와 현지화된 행동을 지향하는 GLE양성과정을 설치하여 2학년 진학 시 재학생 중 80여명 선발.
GLE


  • ILE (국제언어전문가 양성과정)
통번역이 가능한 수준까지 외국어 구사 능력을 높이고자 하는 제도.
원어민과 체계적인 외국어 교육을 통하여 외국어 구사능력을 개발하여 외국어전문가로서의 자질을 배양하는 과정
2학년 진학시 시험을 거쳐서 전공에 상관없이 40여명 내외 선발.
ILE

5. 개설 학과[편집]



5.1. 학부과정[편집]


  • 영일중대학
    • 영어학부
      • 영어비지니스트랙, 영어통번역트랙, 영어커뮤니케이션 트랙
    • 일본어창의융합학부[14]
      • 일본언어문화콘텐츠트랙, MICE통번역일본어트랙, 호텔관광비즈니스일본어트랙, 일본 IT트랙
    • 중국학부
      • 중국어전공, 중국지역통상전공
    • G2(영·중)융합학부[15]이 무슨 끔찍한 혼종입니까
      • 문화콘텐츠마케팅트랙, 모바일비즈니스트랙, G2커뮤니케이션트랙

  • 글로벌인문융합대학
    • 유럽학부
      • 독일언어문화전공, 프랑스언어문화전공, 이탈리아언어문화전공
    • 유럽지역통상학과[16]
    • 중남미학부
      • 스페인어전공, 포르투갈어전공스페인, 포르투갈무룩[17]
    • 러시아·터키중앙아시아학부[18]
      • 러시아언어통상전공, 터키 · 중앙아시아어전공
    • 동남아창의융합학부[20][21]
      • 태국어·라오어트랙,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어·필리핀트랙, 베트남어·캄보디아어트랙, 미얀마어트랙, ICT언어처리트랙?[19]
    • 아랍지역학과[22]
    • 인도학부
      • 인도언어문화전공, 인도지역통상전공
    • 한국어문화학부
      • 한국어교육트랙, 한국어문트랙, 다문화교육트랙
    • 파이데이아창의인재학과[23][24]
      • 파이데이아창의인재트랙, 글로벌창의인재트랙
    • 역사관광 · 외교학부
      • 역사관광전공, 외교전공

  • 글로벌비즈니스대학
    • 경영학부
      • 경영전공, 회계전공
    • 국제비서학과
    • 경제금융학과
    • 국제무역 · 마케팅학부
      • 국제무역전공, 국제마케팅전공

  • 글로컬창의융합대학
    • 사회복지학과
    • 영상컨텐츠융합학과
    • 경찰정보보호학부
      • 경찰행정전공, 사이버경찰전공, 정보보호전공
    • 스포츠산업학부
      • 사회체육전공, 스포츠산업전공
    • 국제학부
      • 글로벌자율전공트랙[25]
      • 한국어문화교육트랙, 국제무역경영트랙[26]

  • 글로벌IT대학
    •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 컴퓨터소프트웨어트랙, 빅데이터소프트웨어트랙
    • 임베디드IT학부
      • 임베디드소프트웨어, IoT(사물인터넷)
    • 전자로봇공학과

  • 만오교양대학[27]
    • 기초·인문교양센터, 체험인성교육센터, 외국어교육센터, RC교육센터

2017학년도(2016년) 기준, 영일중대학과 글로벌인문융합대학[28]의 학과들, 즉 외국어과들은 정시모집 다군에서 모집하며[29], 글로벌인문융합대학 한국어문화학부, 역사관광·외교통상학부, 글로벌비즈니스대학, 글로컬창의융합대학[30], 글로벌IT대학은 정시모집 가군에서 모집한다.

외부인의 입장에서 봤을 때 단과대학과 학과의 이름이 상당히 비직관적이다.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란 단과대명을 듣고 그 단과대에 러시아어, 터키-중앙아시아어, 동남아계 외국어, 인도어 등 '외대'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게 하는 소수 외국어 전공이 모여 있는 단과대라는 점을 바로 알아차리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G2융합학부파이데이아창의인재학과, 글로컬창의융합대학 같은 곳은 무엇을 배우는지 감을 잡기가 힘들 정도이고[31] 일본어창의융합학부, 동남아창의융합학부, 러시아언어통상전공, 영어학부 컨벤션영어트랙, 글로벌IT대학 등 불필요해 보이는 수식어가 잔뜩 들어간 학과명은 학과의 성격을 이해하는 것을 방해한다. ICT언어처리트랙이 동남아창의융합학부에 들어가 있는 등 이해할 수 없는 편제도 보인다. 한국외국어대학교와 같이 외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에 맞게 편제를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한국외국어대학교는 영어대학, 서양어대학, 동양어대학, 중국어대학, 일본어대학, 동유럽학대학과 같이 해당 언어의 성격을 명확히 나타내주는 단과대명을 사용하고 있으며 외국어과 이름도 ~어과[32]로 직관적으로 설정하고 있다.)[33]

사실상 단과대학의 이름만 바뀌었을 뿐, 실제 편제는 인문사회대, 이공대, 상경대, 아시아대, 유럽미주대 등으로 이전 편제를 유지하고 있다.


5.2. 대학원과정[편집]


  • 인문사회계
    • 영어영문학과
    • 일어일문학과
    • 중국어중국학과
    • 글로벌지역학과
    • 한국학과
    • 외국어로서의 한국교육학과
    • 다문화교육학과
    • 글로컬경영학과
  • 공학계
    • ICT창의융합학과
  • 예체능계
    • 사회체육학과


6. 외국어능력시험 주관기관[편집]


2015년 들어 각종 외국어능력시험의 대한민국 주관기관으로 부산외대가 선정되었다. 스페인어 능력시험인 CELA는 2015년 5월 9일에 첫 시험이 실시되며, 지금까지 베트남에 가서 응시해야했던 "베트남어 능력 인증시험"도 부산외대가 실시하게 되었다. 또한 브라질 교육부가 실시하는 브라질 포르투갈어 능력시험인 Celpe-Bras(Certificado de Proficiência em Língua Portuguesa para Estrangeiros)도 대한민국에서는 부산외대가 주관한다. 이로 인해 몇몇 학부에서는 이 시험들이 졸업시험을 대체하기 시작했다.[34] 그리고 J-TEST라는 시험도 실시되고 있지만, 부산외대에서만 치뤄지고 있다.

7. 동아리[편집]



7.1. 학과 동아리[편집]


학과마다 동아리 문화가 상당히 발전해 있다. 대부분의 학과에 노래, 춤, 학술 동아리 등이 기본으로 있으며 정기적으로 공연을 하기도 한다. 과에 따라 신입생이면 무조건 동아리를 들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7.2. 중앙 동아리[편집]


동아리 활동이 활발하고 참가 인원도 많은 편이다.
동아리 모집 기간은 1, 2학기 초. 1학기 초에는 모든 동아리들이 좌판을 깔아놓고 여기저기 포스터를 붙여 신입생을 모집하고 2학기 때에는 결원이 생겨 인원이 모자란 동아리들이 다시 좌판을 들고 나가 2차 모집을 하는 방식이다.
또한 새로 동아리를 만들고 싶으면 우선 최소인원을 모은 뒤 3년 이상 지나고 나서 총동아리연합 회의 때 만장일치로 승인을 받아야 한다. 최소인원과 3년까지는 그럭저럭 어렵지 않으나 만장일치 승인이 어려운데, 실제로 비슷한 계열 동아리가 이미 존재하는 모 임시동아리는 그 동계열 동아리들의 견제성 강한 반대로 상당히 오랫동안 임시 동아리에 머무르고 있기도 하다.
운영은 동아리 회장이 각 동아리를 관리하고, 전체 동아리를 총 동아리 연합이 총괄하는 형태.
해마다 1학기의 대동제 기간 동안 동아리마다 여러가지 행사를 하는데, 전시분과간에 전시장소를 사이에 둔 알력다툼이 다소 있으나 그럭저럭 무난하게 굴러가는 편. 덧붙여 2학기에 전시분과 전시회가 한번 더 열린다.
구분

주요활동

위치
FC BUFS

축구

체육관 1층 B101
ACE

농구

체육관 1층 B102
동그라미

탁구

체육관 1층 B103
TEN-PIN

볼링

체육관 1층 B106
공수도

가라테

체육관 1층 B107
외검회

검도

체육관 1층 B108
무향

이종격투기

체육관 1층 B109
목음문학회



체육관 1층 B110
TIME

영어학술

체육관 1층 B111
여럿이함께

봉사

체육관 1층 B112
토네이도

미식축구

체육관 1층 B122
챌린저

스킨스쿠버

체육관 1층 B123
파라다이스

야구

체육관 1층 B124
O-RM

언어 튜터링

체육관 1층 B125
A.L.A

영어학술

체육관 1층 B128
NHK

일본방송연구

체육관 1층 B129
H.O.W

다문화합창단

체육관 1층 B135
ValmoA

락밴드

체육관 1층 B136
알음알이

문학회

체육관 1층 B137
Kill-Smash

테니스

체육관 1층 B141
노을

사진전시

체육관 1층 B145
아뜨리에

순수회화

체육관 1층 B146
두레박

만화작화

체육관 1층 B147
신바람응원단

응원단

체육관 1층 B148
카덴차

관현악

체육관 1층 B149
M.A.P

댄스

체육관 1층 B151
팔분음표

통기타&노래

체육관 1층 B152
새야새야

락밴드

체육관 1층 B154
미네르바

어쿠어스틱기타

체육관 1층 B154
한극예술연구회

연극

체육관 1층 B155
동아리 목록

8. 대학 인근[편집]


남산동 캠퍼스에 자리잡은 지 수 년이 지났음에도 이른바 '대학가'라 할만한 상권은 발달하지 않았다. 그 흔한 드럭스토어나 로드샵 하나 없을 지경. 교정이 도보로 다니기 불편한 산 꼭대기에 위치하므로 유흥 목적으로 장시간 머물기 꺼려지는 환경이며, 통학생의 대부분은 버스를 이용해서 학교-지하철역만 오가는지라 학생들의 행동 반경이 제한적이다. 또한 애시당초 이 일대는 오래된 아파트 단지와 빌라, 주택이 밀집된 지역이며, 이에 맞춘 점잖고 조용한 분위기의 영업장이 외대가 들어서기 훨씬 전부터 뿌리를 박고 고정 고객층 위주로 돌아가고 있는 탓에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상권으로 재편되기를 바라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게다가 정문이 위치한 금샘로 산복도로는 보행 구역의 가로폭이 좁고, 도로 양면에 길게 늘어선 한정적인 부지 구역 외에는 상가가 들어서기 난감한 구조를 지녀 학생들의 구미에 알맞은 다양한 업종이 들어서기 쉽지 않다. 주변에 금샘초교/남산고교/부산과학고교 등이 마치 둘러싸듯이 자리하고 있기도 하여, 주류 취급 업소를 찾기 힘들다는 것은 덤. 인근에 성업중인 식당이 적지는 않으나, 가족단위 외식에 초점을 맞춘 메뉴를 다루는 업소가 많아 젊은 층의 주머니 사정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나마 교문 바로 앞에 국수집이 있고, 한솥도시락과 중국집도 교문 근처에 위치해 있다. 남산역 쪽으로 내려가면 상황이 비교적 좋은 편.

이전 초기 학교 정문 주변에 상권이 형성될 것이라 예상하고 개업한 가게들은 속절없이 망했고, 앞으로도 큰 변화 없이 지금 모습을 유지할 전망이다. 무엇보다 가까운 거리의 부산대학교 앞에 전형적인 대학가 상권이 아주 잘 마련되어 있기에, 대부분의 학생들은 부산대학교 앞을 찾는다. 남산역과 범어사역 근처에도 학생들이 즐길만한 상점들이 꽤 있어서 이 곳을 찾는 학생들도 많다.

그래도 학교가 남산동으로 들어서면서 학교 주변에 스타벅스, 탐앤탐스, 스타벅스, 엔젤리너스, 투썸플레이스를 비롯한 메이저 카페들이 차곡차곡 들어서 이점은 지역주민들이 굉장히 만족해하고 있다고...

9. 교통[편집]



9.1. 버스[편집]


파일:external/www.bufs.ac.kr/bus_map02.jpg

29, 51, 80 : 부산외국어대학교(순복음금정교회)에서 하차
· 부산 버스 29 : 서면 ↔ 동래고 ↔ 안락동 ↔ 서동고개 ↔ 부산대 ↔ 부산외국어대학교

· 부산 버스 51 : 부산외국어대학교 구 캠퍼스 ↔ 수영교차로 ↔ 연산초등학교 ↔ 온천장 ↔ 부산대학교정문 ↔ 부산외국어대학교

· 부산 버스 80 : 서면 ↔ 사직운동장 ↔ 온천장 ↔ 부산대학교정문 ↔ 구서시장 ↔ 부산외국어대학교

· 부산 버스 301 : 노포역·부산종합버스터미널 ↔ 롯데캐슬 ↔ 구서시장 ↔ 부산대학교정문 ↔ 금정구청 ↔ 브니엘고[35]

· 부산 버스 금정3(마을버스) : 구서역 ↔ 롯데캐슬정문 ↔ 우성아파트 12동 앞 ↔ 부산과학고등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버스를 이용할 경우, 29번, 51번[36], 80번[37]을 타면 도착 할 수 있으나, 정문 앞을 경유하기 때문에 정문에서 걸어가거나 301번 또는 금정 마을버스 3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구서역또는 부산대학교에서 부산외대 캠퍼스 안 까지 301번과 금정 마을버스 3번이 운행을 하지만 배차간격이 15분과 30분이기 때문에 놓쳐서 택시를 타야 할 경우 택시 요금이 남산역에서 타는 것 보다 많이 나온다.

참고로 51번은 우암동 구 캠퍼스와 남산동 현 캠퍼스를 모두 경유하는 노선이다.

9.2. 지하철[편집]


파일:external/bufs.ac.kr/subway_img.jpg
지하철을 이용 할 경우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구서역에 하차 후 2번출구 앞에서 마을버스3번을 타는방법과 남산역이나 범어사역에 하차 후 셔틀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남산역에 부역명이 있어서 핵심 셔틀 정류장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남산역에 있는 정류장은 보조적인 역할만 하기 때문에 강의시간이 간당간당할때 남산역에 도착하면 셔틀을 못 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범어사역에서 셔틀버스를 기다린다.

도보로 등교시 남산역에 내려서 정문까지 오는데만 10분~15분 정도 걸어야 한다.정문까지라고만했지 아직 도착이라곤안했다 길은 일직선으로 어렵지 않으나 꽤나 경사가져있고 정문에서부터 시작되는 길고크고 아름다운 언덕길이 또 기다리고있기 때문에 셔틀버스를 타는것을 추천한다.


9.3. 부산외국어대학교 셔틀버스[편집]


파일:external/bufs.ac.kr/s_bus1.jpg
사람은 넘치는데 버스는 언제 오나...
LG주유소에서 타는건 비추 >> 현재 주유소는 폐업하고, 세차장이 생겼다

지역주민/등산객들 때문에 학생들이 셔틀버스를 탑승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10. 캠퍼스[편집]



10.1. 우암동 캠퍼스[편집]


2013년까지 사용하였던 캠퍼스. 본래는 1977년에 설립된 성지공업전문학교(현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캠퍼스로, 1981년 부산외국어대학교 개교 당초에는 성지공업전문학교와 부산외국어대학교가 같은 캠퍼스 내에 존재하면서 한 지붕 두 학교 체제로 운영되었다. 1983년에 성지공업전문학교가 다른 곳으로 이전하고 이듬해에 다른 재단으로 넘어가면서 계열분리된 이후로는 부산외국어대학교가 단독으로 2013년까지 사용하였다. 2014년에도 사용되었기는 했지만, 시외 셔틀 폐지로 인한 불편을 덜기 위해 사실상 기숙사만 활용되었다가 2014년 하반기 이후부터는 간간히 영화 촬영지로 활용되고 있다. 2016년에 개봉한 영화 아수라 초반부에 황정민이 맡은 박성배 시장이 처음 등장하는 장면이 여기서 촬영되었다. 남산동 캠퍼스의 그린벨트 교지 활용 문제가 해결되어 현재 부산외대의 모든 기구와 조직이 이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캠퍼스가 사라졌다.


10.2. 남산동 캠퍼스[편집]


파일:external/www.dhnews.co.kr/51260_38946_4713.jpg
파일:external/www.ydcon.co.kr/%ED%95%99%EC%83%9D%EA%B4%80%EC%A0%84%EA%B2%BD%EC%95%BC%EA%B2%BD.jpg

2014년 3월부터 운영된 새로운 캠퍼스.

고풍스런 신전을 연상시킬 정도로 매우 잘 지어놓아 타대학 학생들이 보고 부러워하기도 한다. 실제로 플라톤이 세운 그리스 아테네 아카데미의 모습을 본 따 지었다고 한다. 대학 건물 전체가 베이지톤의 벽돌로 통일적인 모습을 갖고있다. 친환경캠퍼스로서 교내 조경과 미화에 신경을 많이 쓰며 이것이 전체적으로 건물과 잘 조화 되어 학교 자체가 상당히 우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교내에는 엘리베이터 뿐만 아니라 에스컬레이터까지 설치되어 있으나 에너지 절약을 위해 일부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는 번갈아서 운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서관 건물 같은 경우는 건물 양쪽에 에스컬레이터가 있는데 격주로 서로 번갈아가면서 운영하고 있다.

위치는 부산 지하철 남산역에서 내리면 도저히 걸어갈수 없을 정도로 높은 곳에 있다. 그런데도 걸어 올라가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사실 남산동의 지리가 전반적으로 경사가 가파르기 때문인데, 지역주민들은 이런 경사에 무뎌져서 그냥 걸어올라가는 사람들도 많다. 셔틀버스는 남산역 1번 출구에서 탈 수 있었지만 노선이 바뀌면서 범어사역에서도 탈 수 있다. 우암동과 달리 구서역이 종점인 마을버스가 교내에 들어간다. 다만 그린벨트 관련 문제로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일부학과와 기숙사 일부는 우암동 캠퍼스에 남아있었다가 2014년 2학기를 기점으로 사라졌다.

11. 풍경[편집]




11.1. 정문등굣길[편집]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DSC01112.jpg
경사가 굉장히 가파르기로 유명한[38] 부산외국어대학교 등굣길이지만 그 조경과 미화만은 굉장히 아름답게 다듬어져있다. 오르는데 체력적으로 힘든 심신을 조경으로 정화시키는 느낌(?) 셔틀을타고 등교할경우 여유롭게 조경을 만끽하며 등교할수있다.


12. 주요 시설[편집]


파일:r4XIB4N.jpg
부산외국어대학교/주요 시설 문서 참고.


13. 환경[편집]


금정산 자락에 위치하여[39] 숲이 많고 도심에서 살짝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공기가 맑고 상쾌하며, 등산로가 연결되어 있다. 특히 학교의 위치특성상 비오거나 흐린 날 멀리 안개낀 금정산과 어우러진 캠퍼스 전경은 그야말로 장관. 하지만 전체적으로 경사가 좀 있는 부지에 위치하고 있는터라, 공강시간같은 경우 학교밖에서 시간을 보낼려면 작정을 하고 셔틀버스를 한참이나 기다려 타고 갔다와야하는 사정이 있다. 이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스쿠터나 오토바이 또는 택시(...)를 애용한다. 물론 걸어가는 사람도 많지만.... 산자락에 위치하여 호수는 없지만, 많은 계곡이 있고 기존의 금정산 둘레길이 있던 자리여서 천혜의 경관을 자랑하는 경치를 보러 등산객들의 모습이 자주 보이곤한다.[40]
고도가 높은 곳에 있어 주변에 바람을 막아 줄 요소가 전혀 없으니 봄이라도 부지 내에 칼바람이 쌩쌩 불고 굉장히 춥다. 이에 부지 내 야외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던 여학생들의 치마가 홀랑 뒤집어지는 헤프닝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래서 부산외대를 좀 다녀 본 여학생이라면 치마보다 바지를 애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13.1. 금정산[편집]


파일:external/www.cnbnews.com/243412a.jpg
높이 801m의 산인데, 부산외국어대학교는 산자락에 위치해 있다. 학교에서 금정산의 맑은정기가 느껴진다카더라(...) 비오는 날이면 학교가 상당히 운치가 있는데 고도가 높은곳에 위치하는 특성상 안개와 구름이 많이 끼어 멀리서 보면 이것이 건물들과 어우러져 정말 무슨 신전이 세워져있는것과 같은 착각을 일으킬정도로 상당히 멋있다. 하지만 위치가 위치인지라 그만큼 바람이 굉장하다.
파일:external/db.kookje.co.kr/20130916.22002211135i1.jpg
신전처럼 보인다.

13.2. 호랑이 연못[편집]


파일:external/scontent.cdninstagram.com/10727331_982493565109501_835758852_n.jpg
현재 잉어들이 사라져 보이질 않는다. 고양이, 비둘기가 물먹으러 자주 찾는 곳이라 유력한 용의자로 보임.

13.3. 금정산 사방댐[편집]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20150421_142653.jpg
남산동 산복도로에 위치한 계곡으로 물도 깨끗하고 경치도좋아 인근주민들이 등산로 산책로로 애용한다. 부산외국어대학교를 지나는 계곡을따라 쭉 내려가면 사방댐이있다.

14. 출신 인물[편집]


  • 안치범 - 러시아·인도 통상학부 명예졸업
  • 박재호 - 국회의원
  • 고창석 - 우리가 아는 그 배우다. 하지만 3학년때 자퇴
  • 이산하 - 부산 시의원
  • 제대욱 - 부산 시의원
  • 반선호 - 부산 남구 구의원
  • 손소희 - 머슬퀸, 필라웨이트 강사
  • 김근우 - 부산 남구 구의원
  • 김봉상 - H1Z1,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 고정완 -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 최민창 -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 여성.청년분과 위원 (외교17 휴학생)
  • 최상영 - 청와대 제2부속실 선임행정생
  • 권향엽 - 청와대 균형인사비서관 (외교87 졸업생)
  • 코이티비 - 베트남 관련 유튜버. 베트남어학과 졸업
  • 윤우선 - 배우
  • 곽튜브 - 세계여행 유튜버. 러시아어학과 졸업

15. 이야깃거리[편집]



15.1. 2014년 테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 방문[편집]


파일:external/puk.cnbnews.com/art_1418381978.png

파일:external/puk.cnbnews.com/art_1418382122.png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BF%EC%B6%BC%C0%CE%BC%BC%C0%CE.jpg
2014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방한한 테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에게 명예정치학 박사학위를 수여했다.
비즈니스텍 센터(I동) 1층에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우 떼인 세인 홀이 마련되어 있다.


15.2. 축구부 BUFA[편집]


축구부가 있다. 다른 학교 축구부에 비해 비교적 최근인 2014년에 창단되었고, 역사가 그리 길지 않음에도 어느 정도의 성적을 내 주고 있다. 2015년에는 창단된 지 1년 만에 1, 2학년 전국 대회 8강을 이룩했다! 앞으로 경험과 관록이 더 쌓인다면 대학 축구의 판도를 바꾸어 놓을 것으로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 다만 2016년에는 1, 2학년 대회에서 조별예선을 뚫은 뒤 광주대에게 덜미를 잡혔고 연맹전에서도 숭실대와 비기는 등 좋은 경기력으로 조별 예선을 통과했지만 영남대에게 4:0으로 탈곡당하면서 떨어지는 등 살짝 주춤하다. 물론 창단된 지 얼마 되지 않은 것을 감안하면 충분히 잘 해 주고 있다. 문제는 U리그 순위가 뒤에서 2등이다.[41]
이 학교 출신의 선수로는 내셔널리그 부산교통공사 축구단의 박남빈 선수가 있다.

16. 사건사고[편집]


부산외국어대학교/사건사고 문서 참조.


17. 초교파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4:10:07에 나무위키 부산외국어대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시작은 아예 4년제로 했다.[2] 9대 총장 정기영이 2019년 12월 비리혐의로 인해 자진사퇴했다. 현재 정용각 총장 대행 체제로 운영 중.[3] 2년제 전문대학인 영남외국어대학이 존재하긴 하지만 학자금대출제한대학으로 선정되는 등 상태가 영 좋지 못하다. 게다가 명색이 외국어대학인데 가르치는 외국어의 수는 일반 4년제 대학보다도 적은 수준.[4] 2+2제도로 국내대학의 학위와 해외대학의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5] 2015년 현재까지 한국외대 스페인어과 김경희 교수님이 임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약력을 펼쳐보면 확인 가능하다). 이외에도 부산외대에 임용된 교수를 포함하여 타 학교에 임용된 교수까지 합치면 초창기 멤버인 8X학번 ~ 9X학번 초반, 그리고 외국어과에서 주로 나타난다. 근거자료는 본문에 기록되어있으며, 본문 우측 상단의 문서변경역사에 상세 근거가 코멘트로 기록되어있다.[6] 미얀마어과와 필리핀 전공트랙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부산외대에만 개설되어 있다.[7] 실용성 위주의 외국어 교육에 대해서는 한국외대도 비슷하며, 근본 사상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업과목이 한국외대가 조금 더 많아 과목 선택의 폭이 조금 더 넓기는 하다. 외국어과에 임용된 교수들을 보면 한국외대 아니면 부산외대 출신이 대다수이고, 두 학교간의 근본사상은 비슷하니 그럴 수 밖에.[8] 다대포에 있는 성창기업과 관련이 있다.[9] 해당장소에 캠퍼스가 들어서기전에는 우암동시절 외대, 같은 재단이였던 구.성지중학교 체육대회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유는 당시 학교들의 운동장이 상당히 협소했기 때문. 그 외에 성지공고(현.성지고교) 운동장을 사용하기도 했다.[10] 참고로 이 학교가 들어서기 이전에 해당 지역은 대한민국 육군 53사단 126연대 4대대, 예비군훈련장 남산교장이 있었던 곳이다. 2004~2005년 당시 해운대구 반송으로 이전했다가, 2006년 이후 현재의 장산으로 이전했다. 현재 반송 군 부지에는 부산지방경찰청 경찰특공대가 자리잡고 있다.[11] 반대로 총장과 이사장이 개신교계 인물이지만 학교가 개신교계가 아닌 영남외대는 종립학교로 분류되지 않는다.[12] 일부학과는 750(영어학부. 단, 졸업시험면제는 900), 600~650이상[13] 미국, 호주, 캐나다 등 영어권 국가를 비롯해 12개국 30개 대학[14] 학부 창설 전에도 일본어학부로 되어 있었으며, 커뮤니케이션일본어와 비즈니스일본어로 나누어져 있었다.[15] 2016년부터 기존 중국학부 산하 중국언어문화컨텐츠전공과 상경대학의 E-비즈니스학과가 G2융합커뮤니케이션학과와 통합하게 된다. 다만 각 학과별로 크게 교류나 정보교환이 원활하지 않아서 규모있는 행사 참여 시 마찰이 예상된다.[16] 유럽학부의 EU지역통상전공이 독립한 것으로 보인다.[17] 스페인, 포르투갈은 엄연한 유럽 국가다. 그런데 이들 학과를 나와서 진출하는 곳이 대부분 중남미 지역이라 이렇게 이름이 붙은 것이며, 스페인어전공 쪽은 아르헨티나 멕시코 분위기가, 포르투갈어전공 쪽은 브라질 분위기가 강하다. 실제로 교수진들 대부분 중남미 지역 (스페인어 트랙의 경우 멕시코국립자치대학교 출신들이 많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경우가 많고, 부산외대에서 주관하는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시험 전부가 멕시코 (CELA), 브라질 (Celpe-Bras)에서 온 것들이다. 그 만큼 중남미 세력이 압도적이고 아예 교수들도 중남미 출신인데다 대놓고 중남미 진출을 권하고 더 나아가 스페인, 포르투갈 쪽으로의 진출은 말릴 정도. 물론 이렇게 된 원인은 유럽 경제위기인 것도 있다.[18] 2015년 기준 다시 분리되었다. 해당 학과에 다녔던 학생들은 모두 멘붕. 이럴꺼면 왜 터키어와 러시아어를 같이 배웠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의견이 분분하다. 14학번 학생들은 거의 6개월을 날려버린셈.[19] ICT언어처리트랙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 전공은 4차 산업혁명과 동남아 중심의 '신남방정책'에 대비하여, 동남아언어, 지역학 및 ICT(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특성화 트랙으로, 동남아시아 언어, SW활용 및 개발 교육을 동시에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장래 진로도 모두 동남아 관련이고, 교육과정상으로도 동남아시아 언어 전공과목을 1,2학년 동안(기초, 회화1, 회화2) 들어야 하긴 하다.[20] 학부 창설 이후 필리핀어, 캄보디아어, 라오어, ICT언어처리 트랙이 추가되었다.[21] 필리핀, 미얀마어, 캄보디아어, 라오어 전공의 경우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없어 국내 유일이다.그런데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어·필리핀트랙, 베트남어·캄보디아어트랙, 태국어·라오어트랙 홈페이지에 가보면 마인어베트남어, 태국어 얘기밖에 없다..[22] 중동지중해지역학부에서 현 명칭으로 2018년 변경됨.[23] 부산외대 유일한 최저등급제한이 있는 학과이다.[24] 기존 부산외대식산출내신으로 2등급초반대를 보여주던 입결이 19학번기준으로 3등급 중후반대로 밀리며 떡락했다.[25] 자유전공학부이다.[26] 두 트랙은 외국인 전용이다.[27] 다른 대학의 교양대학에 해당하며 교양 교육을 담당한다[28] 한국어문화학부/역사관광·외교통상학부 제외[29] 글로컬창의융합대학 영상콘텐츠융합학과도 다군에서 모집[30] 영상콘텐츠융합학과 제외[31] 물론 G2가 미국, 중국을 의미함을 알아도 마찬가지이다[32] 폴란드어과, 스칸디나비아어과 등[33] 그런데 웃긴 것은 학제 개편 이전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이 "~어과"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단과대학도 영어대, 서양어대, 동양어대로 나누어져 있었다. 일본어는 부산에서의 수요가 많은지 한술 더 떠서 일본어대학으로 되어있었을 정도였다.[34] 대표적으로 중남미학부는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에서 주관하는 CELA 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하면 졸업시험을 대체할 수 있다. 자세한 건 추가바람.[35] 해양대학교(190)와 신라대학교(62,128-1)에 이어 캠퍼스 내에 시내버스가 다닌다. 다른대학교는 캠퍼스 내에 마을버스만 다닌다.[36] 2016년 3월에 29번과 51번이 노포동 금정공영차고지까지 노선이 연장 되었므로 양방향 모두 이용 가능해졌다.[37] 학생회에서는 80번을 학교안으로 들어오게 해달라고 청원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301번이 들어왔다.[38] 스트라바 표기상 정문-축구장까지의 경사도(%)는 13.2%, 약 7.5도인 셈이다.[39] 사실 산속이라고 하는게 맞다. 산 중간에 나무베고 깎아내서 만들었기 때문에 학교 부지에서 한걸음만 밖으로 나가도 바로 숲이다.[40] 학교가 부지는 사놓은지는 꽤 되었는데 시공을 안하고 사놓고 방치 상태라서 예전부터 마을 사람들이 놀러올라가던 곳이었다. 거기가 이전부터 금정산의 등산 입구이기도 했고[41] 물론 잔여 경기가 꽤 남았고 한국국제대를 4:0으로 탈탈 털었기에 반등의 여지는 있다.